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4 (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대관령 25.2℃
  • 흐림북강릉 28.0℃
  • 흐림강릉 29.4℃
  • 흐림동해 24.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많음원주 26.8℃
  • 구름조금수원 28.8℃
  • 구름조금대전 30.2℃
  • 구름조금안동 30.9℃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구름많음고산 26.4℃
  • 흐림서귀포 27.7℃
  • 흐림강화 26.9℃
  • 구름조금이천 28.5℃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조금김해시 30.5℃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많음봉화 29.8℃
  • 구름많음구미 32.0℃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창 32.6℃
  • 구름많음합천 32.5℃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초록] 한국 돼지의 연간 인 배설량 추정

비육용 돼지의 총 연간 인 배설량은 1.94kg, 임신 및 포유 중인 암퇘지의 총 연간 인 배설량은 각각 3.26kg, 6.89kg

본 연구의 목적은 상업용 돼지 사료의 인(P)과 '피틴산 형태의 인(phytate-P)' 농도를 바탕으로 한국 돼지의 연간 인(P) 배설량을 추정하는 것이다.

 

 

16개 양돈장에서 돼지의 다양한 성장 단계에 맞는 시판 사료 58개 시료를 채취하여 P과 phytate-P 농도를 분석했다. P 농도는 0.54%에서 0.66% 사이였다. 자돈 1단계 및 2단계 사료의 phytate-P 함량은 육성 또는 모돈 사료보다 낮았다(0.19% 및 0.22% 대 0.28%~0.31%; p < 0.05).

 

분변 P 배설량은 총 P, phytate-P, phytase(피타아제) 농도를 기준으로 계산했다: 분변 P 배설량(g/일) = [사료의 총 P(g/kg) - '사료 내 가시적 전체 소화관 소화 가능(ATTD)' P(g/kg)] × 사료 섭취량(kg/일). Gompertz 모델을 채택하여 0~180일 동안 출생부터 체중(BW) 121.5kg까지 포유자돈에서 비육돈까지의 사료 섭취량을 추정했다. 임신 및 포유 중인 암퇘지의 사료 섭취량은 NRC에서 가져왔다. 사료의 ATTD P는 다음 방정식을 사용하여 추정했다: ATTD P(g/kg) = 0.135 + 0.649 × 총 P(g/kg) - 0.445 × phytate-P(g/kg) + 0.470 × phytate-P × (1 – e –0.824 × 피타아제). 모든 사료의 피타아제 농도는 500 FTU/kg으로 가정했다. 비육용(market) 돼지의 요 중 인 배설량은 다음 방정식을 사용하여 추정했다; 요 중 인 배설량(g/일) = 체중(kg) × 0.007(g/kg 체중/일). 번식모돈의 요 중 인 배설량은 이전 연구에서 수정했다.

 

비육용 돼지의 총 연간 인 배설량은 1.94kg/년으로 추정되었으며, 이는 93일령에 체중이 44.1kg인 돼지에 해당한다. 임신 및 포유 중인 암퇘지의 총 연간 인 배설량은 각각 3.26kg/년 및 6.89kg/년으로 추정되었다. 비육용 돼지, 임신모돈, 포유모돈의 개체수 비율을 91:7:2로 가정할 때, 한국의 모든 비육용 돼지와 번식용 돼지의 연간 인 배설량은 2.15kg/년으로 추산되었다.

 

[논문 원문(바로가기), Estimation of annual phosphorus excretion from pigs in Korea, 안종영(건국대학교) 외,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2024]

 

번역 돼지와사람(pigpeople100@gmail.com)

배너

관련기사

배너
총 방문자 수
12,619,418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