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생자돈은 체온조절 능력이 떨어지고 게다가 젖은 상태로 태어나 다른 돼지에 비해 쉽게 저체온증에 걸릴 수 있습니다. 이러한 위험은 다산성모돈 보급으로 자돈의 생시체중이 낮아지면서 심해지고 있습니다. 이 경우 간호분만, 보온구역, 분할포유 운영 등 더욱 세심한 관리가 요구됩니다. 이런 가운데 분말 형태의 '자돈건조제'를 사용하는 농가가 점차 늘고 있습니다. 자돈건조제는 마치 수건과 같이 갓 태어난 자돈의 몸에 붙어 있는 수분(양수)과 막을 제거해 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통해 자돈의 빠른 체온회복뿐만 아니라 더욱 많은 초유섭취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돼지와사람(pigpeople100@gmail.com)
돼지에게 충분한 물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수질뿐만 아니라 수압, 급수장치(니플) 갯수 및 위치 등도 중요합니다. 저체중 돼지 및 환돈에게는 별도의 급수기(장치)를 제공합니다. 보조 급수는 돼지의 호기심 등을 자극해 더 많은 물과 사료를 먹을 수 있게 합니다. 특히, 비육돈의 경우 출하일령 단축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 양돈장 음수관리의 모든 것 1강: 양돈장 음수관리의 기준 2강: 깨끗하고 신선한 물의 공급 3강: 편리하고 충분한 물의 공급 4강: 허실과 낭비가 없는 음수관리 정리 돼지와사람(pigpeople100@gmail.com)
돼지는 생각보다 청결한 것을 좋아하는 동물입니다. 지저한 물은 잘 안 먹습니다. 이에 급수라인과 급이기는 항상 청결하게 유지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은 경우 설사를 유발합니다. 또한, 물은 신선해야 합니다. 음수탱크가 외부, 특히 햇볕에 노출되지 않도록 합니다. 수질검사는 1년에 최소 2회 이상 실시해 물의 품질과 안전을 점검합니다. ● 양돈장 음수관리의 모든 것 1강: 양돈장 음수관리의 기준 2강: 깨끗하고 신선한 물의 공급 3강: 편리하고 충분한 물의 공급 4강: 허실과 낭비가 없는 음수관리 정리 돼지와사람(pigpeople100@gmail.com)
'물'은 가장 값싼 영양소입니다. 하지만, 이를 잘못 관리하는 경우에는 가장 값 비싼 대가를 치러야 할 만큼 양돈에 있어 중요한 요소 가운데 하나입니다. 관리자는 돼지의 성장 또는 번식 단계별로 그리고 환경에 따라 충분한 양의 물을 돼지에게 제공해야 합니다. ● 양돈장 음수관리의 모든 것 1강: 양돈장 음수관리의 기준 2강: 깨끗하고 신선한 물의 공급 3강: 편리하고 충분한 물의 공급 4강: 허실과 낭비가 없는 음수관리 정리 돼지와사람(pigpeople100@gmail.com)
25년 봄 날씨가 예년과 다르다. 지구 온난화의 영향으로 무더위가 앞당겨질거라 생각해 지자체마다 봄꽃 축제 행사 일정을 앞당겼지만, 현실은 4월 중순에 눈이 내리고 있다. 4월 중순의 추위는 올 여름 더욱 큰 더위를 가져올지, 지구 온난화의 진행 속에서 또다른 이상 기온현상을 가져올지 알수 없다. 25년 1/4분기를 지나면서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30kg 자돈 매매가의 상승과 전체 양돈사료량의 감소이다. 23월말~24년초 PED, 고병원성 PRRS의 확산으로 번식성적이 하락하고, 모돈의 항병력에 문제가 생겼다. 여기에 24년 여름은 9월 더위가 어느 때보다 극심해 실제 30kg 자돈 판매가 이뤄지는 25년 1~2월부터 영향을 주고 있다. 25년도 더위와 질병 이슈 외에도 모돈의 면역력과 번식성적에 악재 요인의 등장 가능성이 높고, 농장에서는 이를 대비해 늘 경쟁력 있는 후보돈의 준비가 되어야 한다. 이 글을 통해 후보돈 선별시 초종부 일령과 체중에 대해 고민해 보고, 후보돈 선발 조건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1.초종부 일령과 체중 후보돈 사료의 목표는 단순히 빠른 증체가 아닌, 충분한 골격 형성과 번식기관의 발달, 안정적인 연산성을 위한 튼튼한 지제 형성
