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4 (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대관령 25.7℃
  • 구름많음북강릉 29.4℃
  • 흐림강릉 30.6℃
  • 구름많음동해 29.5℃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원주 31.2℃
  • 구름많음수원 31.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많음안동 31.2℃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구름조금고산 30.4℃
  • 구름조금서귀포 31.6℃
  • 흐림강화 30.0℃
  • 구름많음이천 30.1℃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맑음김해시 33.0℃
  • 구름조금강진군 31.5℃
  • 흐림봉화 29.4℃
  • 구름많음구미 31.6℃
  • 맑음경주시 32.0℃
  • 구름많음거창 30.1℃
  • 맑음합천 32.4℃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구제역

[기고] 한국 구제역 발생 돌아보기

대녕농장 한병우 대표(swine@swinepractice.co.kr)

2000년 구제역 발생 관련

2000년 3월 25일 국립수의과학검역원은 비무장지대에서 약 5km 떨어진 경기도 파주시에 위치한 한 착유 농장에서 1차 구제역 의심 사례를 공지하였다(1). 2000년 3월 27일 OIE에 구제역 의심 사례를 보고하였다(2). 이환된 홀스타인 암소는 과다한 유연증, 식욕 부진, 침울, 파행, 유두, 입, 혀, 또는 발굽에 수포와 궤양 그리고 비유량의 급감의 증상을 보였다(1,2). 이환된 한우의 경우 병변이 입에서 명백하게 인지되었다. 일부 경우 유두의 수포와 궤양을 보였다. 이환된 토종 한우에서 발 병변은 관찰되지 않았다(2).

 

초기 발생 이후 O형 바이러스에 의한 추가적인 14건의 발생이 2000년 4월 15일까지 보고되었다. 구제역 유행은 살처분(stamping out), 이동제한, 집중 감시와 긴급 예방 접종으로 1개월 이내에 효과적으로 억제되었다. 살처분은 감염 농장과 발생 농장 반경 500m 이내에 위치한 이웃한 농장들이 포함되었다. 총 3개도(경기, 충남, 충북) 6개 시군(파주, 화성, 용인, 홍성, 보령, 그리고 충주)의 182개 농장 2,216두가 유행 중 살처분 되었다.

 

이동제한은 '보호지역(발생 농장 반경 10km 이내)'과 '감시지역(반경 20km 이내)'에 적용되었다. 엄격한 이동제한 조치가 예방 접종 개체들에 적용되었다. 보호지역 내 모든 감수성 동물들은 2000년 8월까지 1차 및 보강 접종하였다. 예방 접종 개체들은 귀 천공(punching; 돼지)과 낙인(branding, 소, 염소 및 사슴)으로 영구적 표시하였으며 이들은 지정된 도축장으로만 출하하였다(2). 그러나 구제역이 안정된 이후 청정화를 위해 예방 접종 동물들에 대한 살처분은 기록은 찾을 수 없다.

 

역학 조사와 발병 상황의 특징

가장 초기 임상 증상들은 1번 농장(파주)에서 2000년 3월 20일에 그리고 2번 농장(홍성)에서 3월 19일과 20일로 기록되었다. 두 농장 간의 거리는 약 150km나 되었다. 파주와 홍성 간 직접적인 질병 전파의 근거는 없었다. 인지되지 않은 상태로 두 곳(홍성과 파주)으로 질병을 전파시킬 수 있는 1차 지표(인덱스) 농장이 있을 것으로 가정하였다. 그러나 동시 발생을 연결할 어떠한 근거도 찾지 못하였다. 다른 5개 지역과 비교하여 홍성에서 신고가 상당히 지연되었고 따라서 2번 농장에서 감염원을 완전 살처분 이전에 이미 이웃 농장으로 확산되었다(2).

 

2000년에 구제역 발생에 대한 역학은 발생 순서가 신고 순서가 아닌 임상 증상을 바탕으로 객관적(과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추정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파주와 홍성에서 신고일은 차이가 있었으나 농장에서 임상 조사 단계에서 병변의 진행 단계를 기반으로 신고가 늦은 홍성의 농장에서 이미 3월 19일에서 20일에 증상을 보이기 시작한 것으로 추정하여 결국 파주와 홍성 농장에서 동시에 증상을 보이기 시작 즉 동시 발생으로 추정하고 있다.

 

분자 역학적 조사

2000년 한국 구제역의 역학적 특징에 대한 식견을 갖기 위해 5개 지역의 7개 농장에서 분리한 구제역 바이러스의 유전적 연관성을 염기 서열 분석으로 조사하였다. 계통발생학적 분석 결과는 한국 바이러스들이 Pan Asian바이러스라는 공동 원종(ancestor)로부터 진화되었고 동일 계통내 적어도 2개의 계통 발생학적 클러스터 변이들이 발생 중 관련되었음을 보이고 있다. 7개 한국 바이러스 모두 1999-2000년에 중국과 타이완에서 만연하였던 바이러스로부터 갈라졌다. 7개 한국 바이러스들은 동일 계통내 2개의 별개 클러스터를 형성하였다. 클러스터 1은 감염 첫 지역(파주와 홍성)의 바이러스를 구성하였다. 클러스터 2는 이후 이환된 지역(보령, 용인, 그리고 충주)지역의 바이러스로 구성되었다. 클러스터 2 바이러스들은 1차 감염 지역의 바이러스들과 추가로 갈라지고 1999-2000년 중동에서 순환되었던 바이러스들로 클러스터를 형성하였다(2)(표 1).

