2025.04.03 (목)

  • 맑음동두천 2.2℃
  • 흐림대관령 1.2℃
  • 흐림북강릉 7.0℃
  • 흐림강릉 7.7℃
  • 구름많음동해 8.1℃
  • 박무서울 5.6℃
  • 구름많음원주 2.1℃
  • 박무수원 5.0℃
  • 박무대전 6.0℃
  • 맑음안동 4.3℃
  • 박무대구 5.0℃
  • 구름조금울산 7.3℃
  • 구름많음광주 7.5℃
  • 맑음부산 9.6℃
  • 맑음고창 6.7℃
  • 구름많음제주 9.8℃
  • 구름많음고산 9.3℃
  • 맑음서귀포 11.1℃
  • 맑음강화 5.4℃
  • 흐림이천 3.4℃
  • 구름조금보은 1.7℃
  • 맑음금산 4.3℃
  • 맑음김해시 6.3℃
  • 흐림강진군 6.2℃
  • 맑음봉화 2.1℃
  • 흐림구미 4.3℃
  • 구름조금경주시 6.8℃
  • 맑음거창 3.2℃
  • 맑음합천 4.0℃
  • 맑음거제 7.8℃
기상청 제공

우리나라 '폭염위험도', 앞으로 10년 더욱 높아진다

환경부, 기초 지자체 229곳 대상 폭염 위험도 평가 결과, '높음' 이상 2021∼2030년 크게 증가

지난 주말과 같이 일반적으로 일 최고기온이 33℃ 이상일 때를 '폭염'이라고 하고, 폭염이 2일 이상 지속될 것으로 예상될 때 '폭염주의보'가 발령됩니다. 지구온난화로 폭염의 빈도와 강도가 계속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앞으로 우리나라의 폭염 위험도가 더욱 높아질 것이라는 평가 결과가 나와 관심을 모으고 있습니다. 

 

 

환경부(장관 조명래)는 전국 229곳의 기초 지자체를 대상으로 기상청의 기후전망 시나리오를 활용하여 2021~2030년 ’폭염 위험도’를 5단계(매우 높음–높음–보통–낮음-매우 낮음)로 평가한 결과를 공개했습니다.

 

 

요약하면, 기초 지자체 229곳 대상 폭염 위험도 평가결과, 2001∼2010년 ‘높음’ 이상이 69곳에서 2021∼2030년에는 126곳으로 크게 증가한다는 것입니다. 

 

폭염이나 혹한 등의 ’위험도(risk)‘는 2014년에 발간된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 제5차 보고서에 제시된 개념으로서 위해성, 노출성, 취약성 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영향 정도를 의미합니다. 폭염위험도가 높을수록 이로 인한 일상화된 건강상·재산상 피해가 예측됩니다. 

 

환경부가 기상청 기후전망 시나리오(RCP 4.5)에 따라 향후 폭염위험도를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의 2021∼2030년 ’폭염 위험도‘는 기준년도(2001∼2010년) 대비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었습니다.

 

 

’폭염 위험도‘가 ’매우 높음‘ 지역은 19곳에서 48곳으로, ’높음‘ 지역은 50곳에서 78곳으로 증가하는 한편, ’낮음‘ 지역은 64곳에서 32곳, ’매우 낮음‘ 지역은 16곳에서 6곳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습니다. 강원도가 폭염에 있어 가장 위험도가 낮은 지역입니다. 

 

한편 기상청에 따르면 지난해 폭염일수는 31.4일을 기록했습니다. 역대 최고 기록입니다. 이로 인해 돼지는 모두 5만6천593 두가 폐사한 것으로 파악되었습니다(관련 기사). 

배너

관련기사

배너
총 방문자 수
11,631,970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