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F 실시간 현황판 두 번째 웹페이지입니다. 첫 번째 웹페이지는 여기로(바로가기)!
[국내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발생 및 의심 관련 정보를 수시 업데이트 예정입니다. 다만, 집계에서 오류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해 보시기 바랍니다. 또한, 해당 페이지에 모든 콘텐츠의 저작권은 없습니다. 출처 표기 후 편하게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돼지와사람]
▶ASF 발생현황 누적 3426건(일반돼지 38건/감염멧돼지 3388건/지도출처: ASF 중수본/환경부 국립야생동물질병관리원)
- 국립야생동물질병관리원, 4월 3일부터 환경조사 주요 10개 시군 토양, 하천, 매몰지 대상 바이러스 조사
- 4.5일 농식품부, 농장 내 금지된 차량 진입 금지, 동일법인 소유 축산기자재 공유 금지, 시도간 돼지분뇨차량 이동 제한
- 7일 포천 발생농장 동일 법인 농장(8호) 대상 4번째 정밀검사 결과 전건 음성
- 11일 ASF 중수본, 접경지역 10개 시군 중심 방역관리 강화 방안 발표
- 14일 포천농장 추가 발생(#36), 출하 전 검사서 양성돈 확인....경기·강원 7개 시군 48시간 스탠드스틸 발령
- 16일 경북 상주 차단울타리 밖 감염멧돼지 추가(#3046)
- 17일 포천 양돈농장 종사자 대면 교류 당분간 금지(~이동제한 해제 시까지)
- 4.18일 농장 소유 승용·승합차량 축산차량 등록 의무화(가축전염병예방법 시행규칙 개정, 10월 18일부터 적용)
- 5.17일 경기 포천 방역대 완전 해제
- 7.18일 강원도 철원 6077두 규모 일관사육농장 출하 전 검사서 ASF 확진.....접경지역 10개 시군 48시간 스탠드스틸
- 8.7일 경북 안동서 첫 감염멧돼지 발견
- 8.18일 경북 영양서 첫 감염멧돼지 발견.....역대 감염멧돼지 발견시군 37곳으로 확대
- 8.22일 경북 영덕 소재 주왕산 국립공원서 첫 감염멧돼지 발견
- 8.23일 강원 철원 방역대 완전 해제
- 9.3일 경북 봉화 소재 청량산 도립공원서 감염멧돼지 확인(8.31 폐사체로 발견)
- 9.4일 경북 청송서 첫 감염멧돼지 발견...역대 감염멧돼지 발견시군 38번째
- 9.24일 정부 '경북지역 ASF 확산 차단 대책' 발표
- 9.25일 강원 화천 1600두 규모 일관농장 예찰 과정서 ASF 확진...화천 및 인접 시군 5개 시군 대상 48시간 스탠드스틸 발령(26일 1246두 살처분)
- 10.10일 국립야생동물질병관리원, 베트남과 ASF 백신 개발을 위한 야외 임상시험 공동 연구 논의
- 10.31일 경북 포항서 첫 감염멧돼지 발견...역대 감염멧돼지 발견시군 39개로 확대
- 11.13일 환경부 ‘야생멧돼지 ASF 겨울철 중점 관리대책’ 발표...멧돼지 포획 및 수색 강화
▶국내 ASF 발생 양상('23.5.31 기준)@농림축산식품부, 농림축산검역본부
◈ASF 확진 및 의심농가 위치(주황색: 사육돼지 발생, 보라색: 감염멧돼지, 파란색: 최근 1개월간 추가 양성멧돼지)
◈ (발 생) 일반돼지 38건(경기17, 인천5, 강원16), 야생멧돼지 3388건(경기 674, 강원 1879, 충북 441, 경북 394)
▶11월 지역별 ASF 야생멧돼지 발견 현황@돼지와사람 편집
▶(확진농가) 누적 기준 38건(파주6, 연천2, 김포4, 포천5, 강화5, 화천3, 영월1, 고성1, 인제2, 홍천2, 양구1, 춘천2, 철원3, 양양1)
- 경기 17건: 파주 6(연다산동/'99.9.16, 적성면/9.23, 파평면·적성면/10.2, 문산읍/10.3)/'22.9.29), 연천 2(백학면/9.17, 신서면/10.9), 김포 4(통진읍/'19.9.23/10.3/'23.01.22, 하성면/'22.9.28), 포천 4(관인면/'23.01.06, 영중면/'23.03.20/'03.31, 창수면/'23.03.30/04.14)
- 인천 5건: 강화 5(송해면/9.24, 불은면/9.25, 삼산면/9.25, 강화읍/9.26, 하점면/9.27)
- 강원 15건: 화천(상서면/'20.10.9/10.10, 하남면/'23.09.25), 영월(주천면/'21.5.5), 고성(간성읍/'21.8.8), 인제(인제읍/'21.8.16, 남면/'21.10.6), 홍천(내촌면/'21.8.26, 화촌면/'22.5.26), 양구(국토정중앙면/22.8.18), 춘천(동산면/22.9.19/9.20), 철원(동송읍/'22.11.09, 동송읍/'23.1.11, 갈말읍/'23.7.18), 양양(손양면/'23.2.12)
▶일별 ASF 야생멧돼지 검출 현황@돼지와사람 자료 편집
▶(야생멧돼지) ASF검출 4개 시도, 39개 시군 3388건(연천418, 철원37, 파주100, 화천426, 양구81, 고성12, 포천94, 인제158, 춘천222, 가평62, 영월241, 양양36, 강릉110, 홍천63, 평창46, 속초1, 정선175, 횡성63, 삼척96, 단양167, 제천88, 원주83, 동해8, 보은73, 충주100, 상주76, 울진50, 문경64, 영주11, 태백19, 봉화50, 괴산12, 예천10, 영덕45, 음성1, 안동12, 영양31, 청송37, 포항7)@돼지와사람
▶월별 ASF 야생멧돼지 발견 현황(아래 세 번째 그래프는 월별 누계임)@돼지와사람 편집
▶시도별 월별 ASF 야생멧돼지 발견 현황@돼지와사람 편집
▶월별 양성멧돼지 발생시군 숫자
◈ (야생멧돼지) 일자별 양성 개체 발생 추이(계속, '23년 4월~)
◈ ASF 관련 정부 규정 및 자료
- 아프리카돼지열병 대응 음식물류폐기물 관리 표준행동지침(SOP, 2019.9)
- 야생멧돼지 아프리카돼지열병(ASF) 표준행동지침(SOP, 2020.10)
- 아프리카돼지열병(ASF) 역학조사분석보고서: 2019~2021년
ASF 실시간 현황판 두 번째 웹페이지입니다. 첫 번째 웹페이지는 여기로(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