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적으로 운영되는 '세바 호흡기 관리 프로그램(CEVA LUNG PROGRAM; CLP)'은 도축한 돼지들의 폐병변 스코어링과 혈청학적 조사를 통해, 마이코플라즈마 하이오뉴모니아, 액티노바실러스 플로르뉴모니아 그리고 오제스키병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의 유무와 발생, 순환 패턴, 그리고 그에 의한 영향을 올바르게 평가하는 방법에 대한 방법론과 가이드라인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농장에서는 적절한 예방접종 프로토콜, 사양관리 방법 등을 결정할 수 있다.
도축돈에 대한 폐 병변 모니터링이 지속되면, 축적된 결과들이 강력한 힘을 발휘하게 되어 농장은 실질적인 돈군 호흡기 건강상태를 점점 증진시킬 수 있게 되며, 농장 수익의 향상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1. 마이코플라즈마 하이오뉴모니아(유행성 폐렴 원인체)
마이코플라즈마 하이오뉴모니아(M.hyo)는 돼지에서 가장 흔한 호흡기 질병 중 하나인 유행성폐렴을 유발하는 주요 병원체이다. 마이코플라즈마 하이오뉴모니아(M.hyo)는 이환율이 높지만, 폐사율은 낮은 질병이며, PRDC와 관련된 주요 병원체 중 하나이다. 마이코플라즈마 하이오뉴모니아(M.hyo) 감염으로 인한 급성염증은 기도에 카타르성 염증 또는 화농성 삼출물을 유발한다. 기관지와 기관지 주변에 호중구와 단핵구가 축적되면 기도가 폐쇄되고, 폐가 굳어지게 된다.
마이코플라즈마 하이오뉴모니아(M.hyo)에 감염된 폐조직은, 자주색과 회색을 보이고, 폐의 경화와 기관지폐렴을 발달시킨다. 경화는 감염 후 3~12주정도부터 관찰할 수 있다. 병변은 주로 횡격막엽의 앞부분에 있는 첨엽과 심엽에 있으며, 중간엽에도 위치한다. 병변은 12~14주 후에 흉터(Scar; 감염흔적)라고 불리는 소엽간 균열을 형성하면서 사라진다.
또한 마이코플라즈마 하이오뉴모니아(M.Hyo) 그리고 이와 관련된 바이러스와 세균은 흉막염 발생의 원인이 되며, 이 흉막염은 일반적으로 폐의 Cranio-ventral 부분, 주로 첨엽과 심엽 사이에 위치한다. 급성 또는 아급성 기관지폐렴을 나타내는 첨엽과 심엽의 경화는, 마이코플라즈마 하이오뉴모니아(M.hyo)가 유발하는 유행성폐렴을 시사한다.
2. 액티노바실러스 플로르뉴모니아(흉막폐렴 원인체)
Dorso-caudal 부분에 위치한 흉막염은 주로 액티노바실러스 플로프뉴모니아(A.p)에 의해 발생하며, 다른 병원체에 의해 발생되는 빈도는 적다. A.p는 혈청형의 독성에 따라 다른 다양한 폐사율과 함께 해부학적 관점에서 섬유성-괴사-출혈성 흉막폐렴 케이스에 의해 특정 지어지는 심각한 급성 임상증상을 일으킨다.
만성형의 경우, 폐의 Dorso-caudal 부분에 섬유성 흉막염으로서의 만성적인 폐병변이 발생하는데, 이것이 농장의 생산성에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다. 그 이유는 Dorsal 부분의 흉막 병변은 폐 첨부의 병변보다 호흡운동에 기계적인 제한을 더 일으키며, 고통의 강도도 더 높기 때문이다. 이것이 돼지들의 일당증체를 감소시키고 출하일령을 증가시킨다.
도축된 돼지들에서 만성 흉막 병변을 쉽게 관찰할 수 있으며, 만성 흉막 병변은 농장내 돈군의 건강상태, 컨트롤 방법의 적절함과 이를 시행하여 얻은 결과를 평가하기 위한 주요 정보를 제공한다.
