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돈의 분만 후 번식장애는 농장에서 흔히 관찰되며, 생산성 손실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이는 다음 산차에서의 번식성적, 모돈의 연산성, 그리고 포유자돈의 생존과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농장의 경제성에 예상보다 큰 타격을 줄 수 있다. 이러한 번식장애는 과거부터 현재까지 번식구간에서 반드시 해결해야 할 중요한 과제로 여겨져 왔으며, 특히 분만 후 가장 흔히 발생하는 'MMA 증후군'이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 MMA 증후군이란? MMA 증후군은 유방염(Mastitis), 자궁내막염(Metritis), 무유증(Agalactia)의 앞 글자를 따온 명칭으로, 일반적으로 분만 직후(12시간~3일 이내) 모돈에게 발생하는 번식장애를 의미한다. 이 증후군은 유방의 염증(유방염)과 생식기관의 염증(자궁내막염)으로 시작해, 유즙 분비 장애(생산량 감소 또는 무유증) 등으로 이어지는 특징을 보인다. 주요 원인은 유선(유방)이나 비뇨생식기의 세균 감염으로, 전체 모돈과 자돈의 약 15~25%가 이러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유방염: 유선의 손상 또는 병원체의 침투로 인해 발생하는 유선의 염증으로, 대장균(E.coli), 클레프시엘라균(Kleb
세바코리아(대표 김용석)가 지난 14일 충북 청주에 있는 제이원호텔 회의실에서 'MSY 개선 프로젝트; PRDC의 주범! PRRS, 써코, 마이코 상호작용'이라는 주제로 KOL 세미나를 개최했습니다. 이날 세미나에는 모두 20여 명의 현장 컨설턴트 등이 참석했습니다. 농장의 MSY를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은 다양합니다. 시설 및 환경, 사양관리 등. 하지만, 일정 수준 이상의 높은 MSY 성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대표적인 소모성 질병이라 할 수 있는 써코(PCV2), 마이코플라즈마(유행성폐렴; M.hyo), PRRS 등을 상시적으로 적절히 통제해야 가능합니다. 이들 질병은 PRDC(돼지호흡기복합감염증)의 주요 원인이면서 일당증체와 사료효율을 저하시키는 요인입니다. 이날 세미나에는 모두 3명이 연자로 나섰습니다. 채찬희 교수(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는 'PRDC 원인체의 상호작용'을, 양승혁 부원장(발라드 동물병원)은 '써코백·하이오젠 필드 적용 케이스'를, 이현준 차장(세바코리아)은 '듀오 소개 및 CLP(세바 호흡기관리 프로그램) 업데이트'를 각각 발표했습니다. 채찬희 교수는 일선 농장에서 써코, 마이코플라즈마, PRRS 등이 문제가 될 경우 이들 질
프랑스 글로벌 동물약품 기업 세바코리아(대표 김용석)가 '하이오젠 가로세로 낱말퀴즈' 이벤트를 진행한다고 12일 알렸습니다. 이번 이벤트는 이달 12일부터 다음 달 13일까지 한 달간 모든 고객을 대상으로 합니다. '하이오젠 가로세로 낱말퀴즈' 이벤트는 지난달에 열린 하이오젠 웨비나(관련 기사)의 후속 행사입니다. 해당 영상 시청 후 낱말 퀴즈 정답을 세바코리아 카카오톡 친구 추가(바로가기) 후 보내면 됩니다. 이벤트 참가자 선착순 50명에게 커피 기프트콘을 제공됩니다. 한편, 하이오젠은 최신의 야외주 항원과 부형제 이뮤밴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마이코플라즈마 백신입니다. 강력한 세포성 면역을 유도하고 26주령 출하까지 예방 효과를 제공합니다. 돈군의 호흡기 건강 수준을 높이고 결과적으로 일당증체율을 향상시켜 이미 위생도가 높은 농장에서도 더 큰 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돼지와사람(pigpeople100@gmail.com)
PRDC(돼지호흡기복합감염증)의 주요 원인체의 감염 순서에 따라 임상증상이 심하거나 약하게, 혹은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다는 흥미로운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이 같은 내용은 세바코리아(대표 김용석)가 지난 24일 '환절기 불청객, PRDC 주범 마이코!'를 주제로 진행한 웨비나에서 확인되었습니다. 이날 초청 연자로 나선 채찬희 교수(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는 'PRDC'의 주요 원인체 가운데 일선 농장에서 가장 흔하면서도 제일 큰 피해를 주고 있는 'PCV2(써코바이러스)'와 'M.hyo(마이코플라즈마)', 'PRRS바이러스' 등 3가지 병원체의 상호작용과 예방법 등을 발표했습니다. 채찬희 교수는 구체적인 실험을 통해 이들 병원체의 감염 순서에 따라 다양한 임상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써코바이러스와 마이코플라즈마 관계 채 교수에 따르면 돼지가 마이코플라즈마에 먼저 감염되고 나중에 써코바이러스가 감염되면 심한 PCVAD(써코바이러스연관질병)가, 마이코플라즈마와 써코바이러스가 동시에 감염되면 중간 정도의 PCVAD가 각각 유발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반면, 써코바이러스가 감염되고 나중에 마이코플라즈마가 감염되면 PCVAD 증상이 관찰되지 않았습니
