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자료는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이 운영하는 '가축사육기상정보시스템(바로가기)'에서 제공하는 사양관리지침 자료입니다. 돼지의 더위 스트레스를 예방하는데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돼지와사람]
◇돼지의 열스트레스지수(THI; Temperature-Humidity Index)에 따른 사양관리 포인터
THI | 스트레스 상태 | 증상 | 관리 포인터 |
64 미만 |
위축 약 쾌적 |
개체간 웅집 사료섭취량 증가 떨림 활동량 감소 |
○호흡기 조심(보온 중요), 운동 유도 ○채식량 감시, 유지 ○채식량, 미네랄 등 강화 ○하절기 대비 소화력 강화제(중조 등) 급여 |
64~73 | 쾌적 | 정상적인 활동 |
○온도변화와 돼지의 상태 관찰 ○하절기 스트레스 대비(그늘막, 지붕표면 유수장치, 선풍기 등) 점검 |
74~83 | 약 스트레스 |
바닥접촉 증가 호흡수 증가 사료섭취량 감소 |
○그늘막 제공, 선풍기 가동 ○비타민, 미네랄 증량 급여 ○사료 배합비 조정, 급수기 점검 |
84~93 | 강 스트레스 |
호흡수 증가 체온증가 사료섭취량 감소 탈수 |
○그늘막 제공, 선풍기 가동 ○돈사 내 안개분무(지붕 물뿌림) ○비타민, 미네랄 증량 급여 ○영양 강화 배합비 조정 ○급수기 추가 설치 |
94 이상 |
심각 스트레스/ 폐사(직전) |
심한 헐떡거림 탈수 및 탈진, 기립 불능, 폐사(직전) |
○특별 간호 지역으로 신속히 이동 ○냉수 급여, 냉수 목욕 ○수의사 진료(영양보충) |
* THI = (1.8 × T + 32) - [(0.55 - 0.0055 × RH) × (1.8 × T - 26.8)](THI = 온습도지수, T = 기온(℃; 섭씨온도), RH = 상대습도(%))(출처: NRC, 1971 ; St-Pierre et al, 2003)
* NRC THI값을 바탕으로 암퇘지의 일 최고 THI를 문턱값(threshold) 74를 기준으로 10씩 증감하여 5개의 간격으로 나눔; 64미만 영향 없음, 64이상 73미만 경미함, 74이상 83미만 심함, 84이상 93미만 매우 심함, 94이상 폐사위험
◇고온 스트레스에 따른 생리특성 변화
❍ 체온 증가에 따른 호흡수 및 심박수 증가
- 호흡수 증가 및 심박수의 증가는 체액의 산-염기 불균형을 초래하며, 소화관으로의 이송되는 혈류량을 감소시켜 소화관 세포의 손상을 유발함
❍ 고온환경은 급성스트레스 요인으로 호르몬 분비변화를 야기함
- 부신피질에서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르티솔이 분비되어 스트레스 환경에 대항하기 위한 에너지를 만드는 역할을 수행함
◇THI(온습도 지수)별 증상 및 생산성 변화
❍ THI 지수가 높아질수록 사료섭취량 및 증체량의 저하폭이 증가함
- 온·습도가 높아질수록 소화과정에서 발생하는 대사열을 줄이기 위해 사료섭취량이 저하되며, 증체량이 동시에 감소됨
- 또한, 소화관의 정상적인 기능 이상으로 영양소의 소화·흡수율이 떨어짐
❍ 고온스트레스에 노출된 모돈의 포유능력 감소
- 사료섭취량 감소 및 영양소 이용율 저하에 따라 포유모돈의 유생산량 하락 및 품질저하로 포유자돈의 성장률이 감소됨

◇생산성 저하 방지를 위한 사양관리 기술
❍ 하절기 돈사 내부의 온도를 낮춰주는 노력 필요
- 돈사의 지붕에 그늘막을 설치하거나 물을 뿌려줌
- 단열재나 외부 열반사페인트를 도포하여 복사열을 차단해 줌
- 바닥의 배수관으로 냉수를 흘려 바닥을 시원하게 해 줌
❍ 사료 영양소의 조절을 통하여 영양소 섭취량을 증가시킴
- 부족해지기 쉬운 비타민과 미네랄을 추가 보충 급여
- 사료 배합비를 조정하여 영양소를 강화한 사료를 급여함
❍ 사료이용성 개선을 위한 방안 강구 필요
- 사료섭취량 높은 시간대별 집중 급여(05시, 20시)
- 단백질 이용효율 증진을 위한 비테인 첨가 급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