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년 4개월 만에 국내에서 구제역이 재발생했습니다. 이번 구제역 발생농장은 충북 청주시 청원구 북이면 내둔리와 화상리에 위치한 두 곳의 한우 농장입니다. 각각 204마리, 166마리 규모입니다. 두 농장간의 거리는 2.1km입니다. 10일 공수의사의 진료 과정에서 일부 개체에서 침흘림과 수포(유두, 입 안) 등 구제역 의심증상이 확인되어 이날 오후 3시 50분경 의심축으로 신고·접수되었습니다. 그리고 자정이 가까운 시간 실험실 정밀 검사 결과 최종 구제역 O형으로 확진되었습니다. 앞서 실시한 간이검사 키트에서도 같은 결과였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방역당국은 해당 발생농장 한우에 대한 긴급 살처분 등 확산 예방 조치에 나선 가운데 11일 0시부로 전국 우제류 농장‧도축장‧사료공장‧출입차량‧관련 축산시설 등에 대한 48시간 일시이동중지 명령을 발령했습니다(11일 0시~12일 24시). 이번 청주 구제역 발생 사례는 지난 '19년 1월 경기 안성과 충북 충주 발생(1.28-31 3건) 사례 이후 공식적으로 첫 양성 사례입니다. 1560일, 4년 3개월 만에 재발생입니다. 최근까지 우리 정부는 국제사회(WOAH)로부터 구제역 백신 청정국으로 인정받는 절차를 추진 중
돼지생식기호흡기증후군(PRRS) 바이러스는 한국 양돈산업에서 가장 중요한 병원체이다. 차단방역 및 백신 접종 프로토콜 개선 등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바이러스는 계속 순환하고 진화하고 있다. ORF5의 계통학적 분석에 따르면, 한국의 PRRS 바이러스는 전 세계적으로 순환하는 리니지(lineage; 계통)뿐만 아니라 국가별 리니지(Lin Kor A, B, C)도 형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국내 PRRS 바이러스의 역학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2014년부터 2019년까지 국내 분리주 총 1349건의 ORF5 염기서열을 분석했다. 최대확률법을 이용하여 계통발생학적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계통의 상대적 유병률의 시간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 조사 대상 연도 내내 PRRS 바이러스 1형(유럽형)과 PRRS 바이러스 2형(북미형) 모두 높은 유병률을 보였다. PRRS 바이러스 1형 분리주 중 'subgroup A(90.1%)'와 '백신 유사 subgroup C(9.0%)'가 개체군의 대부분을 구성했다. PRRS 바이러스 2형 분리주의 경우, '백신 유사 리니지 5(36.3%)'가 가장 많았고, 이어서 'Lin Kor B(25.9%)', 'Kor C(16.6
농림축산검역본부(본부장 박봉균, 이하 검역본부)가 내년부터 한국돼지수의사회(회장 최종영) 소속 현장 수의사와 함께 돼지인플루엔자(SI) 바이러스에 대한 모니터링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습니다. 이 같은 내용은 지난달 17일 있었던 검역본부 주최의 '상반기 양돈질병 분야별 협의체' 회의에서 나왔습니다. 돼지인플루엔자는 주로 H1N1, H1N2, H3N2형의 바이러스가 유발하는 '돼지 독감'입니다. 감염된 돼지는 고열과 식욕부진, 기침, 유산 등의 증상을 보이며, '돼지호흡기질병복합증후군(PRDC)'으로 발전해 더 큰 경제적 피해를 유발하기도 합니다. 이 때문에 미국, 유럽 등은 적극적인 백신과 모니터링을 통해 상시 대응하고 있습니다. 또한, 인수공통전염병이기도 해 중요하게 다루고 있습니다. 반면, 우리나라는 산업의 무관심 속에 돼지인플루엔자를 거의 방치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백신으로 예방하는 농가를 찾아보기 어렵습니다. 실태 파악도 제대로 되고 있지 않습니다. 하지만, 현장 수의사와 연구자들은 우리 양돈장 대부분 매년 특히, 환절기에 반복적으로 큰 피해를 겪고 있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한국돼지수의사회의 연례세미나에서 전북대학교 조호성 교수는 '조
PED(돼지유행성설사)는 1992년 국내에서 처음 보고되었다. 이후 매년 발생하여 지난 20년 동안 상당한 경제적 손실 야기로 양돈산업을 위협해 왔다. 특히, 2013년 11월경 재출현한 PED의 유행으로 우리나라 돼지 농장의 40% 이상이 피해를 입었다. 본 연구에서는 2019년 전북지역 PED 발생 농가에서 분리한 PED 바이러스 S gene의 유전자 염기서열 및 아미노산을 분석하고, 기존 국내외 분리주 및 백신주와의 유전적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염기서열 분석 결과, 기존 국내 분리주와 같은 S-indels(S insertion-deletions)를 가진 G2b 그룹에 속하였다. 분리주간 염기서열 차이는 0∼1.5%, 아미노산은 0∼2.7%로 높은 일치성을 보였으며, 미국 분리주인 PC273/O와 가장 높은 상동성을 보였다. 한편, 초기 국내 백신주 SM-98-1과 DR-13은 염기서열 분석시 6.1∼11.1%, 아미노산 분석시 10.5∼11.4%로 상당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의 국내 백신주 QIAP1401와의 염기서열은 0.5∼1.2%, 아미노산은 1.2∼2.2% 정도의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G1a 그룹 기반의 백신과 달리 상