신생자돈은 건강상태, 면역반응, 감염 및 백신접종에 대한 민감성 면에서 상당한 다양성을 보인다. 최신 자료에 따르면 모돈의 '분만 횟수(산차)'가 자돈의 건강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며, 2산 및 3산인 모돈이 1산 또는 그 이상 산차인 모돈에 비해 자돈의 건강이 더 안정적이다. 장내 미생물군은 숙주의 건강에 근본적인 역할을 하며, 숙주와 함께 진화하고 수직 전파를 통해 새끼의 발달에 기여한다. 모체 미생물군이 신생아의 결과에 미치는 잠재적 영향을 고려할 때, 본 연구는 모돈의 장내 미생물군에서 모돈의 산차와 관련된 차이를 조사하고 모돈과 자돈의 건강에 미치는 잠재적 영향을 조사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분변 샘플은 산차가 다른 모돈 25마리(1, 2, 3, 4, 8산)에서 채취하여 PacBio Sequel II 플랫폼을 사용하여 전체 길이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을 실시했다. 분석 결과, 산차가 적은 모돈(1~2산)과 산차가 많은 모돈(3~8산)의 미생물군 구성에 상당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테네리쿠테스(Tenericutes)의 상대적 풍부도는 산차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했다(P<0.01). 산차가 낮은 모돈은 로도스피릴라세(Rh
배꼽탈장(umbilical hernia, UH)은 돼지에서 흔히 발생하는 발생학적 결함으로, 환경적 요인과 유전적 요인에 의해 모두 영향을 받는 다인자형질(multifactorial trait)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양돈농장에서 UH의 발생률을 조사하고 UH 개체의 종돈 활용이 돼지의 번식형질에 미치는 영향을 시험하였다. 조사된 양돈농장에서 UH의 발생은 0.1%-3.0%의 범위를 나타내었고, 1개 농장을 제외한 모든 농장(95.7%)에서 UH 발생개체들이 발견되었다. UH 발생개체를 활용한 번식시험 결과, UH-연관교배와 후손들은 정상 대조축군과 임신기간, 출생자돈수, 생존자돈수, 생시체중과 21일령체중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P < 0.05). UH-연관교배는 정상 대조집단에 비해 임신기간이 더 길고, 출생자돈수와 생존자돈수가 감소하며, 생시체중과 21일령 체중이 더 가벼웠다. 흥미로운 점은 감소된 자돈수는 약 1/4에 해당하여, UH 유전형질이 아마도 돼지의 배발생과정에서 치사유전자(lethal gene)로써 결정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UH 발생은 UH-연관교배에서 대조축군에 비해 유의적으로(P < 0.05)
돈트리움(대표 남기석, 경남 함양)은 모돈 190두를 포함해 전체 돼지 사육두수 3천두 규모의 일관사육 농장입니다. 특이하게 외부인력 없이 가족경영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생산성('24년 PSY 32.2, MSY 30.8)뿐만 아니라 등급성적, 냄새환경 측면에서 전국적으로 선도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남이현 팀장은 1·2 세대의 조화와 소통, 업무분담을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꼽았습니다. 그러면서 내 농장의 성적을 정확히 파악하고 목표를 세울 것을 제안했습니다. 농장의 강점은 키우고 약점은 보완할 것도 당부했습니다. 긍정적인 마인드를 견지할 것도 주문했습니다. 정리 돼지와사람(pigpeople100@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