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4 (목)

  • 맑음동두천 17.1℃
  • 구름조금대관령 14.7℃
  • 구름많음북강릉 16.3℃
  • 구름많음강릉 ℃
  • 구름많음동해 13.9℃
  • 맑음서울 16.2℃
  • 구름조금원주 17.8℃
  • 구름조금수원 14.8℃
  • 맑음대전 17.0℃
  • 맑음안동 18.0℃
  • 맑음대구 19.5℃
  • 구름많음울산 18.9℃
  • 맑음광주 17.8℃
  • 구름조금부산 16.9℃
  • 맑음고창 17.0℃
  • 맑음제주 17.1℃
  • 맑음고산 15.7℃
  • 맑음서귀포 17.9℃
  • 맑음강화 14.2℃
  • 맑음이천 16.5℃
  • 구름조금보은 15.9℃
  • 맑음금산 17.3℃
  • 구름조금김해시 18.6℃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봉화 17.2℃
  • 구름조금구미 20.1℃
  • 맑음경주시 20.2℃
  • 맑음거창 20.0℃
  • 맑음합천 19.1℃
  • 구름많음거제 16.5℃
기상청 제공

[초록] ASF에 대한 국가 가축전염병 정책의 글로벌 비교분석과 디지털 가축 방역체계의 필요성

기존 CCTV 및 전화예찰 등, 아날로그적 체계와 판돈 한계...질병·감염병 예방형 정밀 축산 '디지털 가축방역 시스템' 필요

본 연구에서는 국내 ASF 발병 이후 변화된 살처분 정책 및 보상체계의 변화를 알아보고, 이를 해외 주요국의 현황과 비교, 검토하면서, 관련한 문제점들을 정리 도출하였고, 한국의 방역 정책의 현위치와 향후 개선 및 발전을 위한 바람직한 방법과 방향을 모색하였다. 

 

 

기존 CCTV에 의한 결과 판독 및 전화예찰 응답 등 자체의 증거 기반은 양돈 농장 관리자나 노동자의 육안 관찰 내지 직감, 즉, 사람의 주관적인 관찰에 따른 비과학적 정량 평가에 의존한 것일 수밖에 없어 아직도 기존의 아날로그적 체계와 판독 한계에 머물러 있기에 아쉬운 점들이 적지 않다.

 

이를 극복하는 혁신적인 디지털 솔루션으로서, ‘질병·감염병 예방형 정밀 축산(Disease-Preventing PLF)’ 혹은 일명 ‘디지털 가축 방역’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특히, 이 시스템은 가까운 미래에 수의사 혹은 수의학 전문 인력 등이 전문적인 일상의 업무에서 깊이 관여, 활용함으로써, 관련한 질병·감염병의 조기 감지(early detection) 및 정보 구축 등, 디지털 가축 방역 제반 기술에 대한 주요한 역할을 감당하기 위해 반드시 적응하고 숙지해야 한다고 권고 및 전망하고 있다.

 

따라서 이 시스템의 조속한 농가 도입과 효율적인 운용을 통한 현장 감염병 빅데이터의 획득, 분석 및 디지털 조기 감지 체계의 구축과 개발의 고도화와 아울러 이를 뒷받침하는 지원 정책이 절실히 요구된다.

 

[논문 원문(바로보기), 아프리카돼지열병에 대한 국가 가축전염병 정책의 글로벌 비교분석과 디지털 가축 방역체계의 필요성, 박준영(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수의과학연구소) 외, 대한수의학회, 2024]

 

정리 돼지와사람(pigpeople100@gmail.com)

배너

관련기사

배너
총 방문자 수
11,869,639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