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돼지수의사회(회장 고상억, 이하 돼지수의사회)가 오는 24일(목) 충남 연기군에 위치한 홍익대학교 국제연수원에서 '수의포럼' 행사를 개최합니다.

이번 포럼의 주제는 사실상 전국화가 예정되어 있는 'ASF'입니다. 한병우 대표(대녕농장)가 'ASF 역학적 특성에 따른 농장 방역 및 돼지수의사의 역할', 주한수 명예교수(미네소타 대학)가 '중국 ASF 현황 및 ASF 대응 패러다임의 전환 필요성', 박정훈 국장(농식품부)이 '양돈장 방역시설 필요성 및 정부 계획', 이은섭 과장(검역본부)이 '국내 ASF 발생 역학상황'이라는 제목으로 각각 발표할 예정입니다.
이 가운데 가장 주목되는 발표는 '국내 ASF 발생 역학 상황'입니다. ASF가 국내에 유입된지 벌써 2년 6개월째이지만, 아직까지 농장 발생 관련 정부 차원의 역학조사 결과는 단 한 번도 공개되지 않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지난달 농식품부 김인중 차관보는 역학조사 보고서 작성이 검역본부에 의해 마무리 단계이며, 3월 중에는 공개 가능성을 내비친 바 있습니다(관련 기사). 그래서 이번 발표가 주목됩니다.

또 하나 관심을 끄는 발표는 미국의 ASF 백신 개발 현황입니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가장 먼저 상용화를 예고한 베트남 ASF 백신의 원래 균주 및 기술 등의 출처는 미국 USDA(농무부)이기 때문입니다. 이번 발표에서 보다 정확한 백신 개발 소식을 들을 수 있을 수 있을 전망입니다.
포럼에는 ASF 외에 다른 주제 발표도 있습니다. 조호성 교수(전북대)는 국내 양돈장에서의 돼지인플루엔자(SIV) 발생 동향을 전합니다. 엄형민 수의사(동방)는 자사 써코-마이코 합제 백신의 적용 사례를 공유합니다.
이번 수의포럼 행사 관련 보다 자세한 정보는 한국돼지수의사회 사무국(kasv1981@gmail.com)으로 문의하면 됩니다.
이득흔 기자(pigpeople100@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