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에서 2019년 12월 1일 첫 감염자를 확인한 '신종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이 2020년 2월 11일 현재 국내에서도 28명의 확진자가 발견되어 격리·치료를 받고 있다.
'신종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은 한돈산업의 'ASF'와 다르면서도 같은 점이 있다. 둘 다 통제하지 않으면, 빠르게 확산되고, 현재까지 뚜렷한 치료법과 예방백신이 없다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다. 반면, 각각 사람과 돼지에서만 발생한다는 점에서 커다란 차이점이 있다.
현재 신종코로나 바이러스 사태가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최근 ASF가 다시금 주목받고 있다. ASF는 현재 더 이상의 양돈장 발생은 나타나고 있지 않다. 하지만, 야생멧돼지에서의 발생은 지속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지난 9일 강원도 화천군 간동면 광역울타리 밖에서 포획된 야생멧돼지(#174)에서 처음으로 ASF 바이러스가 검출되었다. 정부는 다음날인 10일 야생멧돼지의 남하를 차단하기 위해 부랴부랴 춘천-소양강-인제 구간을 연결하는 ‘3단계 광역 울타리’ 추가 설치가 결정하였다.
우리나라에 ASF 바이러스는 아직도 살아있고 전파되고 있는 것이다. ASF가 완전히 박멸된 것은 아닌 것이다.
참고로 아직까지 ASF가 근절되지 않고 상재화 되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아프리카 사하라 이남지역 몇 나라들, 이탈리아 사르데냐섬의 사례를 보면 야생 멧돼지와 매개체인 물렁진드기에서 지속적으로 바이러스가 검출되고 이 바이러스가 일반 돼지에 계속적인 감염 위험 요소로 남아 있다.
국내의 현재 ASF는 정확하게 어떤 상황인지 함께 살펴보자.
지난해 10월 9일 연천군 신서면의 양돈장에서 14번째 ASF가 발생한 이후로 더 이상 양돈장에서의 추가 발생은 없다. ASF는 치사율이 100%에 달하는 급성·열성 전염병로서 감염된 돼지는 빠르면 24시간내에 폐사하기 때문에 농장이 발생을 숨긴다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판단된다.
현재까지 대한민국의 ASF 컨트롤 사례는 국제적으로도 주목을 받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이러한 빠른 컨트롤 때문에 야생멧돼지에서의 ASF 바이러스 확산에 대한 관심은 안타깝게도 저돈가 분위기에 묻혀 서서히 줄어들고 있다.
야생멧돼지에서의 ASF 바이러스 감염 사례는 빠르게 증가있다.
ASF에 감염되어 폐사한 최초의 야생멧돼지는 2019년 10월 2일에 DMZ 내에서 발견되었다. 그 이후로 올해 2월 11일까지 총 183마리의 야생멧돼지에서 ASF 양성이 보고되고 있다. 최초 확진일에서 2월 6일까지 총 132일 가운데 절반이 넘는 68일동안 최소 1마리 이상의 ASF 야생멧돼지가 확인되었다.
겨울철 먹이 경쟁과 교미 활동 시기 동안에 멧돼지 간의 이동과 접촉 증가를 고려하더라도 시간이 지날수록 더 자주 더 많은 ASF 야생멧돼지가 발견되는 것은 커다란 위험 신호가 아닐 수 없다.
2019년 11월 27일부로 증가하기 시작한 ASF 야생멧돼지는 2020년 1월 5일을 기점으로 일일 발견되는 ASF 야생멧돼지의 숫자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11월 27일을 기준으로 매일 0.42두씩 발견되던 ASF 야생멧돼지 숫자는 그 이후 0.82두까지 증가하고 올해 1월 5일부터는 일일 3.3두씩 발견되고 있다.
2019년 10월 12일까지 발생이 거의 없다가 그 이후 한 달 간 발생일자가 많았으며, 2019년 11월 27일부터 발생 간격이 좁아진다. 11월 27일을 기준으로 이전은 3.3일마다 ASF 야생멧돼지가 발견되었으며 이후로는 1.4일마다 발견되었다.
이번에는 ASF 야생멧돼지 두수에 대한 추세 분석 그래프를 작성하여 발생 양상과 이후의 예상되는 패턴을 예측해 보았다.
그래프 3에서 2020년 1월 16일까지의 자료를 기준으로 예측해 본 추세 분석에서는 녹색으로 표시된 점들을 살펴보면 2월 7일에는 하루에 2.5건의 폐사두수가 발생할 것으로 추정되었다. 실제로 2월 7일날 발생 두수를 확인한 결과, 올해 1월 1일부터 2월 7일까지 평균 발생은 3.08건이었다.
그래프 4에서는 2월 7일까지 발생한 자료를 가지고 폐사두수에 대한 2차 추세 모형을 분석을 추가로 실시하였다. 그 결과 앞으로 매일 4두 이상의 ASF 야생멧돼지가 발견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전의 분석보다 MAD(the mean absolute deviation)와 MSD(the mean square deviation) 값이 상승한 것을 보면 통계학적으로 이전의 예상보다 2월 7일자까지의 기준으로 예상한 것이 신뢰도는 낮아졌지만, 이 두 값은 여전히 상당히 높은 수준의 신뢰도 값을 나타낸다.
정리하며
현재까지의 야생멧돼지 확진두수와 확진일자를 기준으로, 야생멧돼지에서 ASF 바이러스 감염 확산을 예측해 보았다. 더 이상 우리나라 양돈장에서 ASF의 발생이 없기를, 피해를 입은 양돈농가에서 빠른 재입식이 가능해지기를 간절히 바라는 양돈수의사로서 야생멧돼지에서의 확산에 대해 정부에서는 보다 확실하고 선제적인 대응을 준비하고 실행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