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17일 기준 ASF 감염멧돼지가 28일째 추가 발견이 없는 상황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지난달 19일 연천 사례 이후 전국적으로 감염멧돼지를 포획하거나 폐사체를 전혀 발견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28일은 역대 최장 기록입니다.

사실 16일 어제부터가 27일째로 종전 기록 26일(관련 기사)를 깬 최장 기록의 시작이었습니다. 그런데 안타깝게도 이날 경기도 파주 사육돼지에서 4개월 만에 ASF가 발생했습니다. 나올 것은 안나오고 나오지 말아야 할 것이 나온 셈입니다.
파주 ASF 발생과 관련해 정부는 신속하게 보도자료를 내고 확산 차단 의지를 보였습니다. 하지만, 최근 감염멧돼지 발견건수 감소에도 좀처럼 사육돼지에서의 발생이 이어지고 있는 상황에 대한 근본적인 원인 분석과 대안 모색은 그 어디에도 찾아볼 수 없었습니다. 또 다시 농장의 방역 해이를 발생 원인으로 지목할 태세입니다.
새 정부가 들어섰지만, 방역정책은 아직까지 토씨 하나 바뀌지 않고 동일합니다. 복사·붙어넣기(복붙) 수준입니다. ASF 해결은 여전히 요원해 보입니다. 사육돼지에서의 ASF 재발생은 시간의 문제입니다.
(지난해 7월 철원 발생 관련) 한덕수 국무총리는 5월 21일(화) 강원 철원군에서 발생한 ASF 상황을 보고받고 농식품부는 (중략) 8개월만에 아프리카돼지열병이 재발생한 만큼, 경각심을 갖고 초동방역에 만전을 기하여 추가 확산을 막을 것, 구체적으로 발생 농장에 대한 출입통제, 살처분, 역학조사, 일시이동중지 등 긴급행동지침에 따른 차단방역을 신속히 추진할 것을, 환경부는 발생농장 일대에 설치한 울타리를 긴급 점검·보완하고, 야생 멧돼지 폐사체 수색과 포획활동에 만전을 기할 것을 긴급지시하였다.
(7.16 파주 발생 관련) 김민석 국무총리는 경기도 파주에서 ASF가 발생한 상황을 보고받고 농식품부에는 발생 농장에 대한 출입통제, 집중소독, 살처분, 일시이동중지 등 긴급행동지침에 따른 방역조치를 차질없이 추진하고, 역학조사를 통해 발생 경위를 철저히 조사할 것을, 환경부에는 발생농장 일대의 울타리 점검 및 야생 멧돼지 폐사체 수색과 포획 활동에 만전을 기할 것을 긴급지시하였다.

(3.16 양주 발생 관련) 중수본은 “아프리카돼지열병이 확산되지 않도록 관계기관 및 지자체는 신속한 살처분, 정밀검사, 집중소독 등 방역 조치에 총력을 기울여 줄 것”을 강조하며, “양돈농가에서는 농장 내·외부를 철저히 소독하고, 야생멧돼지 출몰지역 입산 및 영농활동 자제, 축사 출입 시 소독 및 장화 갈아신기 등 기본적인 방역수칙을 준수하여 줄 것”을 당부하였다.
(7.16 파주 발생 관련) 중수본은 “아프리카돼지열병이 확산되지 않도록 관계기관 및 지자체는 신속한 살처분, 정밀검사, 집중소독 등 방역 조치에 총력을 기울여 줄 것”을 강조하며, “양돈농가에서는 농장 내·외부를 철저히 소독하고, 야생멧돼지 출몰지역 입산 및 영농활동 자제, 축사 출입 시 소독 및 장화 갈아신기 등 기본적인 방역수칙을 준수하여 줄 것”을 당부하였다.
이득흔 기자(pigpeople100@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