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연구에 따르면 돼지 써코바이러스 2형(PCV2)은 유럽의 멧돼지 개체군 사이에서 높은 비율로 순환하며, 멧돼지는 PCV2의 중요한 저장소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추측됩니다. 본 연구는 2013년부터 2017년 사이에 우리나라에서 포획된 1,340마리의 멧돼지로부터 분리된 91개의 PCV2 분리주에서 유전자형 다양성과 유전형 변화를 조사했습니다. 전체 ORF2를 기반으로 한 계통학적 분석 결과, 91개 PCV2 균주는 qPCR 스크리닝 분석에서 4가지 유전자형으로 파악되었습니다. 2.2%(2/91)는 PCV2a, 16.5%(15/91)는 PCV2b, 80.2%(73/91) )는 PCV2d였으며, 1.1%(1/91)는 PCV2h였습니다. 결론적으로 PCV2d 유전자형은 한국의 멧돼지와 사육돼지에서 널리 퍼져 있으며, 멧돼지에서 계속해서 순환할 것임을 시사합니다. [논문 원문(바로가기), Genetic Diversity of Porcine Circovirus Isolated from Korean Wild Boars, Sok Song(농림축산검역본부) 외, Pathogens, 2020] 번역 및 정리 돼지와사람(pigpeople100@gmail.com)
위장관 기생충 감염은 양돈산업에 영향을 미치는 질병의 전파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수익성과 생산성 손실을 초래합니다. 본 연구는 국내 사육 돼지의 위장관 기생충 감염 분포를 조사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습니다. 2020년 5월부터 2021년 10월까지 7개 도 75개 농장에서 364마리의 돼지 분변 샘플을 채취하여 현미경으로 조사했습니다. 그 결과 총 170마리(46.7%)의 돼지가 ▶Balantioides coli ▶strongyles ▶Ascaris suum(돼지회충) ▶Trichuris suis(돼지편충) ▶coccidia(콕시듐) 중 한 가지 이상의 기생충에 감염된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기생충별로 각각 144개(39.6%), 24개(6.6%), 14개(3.8%), 4개(1.1%), 1개(0.3%)가 검출되었습니다. 두 개 또는 세 개의 기생충이 동시에 검출된 돼지 샘플은 각각 15건, 1건으로 나타났습니다. 나머지 돼지 샘플(154건)에서는 모두 1개의 기생충만 검출되었습니다. 농장별로는 75개 농장의 돼지 분변 샘플 중 69개 표본(92.0%)에서 1개 이상의 기생충에 감염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역적으로는 전국 모든 조사 농장에서 30% 이상
서론 PCVAD(PCVD; 돼지써코바이러스연관질병)와 유행성폐렴(SEP)은 양돈장에서 경제적으로 가장 중요한 두 가지의 주요 질병으로 남아 있습니다. 써코바이러스(PCV2)와 마이코플라즈마 하이오뉴모니아(M.hyo, 유행성폐렴균)에 대한 백신 접종은 이러한 감염의 임상 증상과 그에 따른 손실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이때 여러 상용 단독 또는 복합 백신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번 연구의 목적은 표준화된 공격감염 모델에서 실험적으로 M.hyo 감염에 대한 다양한 PCV2 및 M.hyo 백신 접종 프로토콜의 효능을 평가하는 것이었습니다. 재료 및 방법 생후 3주령 자돈에 ▶써코백®(Circovac, 세바 PCV2 백신)과 하이오젠®(Hyogen, 세바 M.hyo 백신)을 동시에 접종하거나(CH) ▶하이오젠®(H)만 단독 접종(H) ▶PCV2+M.hyo RTM(Ready to Mix; 접종 전 섞어 씀) 백신 ▶두 종류의 PCV2+M.hyo RTU(Ready to Use; 섞을 필요 없이 바로 씀; RTU A, RTU B) 백신 중 하나를 접종했습니다. 그리고 생후 7주령에 두 가지 서로 다른 M.hyo 균주를 기관을 통해 연속적으로 접종했습니다(인공 감염)
'돼지유행성설사병 바이러스(PEDV)'는 2013년 4월 미국에서 진단된 후 급속히 확산되었습니다. PEDV 진단이 확인된 후 돈군 사이에서 감염이 매우 빠르게 확산되어 생산자에게 막대한 손실을 초래했습니다. 농장 간에 바이러스가 빠르게 확산되었기 때문에 기존에 알려진 경로로는 바이러스 전파를 설명할 수 없는 일부 지역에서는 공기 전파가 의심되었습니다. 이 연구에서는 PEDV가 공기 중으로 전파될 수 있는지, 전파된다면 전염성이 있는지 여부를 평가했습니다. 실험적으로 감염된 돼지가 있는 공간과 급성 PEDV가 발생한 돼지 농장의 외부로부터 다양한 거리에서 공기 샘플을 채취했습니다. 그 결과 실험적으로 감염된 돼지의 공기에서 전염성 PEDV가 존재했으며, 자연적으로 감염된 농장에서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으로 최대 10마일(16km) 떨어진 곳에서도 (감염성은 없지만) PEDV의 유전 물질(RNA)이 검출되었습니다. 공기 전파는 PEDV 전파의 잠재적 경로로 고려되어야 합니다. [논문 원문(바로보기), Evidence of infectivity of airborne porcine epidemic diarrhea virus and detection of airbor
