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31 (월)

  • 맑음동두천 13.9℃
  • 구름많음대관령 8.4℃
  • 구름조금북강릉 10.4℃
  • 맑음강릉 12.7℃
  • 구름많음동해 9.9℃
  • 맑음서울 13.5℃
  • 맑음원주 12.7℃
  • 구름조금수원 12.5℃
  • 구름조금대전 13.9℃
  • 구름조금안동 12.8℃
  • 구름많음대구 12.1℃
  • 구름많음울산 12.1℃
  • 구름많음광주 13.1℃
  • 구름조금부산 12.1℃
  • 구름조금고창 11.4℃
  • 구름많음제주 12.5℃
  • 맑음고산 9.9℃
  • 구름조금서귀포 13.3℃
  • 맑음강화 11.3℃
  • 구름조금이천 15.2℃
  • 구름조금보은 12.0℃
  • 구름많음금산 12.7℃
  • 구름많음김해시 12.8℃
  • 구름많음강진군 12.9℃
  • 구름조금봉화 11.0℃
  • 구름조금구미 15.2℃
  • 구름많음경주시 13.8℃
  • 구름조금거창 12.1℃
  • 구름많음합천 13.7℃
  • 구름조금거제 10.9℃
기상청 제공

[팩트체크] 최근 PED 전국적으로 다시 발생하고 있다는데...

취재 결과 1월 이후 제주를 비롯해 전국 주요 시도서 발생 확인...시도별로 1~2건 수준으로 아직까지 산발적인 상황

지난해 전국 양돈농가에 큰 피해를 유발했던 PED가 최근 들어 다시 전국적으로 발생하고 있다는 소식이 있습니다. 

 

 

사실일까요? 네 사실입니다. 하지만, 아직까지 산발적이며, 지난해에 비하면 크게 감소한 발생 수준으로 파악됩니다.

 

농림축산검역본부 자료(가축전염병 발생월보)에 따르면 올해 1월 PED 발생건수는 잠정 6건입니다. 모두 제주에서 확진되었습니다. 이후 공식적인 발생건수는 아직까지 확인되지 않고 있습니다.

 

이에 돼지와사람이 직접 취재해 보았습니다. 그 결과 올해 1월부터 3월 현재까지 PED는 제주를 비롯해 경기, 강원,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등에서 양성건수가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하지만, 시도별로 제주를 제외하고 1~2건에 불과합니다. 제주의 경우 만성적으로 상재화된 상태라는 의견입니다.

 

인터뷰에 응한 한 수의사는 "아직 확산 단계는 아니며, 농장에 있던 바이러스에 의해 재발생한 것이 아닌지 의심하고 있다"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자가선발 또는 외부 후보돈 도입시 PED 백신 접종을 잊지말 것"을 당부했습니다.

 

다른 수의사는 "지난해 조합농장에 일일이 연락해 국내 PED 주요 유전자형인 G2b 바이러스에 대응할 수 있는 백신을 사용할 것을 당부했는데 이 때문에 발생건수가 줄었지 않았나 생각하고 있다"라고 전했습니다. 

 

또 다른 수의사는 "현재 크게 문제가 되고 있지는 않지만, 농장에서는 언제라도 다시 발생할 수 있다는 생각을 갖고 상시적으로 차단방역과 백신 프로그램을 점검할 것"을 주문했습니다.

 

한편 지난해 1월부터 3월까지 PED 발생건수는 모두 168건입니다. 연간 총 발생건수는 244건입니다. 이는 역대 최대 발생 신기록입니다. 이전까지 최대 발생기록은 '22년 233건이었습니다(농림축산검역본부 가축전염병 발생월보). 

 

이득흔 기자(pigpeople100@gmail.com)

배너

관련기사

배너
총 방문자 수
11,607,780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