3. 폐렴과 흉막염의 평가
폐렴과 흉막염은 정량적 그리고 질적인 방법으로 평가할 수 있다. 세바 호흡기 관리 프로그램(CLP)에서는, 폐의 전체 용량에 대한 각 엽들의 기여도를 고려하여 수정된 마덱(Madec)의 방법에 기반하여 점수를 부여한다. 여기에는 흉터(Scar; 감염흔적)의 정량화도 포함되어 있다. 흉막염은 ‘도축장 흉막염 평가 시스템’(SPES)을 사용하여 스코어링 하며, 세바 호흡기 관리 프로그램(CLP) 에서는 모든 두부측(cranial) 흉막염을 스코어링하고 기록한 다음에, Dorso-caudal 부위에 흉막염을 일으키는 흉막폐렴을 APPI(흉막폐렴 지수)로 수치화한다.
수정된 마덱 스코어링
수정된 마덱 스코어링를 통해, 각 엽의 유행성폐렴 유사병변을 다음과 같이 정량화한다.
흉터(Scar; 감염 흔적)의 정량화
균열 또는 흉터의 유무에 따라 유병율을 평가한다. 균열의 발생은 마이코플라즈마 하이오뉴모니아에 의한 것으로 보이는 만성병변을 나타낸다.
두부측(Cranial) 흉막염 스코어링(CP; Cranial-ventral)
두부측(Cranial) 흉막염은 마이코플라즈마 하이오뉴모니아(M.hyo)와 다른 호흡기질병 병원체들(돼지 인플루엔자, 파스튜렐라, 기타 세균 등)과 관련된 것으로 보이는 이 부위의 병리학적 과정의 결과이다. 두부측(Cranial) 흉막염은 적절한 감별진단이 가능하도록 Dorso-caudal 부위의 흉막염과는 별도로 기록해야 한다. 이러한 병변에는 폐엽 표면의 흉막염이나 엽간 흉막염이 포함된다. 첨엽과 심엽의 흉막엽은 다음과 같이 스코어링된다.
SPES에 기반한 Dorso-caudal 부위의 흉막염(DCP)
‘도축장 흉막염 평가 시스템(SPES)’ 방법은 도축장에서 직접 각 개체의 양쪽 폐에서 관찰한 흉막염을 흉막염의 위치, 모양과 그리고 퍼진 정도에 따라 0부터 4까지의 점수를 매기는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다.
스코어링
'세바 호흡기 관리 프로그램(CLP)'은 기록된 데이터들을 통계적으로 처리하여, 병변 발생률을 계산할 뿐만 아니라 샘플들 내의 등급별 분포를 보여주고, 가독성이 좋은 그래프로 결과를 시각화하여 보여준다. 세바 호흡기 관리 프로그램(CLP)은 병리학적 변화의 빈도, 병변의 심화정도 그리고 유행성폐렴과 흉막폐렴으로 의심되는 원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유행성 폐렴 유사병변; Enzootic pneumonia like lesions>
① Average percent of affected surface out of all lungs
전체 폐에서의 각 폐엽들의 가중치를 고려한 후, 각 엽들에 할당된 마덱 스코어를 사용하면, 각 개체들에서 질병의 영향을 받은 폐표면의 비율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값들을 합산하고 스코어링한 전체 폐 개수로 나누면, 평가된 모든 폐 중 질병의 영향을 받은 부위 표면의 백분율을 결정할 수 있다. 이것은 평가된 그룹에 대해서 유행성폐렴에 의해 손상된 폐들의 실제가치를 평균적으로 보여준다.
② Average percent of affected surface out of pneumonic lungs
이 지표는 병변의 범위와 병든 개체의 감염의 심화정도에 대한 정보를 준다. 그룹내 건강한 개체가 많아서 소수의 개체에서의 심각한 감염이 드러나지 않을 수 있는데, 그 상황이 이 계산으로 드러나게 된다.
③ Average percent of scarring in pneumonic lungs
이 지표는 유행성폐렴이 발생하였으나, 감염이 아물면서 흉터(감염흔적)로 남은 병변의 백분율을 나타낸다. 돈군에서의 마이코플라즈마 하이오뉴모니아(M.hyo)에 의한 오래된 감염을 뜻한다.
<두부측(cranial) 흉막염>
두부측(Cranial) 흉막염은 그 유무에 따라 점수가 매겨진다. 평가된 그룹에서의 두부측(Cranial) 흉막염 백분율은 병원균(특히, M.hyo)의 감염이 폐의 Cranial 부분에 영향을 미치는 확률을 나타낸다. 이는 장기간동안 실질적인 병변을 일으키지 않은 병원균의 존재를 정량화 할 수 있다. 이 지표는 폐 병변의 평가를 완전하게 만든다.