서론 구제역(FMD)은 전 세계적으로 가축에게 가장 중요한 질병 중 하나이며 아시아 여러 국가에서 발병하고 있습니다. O/ME-SA/Ind-2001 계통의 구제역 바이러스(FMDV)는 2001년 인도에서 처음 발견되어 다른 지역으로 확산되기 시작했으며, 2015년 베트남에서 발생한 구제역으로 인해 동남아시아에서 처음으로 보고되었습니다[1]. 가장 최근에는 1986년 이후 구제역이 발생하지 않았던 인도네시아에서 2022년 4월에 구제역이 발생했으며, O/ME-SA/Ind-2001가 원인 바이러스로 확인되었습니다[2]. ※편집자 주: '17년과 '19년, '23년 한국서 발생한 O형 구제역의 원인 바이러스도 O/ME-SA/Ind-2001임 '바이오제네시스 바고(Biogenesis Bago)'의 'O1 캄포스(Campos)' 백신주는 광범위한 교차 예방 효과로 잘 알려진 FMD 백신 균주입니다. 남미와 아시아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 지역에서 구제역을 통제하는 데 탁월한 효능을 보였습니다. 이번 연구는 전 세계적으로 유행하고 있는 O/ME-SA/Ind-2001 야외 분리주에 대한 '바이러스 중화 역가(virus neutralization titer; VNT)
서론 폐 병변 점수는 돼지, 농장, 국가마다 다릅니다. 돼지의 호흡기 건강을 정확하게 평가하려면 도축장 검사 중에 폐 병변을 정확하게 식별하고 정량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부검과 달리 전체 돈군의 폐 건강 평가를 목표로 합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세바 호흡기 관리 프로그램(CLP; Ceva lung Program)' 앱을 사용하여 평가한 폐 병변 점수의 변화를 파악하는 것이었습니다. 재료 및 방법 데이터는 2015년 4월부터 2018년 12월까지의 자료입니다. 필리핀의 여러 농장(251 배치)의 돼지 총 16,115마리의 폐를 대상으로 CLP 앱으로 (폐 병변) 점수를 매겼습니다. 유행성 폐렴 유사 병변(Enzootic pneumonia-like lesions), 앞쪽 흉막염(cranial pleurisy), 등쪽-뒤쪽 흉막염(dorso-caudal pleurisy), 흉막폐렴 유사 병변) 및 반흔(섬유소; 편집자 주) 비율 등을 기록했습니다. 결과 유행성폐렴(EP) 유사 병변: 기관지폐렴과 함께 해당 병변을 보인 폐의 비율은 70-84%였으며, 2016년이 가장 낮았고 2018년이 가장 높았습니다. 반흔은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에
서론 PRRS는 PRDC와 관련된 가장 중요한 질병 중 하나입니다. 보고된 바에 따르면 농장에서 PRRS 바이러스(PRRSV)를 박멸하는 것은 모든 번식돈에 균일한 PRRSV에 모든 번식돈을 노출시키고 일정 기간 동안 농장을 폐쇄한 다음 부분적인 개체수 감소와 엄격한 올인올아웃(AIAO) 사육을 통해 달성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분만에서 비육까지 생산과 돼지 입식을 중단할 수 없는 농장의 경우, 이 접근법은 실행하기 어렵습니다. 이 연구에서는 PRRSV 양성인 비육 농장에서 PRRS 불활화(사독) 백신을 이용해 PRRSV 박멸을 시도했습니다. 실험 재료 및 방법 시험 농장은 비육 농장으로, 모돈 450두 규모의 농장으로부터 매주 9주령 자돈 그룹을 공급받았습니다. 모돈 농장은 PRRSV 음성이었습니다. 반면 비육 농장은 2019년 5월 이후 PRRSV 양성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자돈은 도착 즉시 PRRS 약독화 생백신(MLV)을 접종했습니다. 2020년 6월부터는 추가적인 개선을 위해 PRRS 불활화 백신(Nisseiken Co., Ltd., Japan)을 농장 도착 3주 후 추가 접종하기 시작했습니다. 2020년 10월에 두 개의 새로운 건물이 완공되었고 올
이번 연구는 번식돈과 자돈에서 FMD 백신 접종 후 월별 항체검사를 통하여 항체 변화 추이를 조사하고, 모돈의 항체 역가와 자돈의 항체 형성 및 역가 등을 조사하여 실제 돼지 농가에서 일어나는 항체 유지 수준과 백신 접종 효과 향상 방안을 마련하고자 수행하였다. 연구는 2012년 1월부터 6월까지 진행되었다. 경기도 포천지역 돼지 사육농가 중 일관사육을 하고, 번식돈(모돈, 후보돈) 개체관리를 실시하며, 분만 후 자돈을 다른 모돈에 입양 보내지 않아 모체이행항체를 확인할 수 있고, 자돈 개체 관리를 통해 모돈과 자돈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있는 4농가를 선정하였다. 연구 결과 번식돈(모돈, 후보돈)은 FMD 백신 접종 후 5개월 경과 시까지 항체가(PI 수치)가 양호하게 유지되었다(P<0.05). 그러나 자돈은 백신 접종 월령 및 모돈 PI 수치에 따라 다양한 결과가 관찰되었다. 백신 접종 전 자돈의 모체이행행체 수준은 모돈의 PI 수치가 높을수록 1개월령 돼지의 PI 수치가 높은 것으로 관찰되었다(P<0.05). 백신 접종 시 모돈 PI 수치는 자돈 PI 수치 형성에 영향을 주며, 백신 접종 이전인 1개월령 자돈의 항체 수치가 높을수록 백신 접종 이후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