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3 (목)

  • 맑음동두천 2.2℃
  • 흐림대관령 1.2℃
  • 흐림북강릉 7.0℃
  • 흐림강릉 7.7℃
  • 구름많음동해 8.1℃
  • 박무서울 5.6℃
  • 구름많음원주 2.1℃
  • 박무수원 5.0℃
  • 박무대전 6.0℃
  • 맑음안동 4.3℃
  • 박무대구 5.0℃
  • 구름조금울산 7.3℃
  • 구름많음광주 7.5℃
  • 맑음부산 9.6℃
  • 맑음고창 6.7℃
  • 구름많음제주 9.8℃
  • 구름많음고산 9.3℃
  • 맑음서귀포 11.1℃
  • 맑음강화 5.4℃
  • 흐림이천 3.4℃
  • 구름조금보은 1.7℃
  • 맑음금산 4.3℃
  • 맑음김해시 6.3℃
  • 흐림강진군 6.2℃
  • 맑음봉화 2.1℃
  • 흐림구미 4.3℃
  • 구름조금경주시 6.8℃
  • 맑음거창 3.2℃
  • 맑음합천 4.0℃
  • 맑음거제 7.8℃
기상청 제공

[초록] 번식모돈 등지방·등각 측정위치 및 시기별 상관관계 분석

등지방과 등각 상관관계 분석 결과 인공수정시기에 상관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

모돈의 등지방은 번식성적과 관련이 있다. 17∼21mm 등지방은 이유 시 높은 한배 새끼 수와 관련 있으며(Kim 등, 2015), 체중 90kg인 초산모돈은 등지방 두께가 높을수록 한배 새끼 수와 새끼의 활력이 높았다(Cechova와 Tvrdon, 2006). 또한 임신 말기 등지방은 포유 3∼10일차 돈유 생산량과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Ji 등, 2006).

 

 

양돈농가에서는 모돈관리를 위해 주기적으로 체형을 측정하며 이를 통해 돼지의 건강상태와 복지를 파악할 수 있다. 돼지의 체형측정 방법에는 체중, 가슴둘레, 체평점, 등지방두께, 등각 측정이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적절한 등각 측정 위치와 시기를 구명하여 관리자의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키고자 측정위치별, 측정시기별 등지방, 등각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대한한돈협회에서 보유하고 있는 모돈 F1(Y×L) 300두를 대상으로 P1(제4늑골), P2(최후늑골), P3(최후요추)에서 인공수정 1일 전, 임신 30일령, 임신 80일령, 분만시에 등지방과 등각을 각각 측정하였다. 측정위치별로 등지방등각 간 상관계수는 P2(0.52), P3(0.45), P1(0.40) 순으로 P2에서 가장 상관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측정시기 별로는 인공수정 1일 전(0.59), 임신 30일령(0.54), 임신진단 80일령(0.48), 분만시(0.45)로 순으로 인공수정 1일 전에 가장 상관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등지방과 등각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인공수정시기에 상관성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고, 인공수정시기 등각과 번식성적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논문 원문(바로보기), 번식모돈 등지방·등각 측정위치 및 시기별 상관관계 분석, 전다연(국립축산과학원 양돈과) 외, 한국산학기술학회, 2022]

 

정리 돼지와사람(pigpeople100@gmail.com)

배너

관련기사

배너
총 방문자 수
11,631,987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