<APPI: 흉막폐렴 지수>
흉막폐렴 지수(APPI)는 Dorso-caudal부위의 흉막염의 유병율과 심화정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흉막폐렴균에 의한 흉막폐렴을 매우 잘 나타낸다. 도축장 흉막염 평가 시스템(SPES) 방법에 따르면, 돈군내 혈청양성도와 SPES값 사이에 높은 수준의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이것은 과거의 흉막폐렴균 감염에 의한 Dorso-caudal 부위의 흉막염에 대해서, 이 기록의 특별함을 확인시켜 준다.
4. 결론
'세바 호흡기 관리 프로그램(CLP)'의 스코어링 방법론은 도축돈들의 폐를 평가함으로써 농장의 호흡기 질병을 정확하게 진단하고 파악할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이것은 사육 동안에 주목하지 못했던 준임상적 감염도 발견할 수 있게 한다. 계산을 통해 유행성폐렴과 흉막폐렴의 발병율과 병변의 심화정도를 모두 추정할 수 있으며, 유행성폐렴과 흉막폐렴에 대응한 컨트롤 효과를 평가하는 것에도 사용할 수 있다. 세바 호흡기 관리 프로그램(CLP)을 꾸준하게 적용하면 정의된 기간 또는 계절적 차이에서 오는 감염역학을 인식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 위 기고 내용과 관련하여 궁금하신 사항은 세바코리아 (070. 8277. 4747 / 카카오톡채널: 세바코리아 / ceva.korea@ceva.com)로 문의주시기 바랍니다.
Bibliography:
Dottori M., Nigrelli A.D., Bonilauri P., Merialdi G., Gozio S., Cominotti F., 2007b.
Proposta per un nuovo sistema di punteggiatura delle pleuriti suine in sede di macellazione.
(Proposal for a new scoring system for pig pleurisy on the dressing line)
The Slaughterhouse Pleurisy Evaluation System.
Large Animal Review, 13:161-165.
Dottori M., Bonilauri P., Merialdi G., Nigrelli A., Martelli P., 2008.
Monitoring chronic pleurisy due to Actinobacillus pleuropneumoniae at the slaughterhouse
by a newly implemented scoring system.
Proceedings of the 20th IPVS Congress, Durban, South Africa, Volume 2: p 230.
Fraile L., Alegre A., López-Jiménez R., Nofrarías M., Segalés J., 2010.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pleurisy and cranio-ventral pulmonary consolidation in slaughter pigs.
The Veterinary Journal, Jun;184(3):326-33.
Luppi A., Arioli E., Caleffi A., Bonilauri P., Merialdi G., Maioli G., Dottori M., Marco E., Martelli P. (2010).
Spes grid and Actinobacillus pleuropneumoniae eradication in a pig herd.
Proceedings 2nd European Symposium on Porcine Health Managment, May 26-28,
University of Veterinary Medicine, Hannover. P.114.
Merialdi G., Bonilauri P., Dottori M., Nigrelli A., Martelli P., 2008b.
Monitoring respiratory disease at slaughterhouse
at the slaughterhouse using lung and pleural lesions score and serology.
Proceedings of the 20th IPVS Congress, Durban, South Africa, June 22-27, 2008; vol. 2: p. 380.
Ostanello F., Dottori M., Gusmara C., Leotti G., Sala V., 2007.
Pneumonia disease assessment using a slaugtherhouse lung-scoring method.
Journal of veterinary medicine, 5, 70-75.
Merialdi G., Dottori M., Bonilauri P., Luppi A., Gozio S., Pozzi P., Spaggiari B., Martelli P. 2011.
Survey of pleuritis and pulmonary lesions in pigs at abattoir with a focus on the extent
of the condition and herd risk factors. Veterinary Journal. In press.
Christensen G, Sorensen V, Mousing J. Diseases of the respiratory system.
In: Straw B, D’Allaire S, Mengeling W, Taylor DJ, eds. Diseases of Swine.
8th ed. Ames, lowa: lowa University Press; 1999:913-9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