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관련단체협의회(회장 손세희, 이하 축단협)와 더불어민주당 중앙선거대책위원회 농어민본부(본부장 서삼석 의원, 임미애 의원)가 이달 15일 국회에서 ‘6

이번 정책협약에는 ▲축종별 발전법 제정 ▲FTA 피해 대응 및 부채 경감 ▲가축분뇨 자원화를 통한 탄소중립 ▲축산발전기금 확충 ▲축산농가 복지 및 인식 개선 ▲축산 예산 비중 확대 등 축단협이 제시한 6대 핵심 축산정책 과제가 담겼습니다.
정책협약식에는 더불어민주당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어기구 위원장(충남 당진), 이병진 의원(경기 평택을, 중앙선대위 농어민본부 수석부본부장)과 축산관련단체협의회 손세희 회장(대한한돈협회장)을 비롯해 전국한우협회 민경천 회장 등 축산단체 대표자들이 대거 참석해 정책 협력 의지를 다졌습니다.
이날 축사를 통해 손세희 축단협 회장은 “지금 축산업은 기후위기, 개방 압력, 고비용 구조 등 복합위기 속에서 기반 자체가 흔들리고 있다”라며 “이번 협약이 선언을 넘어 입법·예산·제도 개선으로 이어져야 한다”라고 강조했습니다. 특히 손 회장은 “국가 식량주권과 농촌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축산의 역할을 재정립해야 하며, 오늘 이 정책협약은 생존을 위한 절박한 선택이자 미래를 위한 공동 실천의 시작”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에 대해 어기구 위원장은 “축산업은 농업 전체 생산과 국민 식생활에서 큰 비중을 차지함에도 불구하고, 정책 설계나 예산 편성에서는 늘 한발 뒤에 있던 것이 현실”이라며, “오늘 협약에서 약속한 정책과제들이 단순한 선언에 머물지 않도록, 국회와 당 차원에서 입법·예산 과정까지 책임 있게 챙기겠다”라고 화답했습니다.
더불어민주당 선대위 농어민본부 부위원장인 이병진 의원도 “이번 협약은 6월 3일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더불어민주당이 주요 축산정책 공약을 축산업계와 함께 공식화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라며, "축산업의 당면 현안과 구조적 과제를 함께 풀어가겠다는 공동 의지의 표현”이라고 밝히고, “FTA 대응, 전기요금 감면, 축산복지 향상 등 협약에 담긴 각 항목이 선대위의 공약 체계 안에서 실효성 있게 반영될 수 있도록 세부 과제별로 꼼꼼히 챙기겠다”라고 전했습니다.
이근선 기자(pigpeople100@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