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비육돈 생체 100kg 기준 생산비는 28만4천원이고 두당 순수익은 8만6천원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전년보다 각각 6.3%, 7.1% 증가한 수치입니다.
지난 25일 통계청(청장 황수경)은 지난해 비육돈을 포함한 축산물 생산비와 순수익 조사결과를 발표했습니다.

'17년 축산물 생산비는 육계를 제외한 모든 축종에서 전년보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계란 14.7%, 비육돈 6.3%, 육우 5.6%, 송아지 3.3%, 비육우 2.2%씩 각각 증가했는데 이는 가축비(비육돈, 계란), 노동비, 영농시설비 상승에 따른 것입니다. 육계는 사료가격 하락에 기인하여 전년대비 0.5% 감소했습니다.

‘17년 축산물 순수익은 소축종은 전년대비 감소한 반면, 돼지 및 닭축종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우와 육우는 축산물 판매가격 하락에 기인해 감소했습니다. 반대로, 돼지와 닭은 축산물 판매가격 상승에 힘입어 순수익이 증가한 것으로 분석되었습니다.
한편 비육돈 중심으로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17년 비육돈 생산비(100kg)는 가축비(6,557원↑) 및 사료비(6,288원↑) 등의 상승으로 전년보다 1만7천원(6.3%) 증가한 28만4천원인 것으로 파악되었습니다.

여기에서 생산비는 비육돈을 생산하기 위해 소비된 재화와 용역의 계산단위당 비용을 말하며 기초생산비(일반비)에 기회비용(자가노동비, 자본·토지용역비)를 더한 후 여기에 부산물 수입을 제하여 산출합니다.
기초생산비인 일반비에는 가축비와 사료비, 시설비, 고용노동비, 분뇨처리비 등이 있습니다. '17년 비육돈의 가축비는 전체 생산비 중 26.9%인 7만6천원이며 사료비는 51.8%인 14만7천입니다. 사료비가 여전히 생산비의 과반 이상을 차지합니다. 참고로 생산비에서 기회비용을 제하면 경영비입니다.

또한, ´17년 비육돈(113kg) 두당 순수익은 돼지가격 상승으로 총수입이 늘어 전년보다 4천원 증가한 8만6천원 입니다. '17년 돼지 평균 경락가격은 탕박 kg당 4,947원으로 전년보다 7.1% 증가했습니다.
참고로 총수입은 주산물(도체), 부산물 판매수입과 기타 수입의 총합계액입니다. 사육비는 비육돈을 사육하기 위해 소비된 재화와 용역에 대한 비용가치의 합계를 말하는데 일반비와 기회비용(자가노동비, 자본·토지용역비)의 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