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1.14 (화)

  • 흐림동두천 1.8℃
  • 흐림대관령 -2.0℃
  • 구름많음북강릉 5.3℃
  • 구름많음강릉 5.5℃
  • 구름조금동해 4.8℃
  • 구름많음서울 3.8℃
  • 구름많음원주 3.6℃
  • 흐림수원 2.7℃
  • 구름많음대전 5.8℃
  • 구름조금안동 5.7℃
  • 구름조금대구 8.4℃
  • 맑음울산 8.7℃
  • 연무광주 6.8℃
  • 맑음부산 8.8℃
  • 구름많음고창 4.7℃
  • 맑음제주 11.7℃
  • 맑음고산 11.0℃
  • 맑음서귀포 11.2℃
  • 흐림강화 2.3℃
  • 구름많음이천 3.4℃
  • 구름많음보은 3.9℃
  • 구름많음금산 5.3℃
  • 맑음김해시 8.2℃
  • 맑음강진군 8.0℃
  • 구름많음봉화 5.6℃
  • 구름조금구미 6.7℃
  • 맑음경주시 6.5℃
  • 구름많음거창 4.8℃
  • 맑음합천 8.9℃
  • 구름조금거제 8.7℃
기상청 제공

[초록] 벤조산·사포닌·프리바이오틱스·미네랄 혼합 사료첨가제 급이가 슬러리 피트 내 돈분뇨 저장과정 중 악취 발생에 미치는 영향

기대와 달리 냄새 저감 효과 없는 것으로 나타나...첨가제의 종류, 첨가량, 첨가 방법 등에 따라 악취 저감효과가 다를 수 있음 시사

이번 연구에서는 벤조산(Benzoic acid), 사포닌(Saponin), 프리바이오틱스(Prebiotics), 미네랄(Mineral)을 함유한 혼합 사료 첨가제가 슬러리 피트에 돼지 분뇨를 보관하는 동안 냄새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했다. 이를 위해 사료 첨가제를 0.5% 수준으로 육성돈 사료에 혼합하여 급이하였다. 

 

 

육성돈으로부터 배출된 돈분뇨를 실험실(Lab) 규모의 슬러리 피트 모사 시스템에서 분석한 결과, 암모니아(NH3)는 대조구보다 처리구에서 더 많이 발생하였다. 이는 낮은 수준의 벤조산 첨가로 pH 저감 효과가 미미했으며, 사포닌 성분으로 인한 초기 장내 미생물 활성 증가로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충분한 시간이 필요하나, 본 연구에서는 장내 미생물 조성이 변화되기 전인 20일 이내에 수거한 분뇨를 사용했기 때문에 이러한 결과가 나타났을 것이라 생각된다.

 

황화합물의 발생량 비교 결과, 황화수소(H2S) 발생량은 3주차에 처리구에서 유의하게 저감되었으나, 그 외의 기간에는 대조구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처리구에서 메틸메르캅탄(MM, Methyl Mercaptan)을 제외한 대부분의 황화합물의 발생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저감효과는 관찰되지 않았다. 황화메틸(DMS, Dimethy Sulfide)과 이황화메틸 (DMDS, Dimethyl disulfide)의 발생량도 유사하게 저감효과가 없었으며, 일부 측정 시점에서만 발생량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첨가제의 종류, 첨가량, 첨가 방법, 대상 축종 등에 따라 악취 저감효과가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추가적인 연구에서는 첨가제가 돼지 장내 미생물 변화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시간과 장내 미생물 조성에 대한 분석이 동반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논문 원문(바로보기), Benzoic acid, saponin, prebiotics, mineral 혼합 사료첨가제 급이가 슬러리피트 내 돈분뇨 저장과정 중 악취 발생에 미치는 영향, 김동여(충남대학교 축산환경학과) 외, 축산시설환경학회, 2024]

 

번역 및 정리 돼지와사람(pigpeople100@gmail.com)

배너

관련기사

배너
총 방문자 수
11,014,335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