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축산물 생산비 조사 결과가 발표되었는데 축종에 상관없이 전년 대비 모두 증가한 것으로 파악되었습니다. 그런데 수익에서는 축종별로 차이를 보였습니다. 육우는 여전히 적자 신세입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축산물 생산비는 계란이 14.1%로 가장 많이 증가했습니다. 비육돈과 육계가 같은 7.9%로 생산비가 두 번째로 많이 늘어난 것으로 집계되었습니다. 이어 송아지는 7.6%, 한우비육우는 6.0%, 육우는 5.2%, 우유는 4.2%의 생산비 증가를 보였습니다.

통계청은 이들 축산물의 생산비가 모두 증가한 원인에 대해 사료비와 가축비, 자가노동비 등의 상승에 기인한다고 분석했습니다. 비육돈의 경우 사료비와 가축비, 자가노동비는 전년 대비 각각 6.1%, 8.0%, 2.2% 증가했습니다. 100kg 비육돈 한 마리의 생산비는 29만 8천 원입니다. 전년 27만 6천 원보다 2만 2천 원이 늘어났습니다.
지난해 축산물 생산비는 모든 축종에서 증가했지만, 순수익은 그렇지 않은 것으로 집계되었습니다.

비육돈(44.9%)을 비롯해 한우번식우(8.9%), 한우비육우(406.9%), 산란계(658.0%), 육계(69.9%)는 축산물 판매가격 상승으로 순수익이 전년 대비 증가했습니다. 하지만, 젖소는 사육비(3.6%)가 총수입(0.6%)보다 높게(3.0%p) 상승하여 8.5% 감소하였습니다. 육우는 축산물 판매가격 상승으로 적자 규모가 일부 감소했습니다.

지난해 비육돈 마리당 순수익은 전년 4만 7천 원보다 2만 1천 원이 증가한 6만 8천 원입니다. 평균 도매가격이 4,722원을 기록해 전년 대비 12.8% 상승한 결과입니다. 4,722원은 '17년 탕박등급제 시행 이후 최고로 높은 가격입니다.
이득흔 기자(pigpeople100@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