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TN이 환경부의 멧돼지 검사 비율의 문제점을 지적했습니다(관련 기사).
YTN은 지난 25일 'ASF 감염지역 제대로 파악했나...포획 멧돼지 검사 신뢰도 논란'이라는 보도를 통해 '환경부가 ASF 비발생지역 내 포획된 멧돼지에 대해서는 5% 정도의 표본 검사를 실시해 ASF 확산 지역 파악에 헛점이 있다'며, 이에 '신속한 감염지역 파악을 위해 검사 비율을 대폭 늘려야 한다'고 전했습니다.
이같은 지적은 한돈산업 내부에서 오래 전부터 있어 왔습니다. 대표적으로 강원대학교 수의과대학 박선일 교수입니다.
박 교수는 지난해 10월 열린 한국양돈수의사회 연례세미나에서 '환경부의 비발생지역 야생멧돼지 대상 5% 표본 검사에 대해 감염멧돼지를 검출하는데 실패할 확률이 70~80%에 이를 것'이라며, '이를 개선하지 않을 시 ASF 야생멧돼지의 확산을 조기에 발견할 수 없을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실제 발표 두 달 후 강원도 영월과 양양 등 기존 발생지와 각각 82km, 34km 떨어진 지점에서 감염 멧돼지가 확인되었습니다. 전혀 예상치 못한 지역에서 발견된 것입니다.
이날 YTN의 보도에 환경부는 빠르게 반응했습니다. 환경부는 폐사체에 대해서는 전국적으로 전수검사('19.10.3~)를 실시하고 있는 가운데 포획개체에 대해서는 검사를 늘리겠지만, 전수검사는 계획이 없음을 분명히 했습니다.
환경부는 설명자료를 통해 "ASF 검출률이 낮은 포획 개체에 대해서는 발생지역 및 인접 경기도 4개 시군(의정부, 남양주, 양주, 동두천), 강원도 5개 시군(홍천, 횡성, 평창, 강릉)과 최근 ASF가 발생한 영월과 제천, 단양, 충주 지역까지 전수 검사 중이다"며, "야생멧돼지 ASF 발생 상황에 따라 검사지역을 확대해나갈 계획이다"고 밝혔습니다.
이득흔 기자(pigpeople100@gmail.com)
※[참고] 국내 ASF 실시간 현황판(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