대장균은 신생자돈이나 이유자돈의 설사, 부종, 패혈증 등 다양한 질병을 유발한다. 병원성 대장균에 의한 설사는 상당한 경제적 손실을 초래할 수 있어 병원성 대장균은 양돈 산업에서 중요한 병원체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자돈의 설사와 비설사에서 병원성 대장균을 분리하고 분리주의 병원성 유전자 분포와 항생제 내성을 조사하고 비교하였으며, β-lactam(베타락탐) 및 quinolone(퀴놀론) 내성 대장균의 내성유전자를 검사하였다. 연구를 위한 시료는 2017년부터 2020년 7월까지 국내 25개의 양돈장(경기 2, 경남 13, 경북 6, 전남 1, 제주 2, 충남 1)에서 36회에 걸쳐 포유자돈(n=180)과 이유자돈(n=421)으로부터 총 601개의 분변샘플을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자돈설사 유래의 대장균에는 부착인자로는 F4, 장독소로는 STb가 가장 유행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Stx2e를 가진 대장균도 널리 분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많은 대장균 분리주들이 CHL(클로람페니콜)-FIS(설피속사졸)-TET(테트라사이클린)-AMP(암피실린)에 동시에 내성을 나타내었고, 대장균 설사증에 주로 쓰이는 SXT(트리메토프림-설파메톡사졸)-AMP-TET에 동시에
멧돼지의 개체수 증가는 농작물 피해 및 도심 출몰로 사회적 문제가 되며, 사육하는 돼지 농가와의 접촉 빈도 증가로 인해 멧돼지와 사육돼지 사이의 세균, 바이러스, 기생충 등의 순환 감염은 양돈 산업에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다. 본 연구는 경남 15개 시군에서 포획 또는 폐사된 야생멧돼지 혈액 시료에서 바이러스성 질병의 감염 실태를 조사함으로써 경남지역 내 야생멧돼지의 바이러스성 질병 방역대책 수립을 위한 기초적인 데이터 작성에 목적을 두고자 수행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시료는 총기 또는 포획틀에 의해 포획된 야생멧돼지 혈액 시료 374점을 사용했다. 조사 결과 PCV2(돼지써코바이러스 2형)의 항원·항체 검사 결과 73점(평균 19.5%, 0∼43.8%)에서 항원이 검출되었으며, 225점(60.2%, 36.8∼100%)에서 항체가 검출되었다. 64점(17.1%, 0∼43.8%)의 혈액 시료에서는 항원과 항체가 모두 검출되었다. PRRSV(돼지생식기호흡기증후군 바이러스)의 항원·항체 검사 결과 혈액 시료에서 북미형 항원(NA type)과 유럽형 항원(EU type)은 모두 검출되지 않았으나 2점(0.5%)에서 항체가 확인되었다. CSFV(돼지열병 바이러스)는 검
Clostridium novyi(C. novyi'; 클로스트리디움 노비)는 다양한 환경에 널리 퍼져 있으며, 특히 토양과 퇴적물에 많이 존재한다. 비육돈 및 모돈의 급사를 일으키는 세균 중 하나이다. C. novyi의 경우 급사 후 빠른 시간 내에 진단이 되지 않으면 원인체에 대한 진단이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국내 양돈장으로부터 확보된 급사 비육돈 및 모돈 진단 케이스로부터 급사의 원인 세균을 진단하였으며, 특히 C. novyi에 대한 진단 및 균 분리를 국내 최초로 실시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2015년 6월부터 10월까지 총 13건의 C. novyi 의심 급사 케이스를 전북대학교 동물질병진단센터로부터 제공 받았다. 검사 결과 13건으로부터 총 4주의 C. novyi를 분리하였다. 1주는 C. novyi type A이고 3주는 C. novyi type B로 확인되었다. 최근 기후변화에 의해 국내 하절기 동안 고온 다습한 환경이 장기간 지속되는 가운데 국내외 비육돈이나 모돈의 급사가 일어나고 있어 급사의 주요 원인균에 대한 정확한 진단이 필요한 실정이다. 특히, C. novyi에 대한 정확한 진단과 이들의 alpha 독소 증명법을 확
한 연구에 따르면 MSY가 높은 농장이 낮은 농장에 비하여 PCV2 및 PRRSV 항원 발현율과 항체 양성률이 낮고 세균인 살모넬라균 항체 양성률 또한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에서 매우 높은 질병 발생 양상을 보이고 있는 살모넬라증(Salmonella Typhimurium)에 관하여 PCV2 및 PRRSV 혼합 감염 예와 살모넬라증 단독 감염 예에서 각 바이러스의 항원 분포를 조사하고 각 군별 병리조직학적 병변을 비교 분석하여 각각의 병원체의 상호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제주대학교 수의과대학 수의병리학교실에서 S. Typhimurium에 의한 살모넬라증으로 확진된 82두 중 PCV2 및 PRRSV 이외의 다른 병원체가 혼합 감염된 18두를 제외한 64두의 돼지 가검물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소화기에서 살모넬라균과 PCV2 항원이 동시에 검출된 예는 83.3%(20/24두)인 반면, 살모넬라균과 PRRSV 항원이 같이 검출된 예는 10.3%(3/29두)에 불과하였다. 병리조직학적으로 PCV2 바이러스 항원은 점막하직의 GALT(장 관련 림프조직) 부위에서 가장 많이 분포하고 있었다. 살모넬라 단독 감염군에 비하여 살모넬라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