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매뉴얼은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이 양돈농가의 임신돈 군사사육 시설 전환에 도움이 주기 위해 제작되었습니다. 농촌진흥청 농업과학도서관 홈페이지(바로가기)에서 파일(PDF)로 내려받아 볼 수 있습니다. -돼지와사람]
1. 군사사육의 이해
가. 군사사육의 정의
군사사육이란 돼지를 사육할 때 여러 개체를 하나의 돈방에 넣고 무리지어 관리하는 사육을 말한다.
나. 군사사육의 필요성
● (정책) 양돈농가의 임신돈 군사사육 의무화
최근 우리나라는 모돈 종부 후 6주가 경과하면 임신돈 군사사육을 의무화하는 법률을 제정하여 2020년부터 신규농가는 임신돈 군사시설이 있어야 허가가 가능하며, 2029년까지 모든 양돈농가는 임신돈 사육시설을 군사형태로 전환해야 한다.
▶ 축산법 시행규칙: 축산업의 허가 및 등록 요건(제14조 제2항 및 제14조의2 제2항 관련)
임신돈을 사육하는 경우에는 임신돈이 자유로운 자세로 일어나거나 눕거나 움직이는 등 일상적인 동작을 하는 데 지장이 없는 군사 공간을 확보할 것.
▶ 축산법 시행규칙: 축산업허가자 등의 준수사항(제30조 관련)
교배한 날부터 6주가 경과한 임신돈은 개별적으로 가두어 사육하는틀(스톨)에서 사육하여서는 아니되며, 임신돈이 자연스러운 자세로 일어나거나 눕거나 움직이는 등 일상적인 동작을 하는 데 지장이 없는 군사 공간에서 사육하여야 한다. 다만, 군사 공간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개방된 스톨에서 사육하는 경우에는 군사 공간에서 사육하는 것으로 본다(2020년 1월 1일 이후 돼지 사육업 허가를 받은 자 중 임신돈을 사육하는 경우만 해당한다.)
● (사회) 소비자의 동물복지 축산물과 윤리적 소비에 대한 관심 증대
동물복지연구소 어웨어 '농장동물 복지에 대한 국민인식조사(2021)'의 성인 2,0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농장동물의 복지개선과 공장식 축산 축소의 필요성에 97.2%가 찬성으로 응답하였으며, 개선이 가장 필요한 동물은 '돼지'로 답하였다.
또한, 임신돈의 고정틀 사육을 응답자의 4938%가 '알지 못하다'라고 답했으며, 고정틀 사육에 대한 설명을 제공하였을 때, 임신돈의 고정틀 사육기간 단축은 동물복지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것으로 90.2%가 답하였다.
● (복지) 모돈의 정상적인 행동을 표현할 자유
다. 국외 임신돈 군사사육 동향
EU의 경우, 2013년부터 모돈 종부 후 4주부터 분만사 이동 전까지 고정틀 사육을 전면 금지하는 법안을 개정하였으며, 미국 또한 각 주별로(플로리다, 메인, 로드 아일랜드, 오레곤 등) 관련 규정을 마련하여 고정틀 사육을 제한하고 있다. 세계적인 기업 스미스필드(세계 1위 돈육기업)은 전 세계 모든 계약 농장의 고정틀 사육을 금지시켰으며, 맥도날드, 버거킹, KFC 등 자체적인 기준을 제정하여 최소한의 동물복지를 실현하고 있다.
항목 | 국내 | EU지침 | 네덜란드 |
모돈 군사유무 | O | O | O |
스톨사육기간 |
42일(일반농가) 28일(인증농가) |
28일 | 4일 |
급이기 형태 | 규정없음 | 규정없음 | 규정없음 |
임신돈 사육밀도 (활동공간, 휴식공간) |
1.4㎡(스톨사육) 3.0㎡(동물복지) |
2.25㎡(모돈) 1.64㎡(후보돈) |
2.25㎡(모돈) 2.25㎡(후보돈) |
2. 임신돈 사육형태의 변화
가. 임신돈 관행사육
양돈산업에서 임신돈은 효율적인 개체관리와 경제성을 위해 최소한의 면적에 개별적으로 가둬 키우는 고정틀(스톨, Stall) 사육이 관행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나. 고정틀(스톨, Stall) 사육 정의
고정틀 사육이란, 약 가로 0.65m, 세로 2.3m인 우리에 어미돼지를 1마리씩 가둬서 사육하는 행태를 말한다.
다. 고정틀 사육의 이점
1) 다른 모돈과의 투쟁 방지
돼지는 사회적 행동을 하는 동물로 무리에 들어가면 다른 개체와 상호작용을 하며 서열 및 먹이 경쟁이 일어나지만, 고정틀 사육 시 이를 방지할 수 있다.
2) 개체별 관리 용이
임신돈 한 마리씩 고정틀에 들어가 있어 개체별 체형 및 사료관리가 용이하며, 사료 미섭취 및 이상 개체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3) 면적 활용도 증가
임신돈은 종부 후 분만사 이동 전까지 고정틀에서 사육되어 별도의 임신 군사공간이 필요하지 않다. 또한, 군사사육의 경우 1.9㎡ 이상의 면적이 필요하지만, 고정틀 사육의 경우 마리당 약 1.4㎡의 면적이 소요되어 면적대비 농가 경제성이 우수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