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돈산업은 ASF와 무관하게 본다면 호기(好機)에서 위기(危機)로 떨어지는 순간에 있습니다' - 팜스코 신선식품사업부 나관일 수석부장

지난 3일 미트저널·미트경제연구소가 주최한 '2019 육류 유통시장 대전망'에서 나관일 수석부장(팜스코 신선식품사업부 )은 '위기의 한돈산업 현주소와 미래'라는 제목의 주제 발표에서 '한돈산업은 위기에 떨어지는 순간에 있다'고 현 시점을 한마디로 진단했습니다.

그 근거로 국내생산량 증가, 수입육 증가, 한돈산업 경쟁력 악화, 소비트랜드 변화를 들었습니다.
"과거에는 한돈의 가격이 비싸지면 수입육의 소비가 증가하고 한돈의 가격이 싸지면 수입육의 소비가 감소하였지만, 2017년부터 한돈의 가격과 상관없이 수입육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면서"수입육은 한돈의 대체재가 아니라, 수입육만의 소비처가 있어 별개의 시장을 가지고 계속 확대되고 있고, 나아가 독자적인 시장을 만들었다"고 말했습니다.

또한 "2018년 한돈의 자급율이 67%라고 하지만, 삼겹살에 있어 국내산 판매비율은 55%(수입산 45%)이고, 목살은 58%(수입산 42%)이다"며, "삼겹살과 목살을 본다면 수입육과 한돈은 거의 5:5까지 와 있다"고 우려를 전했습니다.

나 부장은 한돈의 경쟁력 하락에 있어 품질을 지적했습니다. "한돈산업에서 농의 발생율은 30~40%, 물퇘지는 15~20%로 한돈 품질이 저하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또한, 나 부장은 양돈 원가 경쟁력이 계속적으로 악화되는데 최저임금제 인상 및 인력 채용의 어려움, 환경규제 강화에 따른 비용상승, MSY 정체 등을 들었습니다. 주 52시간 근무제로 회식 문화가 감소하고 채식주의자가 늘고 대체육이 증가하는 등 구이 문화가 감소하면서 소비트랜드의 변화를 주의깊게 살피고 대안을 모색할 것을 주문했습니다.
나 부장은 한돈산업의 개선방안으로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품질을 높이고 한돈의 판로를 확대 개선해 나가야 한다"고 대안을 제시했습니다.
끝으로 나 부장은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한돈산업뿐만 아니라 전세계 양돈산업의 가장 큰 변수로 떠올랐다고 말했습니다.

나 부장은 "ASF로 인한 중국 내 돼지사육두수의 약 15% 감소가 추정되는데 이는 6천5백만 두 감소, 돼지고기 생산량 325만 톤 감소를 뜻한다"며 "중국이 기존 소비량을 유지한다는 전제하여 중국의 기존 수입량 175만 톤에 감소분을 더하면 500만 톤이 되는데 이는 전세계 돼지고기 물동량 약 850만 톤의 약 60%에 해당한다"고 말하고, "모쪼록 한돈산업이 ASF를 잘 막아내는데 지혜를 모아야 한다"고 당부했습니다.
한편 이날 세미나에서는 ▶한우고기 유통시장 동향과 전망 ▶수입소고기·돼지고기 시장 동향과 전망 ▶대형마트 주요 축산물 구매 트렌드와 전망 ▶도소매 육류 온라인 유통시장 현황과 전망 등에 대한 발표도 있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