 

 

각 클러스터 내에서 차이는 0-0.6%인 반면, 1차 발생 지역의 바이러스들(파주의 No. 1 O/KOR/PJ; 홍성에서의 2,3 그리고 4번 농장으로부터의 O/KOR/HS1, HS2 and HS3)은 이후 발생 지역(보령, 용인 그리고 충주 지역 각각 O/KOR/BR, /YI and /CJ)에서 분리된 것들과 비교에서 3.2에서 3.8%의 큰 차이를 보였다(2).

 

일반적으로 계통발생학적 분석 결과에서 클러스터가 다르면 직접적인 전파 관계가 없는 것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2000년 한국 구제역의 경우 2개의 조상이 서로 다른 구제역 바이러스가 유입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감염 경로 추정

구제역과 같은 감염성 질병이 발생하면 가장 관심을 갖게 되는 것이 어떠한 경로로 원인체가 유입되었는지에 초점을 맞추게 된다.

 

2000년 구제역 발생의 특징은 첫째, 동시 증상을 보이기 시작하여 서로 역학적 관계가 없는 150km나 떨어져 있는 파주와 홍성으로 떨어져 있다는 점이다. 둘째, 이후 발생한 사례에서 분리된 바이러스는 이전 파주와 홍성과 유전적 관계가 직접 전파 관계로 볼 수 없을 정도로 염기 서열의 차이를 보였다는 점이다.

 

발생 시 조직된 '국립구제역역학조사위원회'는 3가지 잠재적 근원을 제시하였다. 이들은 수입 건초, 국제 여행객 그리고 황사를 포함하고 있다(2).

 

대책과 역학 조사의 특성

2000년 첫 신고 농장인 경기도 파주에 이어 충남 홍성에서도 수일 차이를 보이면서 발생 신고가 있었다. 이에 대한 역학 조사 내용은 유사한 시기에 첫 증상을 보인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즉 발생이 신고 순서가 아닌 수포 등 구제역 특이 병변의 상태를 파악하여 첫 증상 발현 시기를 추정하였다. 이는 비록 구제역 발생이 없었지만 구제역 역학 조사의 기본적 준비에 충실했음을 반영하고 있다.

 

어느 국가든 방역당국에 구제역 의심 신고를 하면 수의당국은 구제역 전문가를 파견하여 시료를 채취하고 강력하게 구제역이 의심될 경우 모든 동물들을 관찰하여 가장 오래된 병변으로 첫 발생 발현 시기를 추정한다. 이후 이 첫 증상 발현 시점을 기준으로 이동제한 범위 등 제반 조치의 취하게 된다. 2000년 당시 이러한 국제 표준에 충실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당시 파주 홍성 이외 지역에서 구제역 발생 신고가 잇따르자 긴급하게 예방 접종을 실시하였다. 이 또한 유럽연합의 정책과 일치한 조치이다. 즉 파주와 홍성에서 구제역 바이러스의 탈출 방지를 위해 통제하고 있었는데 그 통제 범위 밖에서 구제역 바이러스가 순환되고 있었던 것으로 이러한 경우 우선 전파 속도를 늦추기 위해 예방 접종 정책이 권장되고 있다.

 

2000년 발생에서 아쉬운 점은 예방 접종한 개체들을 표시하여 지정 도축장으로만 이동이 허용한 점은 이해가 되나, 구제역 청정화를 예방 접종 모든 개체를 살처분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이는 예방 접종으로 극소수의 개체들에서 구제역 바이러스가 순환될 수 있는 여지를 남겨두게 되었다. 이러한 조치는 2001년 네덜란드에서 예방 접종 후 청정화 대책과 비교된다. 또한 2002년 구제역 발생과의 연관성에 강한 의문을 남기게 된다.

 

참고 문헌

  • Jin-ho Shin et al., 2003 Identification and isolation of foot and mouth disease virus from primary suspect cases in Korea in 2000 j vet med sci 65(1): 1-7

  • Jin-Ho SHIN, Hyun-Joo SOHN, Kang-Seuk CHOI, Byung-Jun KWON, Young-Joon KO, Dong-Jun AN, Sang-Ho CHA, Jong-Hyeon PARK, Woo-Seog JEONG, Jee-Yong PARK, Cheong-Up CHOI, Chang-Hee KWEON, Jae-Young SONG, Jong-Yeom KIM, Soo-Hwan AN, Soon-Jae KIM and Yi-Seok JOO 2003 Molecular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of Foot-and-Mouth Disease Virus in Korea in 2000 J. Vet. Med. Sci. 65(1): 9–16

  • P W Mason, J. M. Pacheco, O.-Z. Zhao, and N. J. Knowles 2003 Comparisons of the complete genomes of asian african and european isolates of a recent FMD type O pandemic strain J general virology 84, 1583–1593

 

 

※ 대표 사진은 구제역 바이러스에 감염된 젖소(출처 국립수의과학검역원)

배너

관련기사

배너
총 방문자 수
12,809,457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