세바코리아(대표 김용석)가 이달 24일(목) 오후 5시 '환절기 불청객: PRDC 주범 마이코!''라는 주제로 웨비나를 개최한다고 밝혔습니다. 최근 절기상 가을로 접었들었지만, 아침·저녁에는 선선하고 한낮은 30도가 육박하는 등 일교차가 매우 큰 시기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돼지호흡기복합감염증(PRDC)' 등 호흡기 질병이 다발하는 시기가 도래한 것입니다(관련 글). 이에 세바코리아는 PRDC 컨트롤 전략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이번 웨비나를 마련하였습니다. 먼저 채찬희 교수(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가 'PRDC 원인체들의 상호작용'을 설명합니다. 이어 이현준 차장(세바코리아 기술지원팀)이 '효과적인 PRDC 컨트롤의 시작, 하이오젠 & CLP(CEVA LUNG PROGRAM, 세바 호흡기 관리 프로그램)'를 소개합니다. 웨비나 참석은 사전 등록(바로가기)을 통해 누구나 가능합니다. 웨비나 참가자를 대상으로 시청 인증 이벤트도 준비되어 있습니다. 얼굴이 나온 웨비나 시청 사진을 세바코리아 카카오톡 채널로 전송하면 자동 응모되며, 무작위 추첨으로 50분께 치킨 기프티콘을 증정합니다. 이번 웨비나에 대해 보다 자세한 사항은 세바코리아(070-8277-47
1회 주사로 부종병 철벽 방어, ‘에코포크 시가’! 세바의 ‘에코포크 시가(Ecoporc Shiga)’는 전 세계 최초로 개발된 오리지널 부종병 백신으로, 임상형뿐만 아니라 준임상형 부종병까지 효과적으로 예방합니다. 2013년 첫 출시 이후 전 세계적으로 1억 두 이상의 돼지에게 접종되며 그 효과가 입증되었습니다. 세계 최초로 개발된 오리지널 부종병 백신 뛰어난 안전성과 효능으로 임상형 및 준임상형 부종병 컨트롤 항생제 및 산화아연 사용량 감소 농가의 생산성과 수익성 향상 농장의 보이지 않는 위험, ‘돼지 부종병’ '돼지 부종병(Edema disease of swine; ED)'은 농장에서 주요 문제를 일으키고 있는 PCV2, PRRS, PED 등과 같은 질병들보다 많이 알려지지 않았지만, 농장 내에 보이지 않는 위험 요소로, 앞으로 더욱 중요하게 다뤄져야 할 질병입니다. 돼지 부종병은 병원성 대장균 중 ‘시가톡신(Stx2e)’을 생산하는 '부종병 대장균(STEC)'에 의해 발생하는 독혈증입니다. 주로 이유자돈 시기에 발생하지만, 육성-비육 구간에서도 문제를 일으킬 수 있어 출하 시점까지 철저한 보호가 필요합니다. 전형적인 임상 증상으로는 돼지의 안면과 눈
세계 최초 모돈/후보돈/자돈 허가 PCV2 백신, ‘써코백’! '써코백(Circovac)'은 세계 최초로 개발된 써코 백신으로, 모돈과 자돈 모두에게 사용이 허가된 유일한 백신입니다. 써코 바이러스 전체 항원(Whole virus)을 함유하고 있으며, 면역증강제 '이뮨이지'로 강력하고 안전하게 면역을 유도합니다. ▶ 세계 최초 & 유일! 모돈/후보돈/자돈 허가 백신 ▶ 강력하고 안전하게 면역 유도 ▶ 출하까지 강하고 오래 유지되는 면역지속기간(DOI) ▶ PCV2d에 대한 최적의 교차방어능 현재 국내외 양돈 농가 중 PCV2 백신을 사용하지 않는 곳은 거의 없을 것입니다. 돼지 써코바이러스 2형(Porcine Circo Virus 2; PCV2)은 이미 국내 양돈 농가에 상재화된 병원체로, 대부분 농가는 자돈들이 이유되기 전에 PCV2 백신을 일괄적으로 접종하여 PCV2 감염으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모돈과 후보돈에는 써코 백신을 접종하지 않는 농장이 많아, PCV2 컨트롤의 사각지대로 남아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모돈들이 머무는 임신 교배사는 올인-올아웃(All-in All-out) 구조가 아니기 때문에 돈군 내에서 PCV2의 순환
세바코리아(대표 김용석)가 지난 1일 'MSY 개선 프로젝트, 써코는 모돈부터!'라는 주제로 웨비나가 열고 모돈에 대한 써코 백신 필요성을 전했습니다(관련 기사). 이날 웨비나에는 채찬희 교수(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를 비롯해 신현민 원장(팜스플랜 동물병원), 이현준 팀장(세바코리아 기술지원팀) 등이 발표자로 나섰습니다. '써코 바이러스(PCV2)'는 일령에 상관없이 돼지를 감염시킬 수 있습니다. 살아남기 위해 변이를 거듭하고 있습니다. 소독을 통해 제거가 어려울 정도로 강한 생존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PRRS나 마이코플라즈마 청정 농장은 존재해도 써코 청정 농장은 없습니다. 다행스럽게도 현재 상용화된 대부분의 백신이 예방 효과가 좋아 과거 백신 개발 이전의 5~30%대의 높은 자돈 폐사 피해를 겪고 있는 농장은 없습니다. 하지만 모돈 등 번식돈은 여전히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는 게 전문가의 지적입니다. 채찬희 교수는 "대부분의 농장에서 써코 백신의 자돈 접종 효과에 대해서는 너무나 잘 알고 있지만, 써코 백신의 모돈 접종 효과에 대해서는 잘 모르는 것 같다"라고 말했습니다. 채찬희 교수에 따르면 써코 바이러스는 모돈에 감염되어 유사산 등의 번식장애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