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축산식품부(이하 농식품부, 장관 김현수)가 내년도 소관 예산 및 기금안 총지출 규모를 금년대비 3,581억원(2.3%↑) 증액된 16조 1,324억원으로 편성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농식품부의 예산 및 기금안 편성의 기본 방향은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사회 구조 변화에 적극 대응하고, 사람과 환경 중심의 농정 성과가 가시화될 수 있도록 재정지원을 뒷받침한다'는 것입니다.
주요 내용을 요약하면 ▶농산업 디지털화 ▶기후 변화 대비 ▶공익적 기능 확대 ▶살고 싶은 농촌공간 ▶소득·경영 및 가격안정 ▶특색·신규사업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이번 예산안에서 한돈산업 등 축산 관련 눈에 띄는 대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축산물 도매시장 온라인 경매 플랫폼 구축(신규사업, 25.5억원), 지육영상, 이력, 등급 판정 등 객관적인 정보를 온라인으로 제공하고 원격지에서 상장·경매·배송이 가능한 시스템 구축·운영
○ 스마트팜 혁신밸리(4개소)의 차질 없는 완공을 지원하고, 스마트팜 실증, 차세대 기술 연구(신규 178억원) 등 스마트 농업 경쟁력 제고
○ 농정 현안 대응・농업 기술 국산화 관련 연구 추진 및 1인 가구・비대면 소비 증가 등 식품시장 변화에 따른 새로운 수요에 적합한 제품 개발 지원
○ 로컬푸드의 지속적 확산을 위해 공공급식 통합 플랫폼을 구축(신규 49억원)하고, 로컬푸드 복합 문화센터(5개소, 신규 30억원) 설치
○ 농식품 바우처 제공(35억원 → 89), 임산부 친환경농산물(91 → 158) 및 우유급식 지원(373 → 454) 등으로 취약계층 먹거리 기본권 보장
○ 지역별 여건에 맞게 농촌공간을 주거・산업・축산업 등 용도에 따라 구획하는 등 지자체의 정비 계획 수립 최초 지원(5개소, 신규 25억원)
○ ’20년 FTA피해품목(돼지고기, 밤)의 폐업 지원 예상액 반영(720억원 → 1,100)
○ 코로나19로 침체된 농산물, 외식 소비 활성화 지원(1,480억원)
농식품부는 이번 `21년 예산 및 기금안을 오는 3일에 국회에 제출하고, 12월 심의·의결 및 최종 확정 전까지 농업계와 협력, 국회와 적극적 소통을 통해 예산을 최대한 확보 노력한다는 계획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