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2 (월)

  • 흐림동두천 1.0℃
  • 흐림대관령 -1.7℃
  • 북강릉 1.0℃
  • 흐림강릉 1.3℃
  • 흐림동해 3.1℃
  • 서울 3.2℃
  • 흐림원주 3.7℃
  • 흐림수원 3.7℃
  • 대전 3.3℃
  • 안동 4.5℃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고산 10.9℃
  • 구름많음서귀포 13.4℃
  • 흐림강화 2.2℃
  • 흐림이천 3.7℃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김해시 7.1℃
  • 흐림강진군 8.7℃
  • 흐림봉화 5.0℃
  • 흐림구미 5.8℃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창 4.2℃
  • 흐림합천 7.3℃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아프리카돼지열병

ASF는 어떻게 전파되고 확산되는가?

source : j S. Arf. Vet. Ver 2009, 80(2):58-62 / 번역: 대녕농장 한병우 대표(swine@swinepractice.co.kr)

아프리카 돼지열병 바이러스(이하 ASFV)는 감염된 돼지와 감수성 있는 돼지 간의 접촉 중 직접적으로, 감염된 돼지에서 유래된 고기의 섭취, 감염된 좀진드기과의 일종인 Ornothodoros spp에 물림에 의해 그리고 감염된 돼지로부터의 혈액, 분변, 오줌 및 침과 같이 바이러스를 함유한 물질에 오염된 여러 가지 물질이나 사물(깔집, 사료, 장비, 의류와 장화, 차량)과의 접촉에 의해 전파된다. 

비록 아프리카에서 아프리카산 혹멧돼지(Warthog)가 ASF 바이러스의 자연 숙주라 할지라도 이들은 가축으로 사육하는 돼지들에게 직접적으로 바이러스를 전파 시킬 수 없음은 잘 입증되었다. 기타 아프리카산 멧돼지(Potamochoerus 속의 아프리카 남부의 멧돼지(bush pigs)와 학명이 Hylochoerus meinertzhageni 인 자이언트숲멧돼지(giant forest hog))의 역할은 만약에 있다 하더라도 ASF의 역학에서 명확하지 않으나, 멧돼지(bush pig)는 실험적 조건 하에서 가축화 돼지들에게 바이러스를 전파시킬 수 있다. 

실험적 연구는 ASFV가 단거리 즉, 2미터를 넘지 않는 거리에서 공기 전염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좀진드기들 이외 상당한 시간 동안 48 시간 까지) ASFV를 지킬 수 있고 다른 돼지들에게 전파시킬 수 있음을 보여준 유일한 다른 절지동물은 침파리(쇠파리:Stomoxys spp)이다. 이들은 작은 파리이기 때문에 이들이 우연히 다른 농장으로 이송되지 않는다면 집단 범주 내에서 질병을 전파시킬 수 있을 것이다. 

입증되지 않았으나 제시되어 왔고 극단적으로 일어날 것 같지 않은 것으로 나타난 ASF 바이러스의 다른 잠재적인 근원은 물(바이러스가 희석되고 따라서 감염 용량이 될 수 없을 것 같음), 설치류, 조류들이 있다. 임신 기간 중 모돈으로부터 태축으로 전파는 신뢰할 만한 근거가 없다. 

돼지에서 성적 전파는 입증되지 않았으나 생식 분비물로 ASFV가 배설되어 따라서 OIE의 규정은 정액에 ASFV가 없어야 한다는 지침을 제공하였다. 

자유롭게 돌아다니는 돼지들은 근원이 다양한 돼지들과 접촉하고 감염된 돼지들의 잔류물을 함유한 잔반과 ASF로 죽은 돼지들을 섭취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하는 쓰레기 더미를 뒤지거나 썩은 고기를 먹는 습성으로 인하여 ASFV에 노출되기 쉽다. 그러나 ASFV의 확산에 있어 사람이 특히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인지되고 있다. 

이들은 종종 장거리로 돼지들과 그 생산물을 이동시키는 책임이 있을 뿐 아니라 오염물을 적절한 위생적 조치를 하지 않아 오염되지 않은 축사로 바이러스를 이동시킬 수 있는 매개체로 작용할 수 있다. 감염된 돼지의 혈액으로 오염된 주사침을 이용하는 주사침의 역할은 입증되었다. 

감염된 돼지들은 질병의 임상 증상이 발현되기 48시간 이상 동안 전염성 용량의 바이러스를 배설할 수 있으므로 이 질병의 잠복기 기간이 아주 위험성이 있고 질병의 임상적 단계 중 아주 많은 용량의 바이러스들이 혈액, 분비물 및 배설물에 존재한다. 

회복한 돼지들은 임상 증상이 사라진 이후 한 달까지도 바이러스를 배설할 수 있다. 회복한 돼지들이 바이러스의 장기간 보독체(carrier)가 될 수 있다는 근거는 없으나, 대규모 돼지 집단에서는 ASFV가 감수성 개체들이 지속적으로 공급되기 때문에 장기간에 걸쳐 유지될 수 있다. 바이러스의 유지와 순환될 수 있는 능력은 ASFV에 대하여 어느 정도 저항성이 발현되는 돼지 집단에서 촉진 된다.
 
ASF 바이러스는 단백질 성 환경에서 장기간 동안 생존할 수 있는 놀란 만한 능력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ASF의 전염성 단계에서 도축된 돼지들 또는 질병으로 자연사한 돼지들로부터의 고기는 바이러스의 중요한 근원이 된다. 

바이러스는 불활화 시키기 위해 적어도 20분 동안 60℃의 온도에 노출시킴이 필요한 정도로 고온에 대하여 아주 저항성이 있으며 따라서 냉장이나 냉동 돼지 고기뿐 아니라 훈증(smoked), 염장(salted), 그리고 건조(dried)된 돼지고기도 전염성 용량의 바이러스를 함유할 수 있다. 

ASF 바이러스는 또한 부패됨에서 불구하고 골수와 같이 일부 조직에서 장기간 동안 생존할 수 있다. 질병이 상재화 된 지역에서 감염된 죽은 고기를 먹는 돼지들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배너

관련기사

배너
총 방문자 수
9,145,520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