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돈미래연구소(소장 김성훈, 이하 연구소)가 지난 6일 서울 제2축산회관에서 ‘한돈팜스 전국 한돈농가 전산성적 및 수급전망 발표회’를 열고 지난해와 올해 주요 양돈생산지표, 내년도 출하두수 및 가격 전망 등을 발표했습니다.

지난해 양돈생산지표는 2023년 기준 한돈팜스에 데이터를 등록한 4,055호, 모돈 84만8천두를 대상으로 분석되었습니다.
먼저 2023년 '복당총산자수'와 '복당이유두수'는 각각 11.52두, 10.37두로 전년보다 각각 0.17두(1.5%), 0.12두(1.1%) 늘어나며, 최근 증가세를 이어나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유전육성률은 90.0%로 전년보다 0.3%p 감소했습니다. 반면, 이유후육성률은 85.7%로 0.3%p 증가했습니다.
이에 따른 지난해 PSY는 22.1두, MSY는 18.8두로 집계되었습니다. 2022년 대비 각각 0.6두, 0.4두 올랐습니다.

모돈 회전율은 2.13으로 소폭 개선되었습니다('22년 2.11). 출하일령은 평균 195일령으로 4일 줄어들었습니다. 분만율과 사료섭취량은 지난해와 거의 동일한 것으로 파악되었습니다.
규모에 따른 생산성적은 이전과 마찬가지로 규모가 클수록 높은 성적을, 규모가 작을수로 낮은 성적을 보였습니다.
올해 9월까지의 잠정 양돈생산지표도 공개되었는데 PED 확산에도 불구하고 지난해와 거의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내년 출하두수의 경우 올해(1906만)보다 1.8% 증가한 1922만두로 예측했습니다. 평균 도매가격은 올해(5200원, 추정)보다 적은 5150원이 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이번 ‘한돈팜스 전국 한돈농가 전산성적 및 수급전망 발표회’ 자료는 조만간 대한한돈협회 홈페이지(관련 기사)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득흔 기자(pigpeople100@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