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글은 '월간 한돈 2월호(제510호)'에 실린 원고('안전한 한돈 생산을 위한 항생제 내성 이해와 신중한 사용')입니다. 저자의 동의 하에 게재됨을 알려드립니다. -돼지와사람]
농장에서 실천하는 항생제의 신중한 사용
(1) 예방 목적으로 남용되는 항균제 사용을 중단한다.
환절기와 같은 연중 특정 사육시기 또는 어떤 특정 사육단계처럼 각각의 양돈장에서는 고질적으로 발생하는 어떤 질병의 흐름이 확인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과거에는 이러한 질병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서 기존에는 항생제를 어느 특정한 구간과 시기에 미리 적용하여 질병이 발생하지 않도록 관행적 조치를 해온 부분이 있다.
하지만, 세균성 질병이 아니거나, 항생제 투여가 필요한 시기가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어떤 마음의 위안(?)을 위해서 지속적으로 사용되는 경향이 있어왔다. 이렇게 사용되는 항생제는 비용뿐만 아니라, 같은 계열 항생제의 내성을 동시에 끌어 올릴 수 있기 때문에 장기적으로는 치료시 선택할 수 있는 항균제의 선택권을 줄인다. 따라서, 농장 내에서 처방이나 합리적인 목적 외에 사용되는 항생제가 있는지에 대한 점검이 필요하며, 확인되면 바로 중단하도록 한다.
(2) 감수성 있는 항생제로 충분히 치료한다.
모든 세균 감염증에 대해서 효과를 발휘하는 꿈의 항생제는 없다. 양돈에서 주요한 질병을 일으키는 수십여 종의 세균은 그람염색 유무와 형태에 따라서 G+(그람양성)구균, G+간균, G-구균, G-간균, G-나선균, 마이코플라즈마, 기타로 크게 구분한다. 그리고 항생제가 세균의 소그룹 하나에만 영향을 미치면 '좁은 범위(narrow spectrum)의 항생제'라고 하고, 둘 이상 여러 세균그룹에 항균력을 가지면 '광범위(extended or broad spectrum) 항생제'라고 한다. [그래프5]는 감수성 차이에 대한 모식도로서, A와 C항생제는 광범위 항생제라고 하며, B항생제는 좁은 범위 항생제이다.
어떤 세균에 감염되었는지 모르는 경우에는 광범위 항생제를 전략적으로 투약하는 것이 필요하다. 하지만, 광범위 항생제는 감염된 세균 외에도 장내 정상세균총처럼 장의 건강을 도와주는 유익균에게도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을 주의해야 한다. 따라서, 질병이 특정된 상황에서는 해당 세균에 가장 높은 감수성을 지닌 가장 좁은 범위 항생제를 사용하는 것이 원칙이다. 이는, 다른 세균의 내성 발현이나 항생제 부작용을 줄일 수 있는 좋은 방법이다.
그리고, 항생제가 필요한 곳에는 감수성 있는 항생제로 충분하게 치료해야 한다. 항생제를 가급적 사용하지 않는 것이 내성을 방지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해서 필요한 상황인데도 항생제 투여량이나 사용기간을 줄여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런 경우에는 세균 감염이 제대로 치료되지 않기 때문에 돼지를 더욱 고통스럽게 만들 뿐만 아니라 세균의 내성도 크게 증가시키게 된다.
예를 들어, 농장에서는 흉막폐렴이나 글래서씨병과 같은 호흡기 질병을 치료할 때 감수성이 좋은 항균제를 2~3일 정도 투여하다가 상태가 조금 좋아지면 바로 항생제 투약을 멈추는 경우가 많다. 이렇게 하면 약값을 줄일수도 있고 항생제 투약에 필요한 노동력을 다른 사양관리에 돌릴 수 있다는 나름의 합리성이 있지만, 최소한의 투약기간이 필요한 질병의 경우에는 충분한 시간을 들여서 치료하지 않으면 환부에 남아있는 세균이 지속적으로 감염되어 만성형으로 경과될 뿐만 아니라 살아남은 세균이 내성을 획득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어 항생제 내성이 보다 빠르게 증가하게 된다.
이와 같은 동일한 사례를 사람의 결핵 치료에서도 볼 수 있다. 결핵은 대장균과 달리 증식이 매우 느린 세균이기 때문에 치료를 위해 항생제를 3~6개월간 오랫동안 투여해야 한다. 하지만, 최종적인 치료가 실패하는 일이 비일비재하다. 왜냐면, 결핵균을 완전히 제거하기 위해서는 장기간 항생제를 꾸준하게 투약해야 하는데 몸이 좋아졌다고 생각한 환자가 먹는 것을 잊어버리면 다시 재발하게 된다. 이 경우에는 기존에 사용했던 항생제에 이미 내성을 가진 상태가 되기 때문에 다른 계열의 항생제를 사용해서 처음보다 몇 배의 기간을 늘려서 투약해야만 치료할 수 있다. 이처럼, 세균에 의한 감염성 질병은 충분히 치료하지 않으면 세균이 내성만 획득하게 되는 결과가 초래한다는 것을 반드시 기억하시기 바라며 치료가 필요한 경우에는 일정기간 동안 충분히 치료하도록 한다.
(3) 약품에 대한 일반 관리를 준수한다
항생제는 다른 동물용의약품과 마찬가지로 기본적인 일반 관리가 필요하다. 항생제는 포장 및 설명서에 다음 사항을 반드시 표기한다. 허가된 질병 또는 감수성 있는 병원체, 대상 동물, 투여 방법 및 투여량, 투여기간, 휴약기간 및 주의사항이 있다.
먼저, 여러 종류의 항생제를 동시에 사용하거나 다른 약품과 같이 사용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주의사항에 ‘배합금기’가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배합금기는 항생제와 동시에 사용해서는 안되는 약물을 말한다. 항생제는 일반적으로 안정적인 약품군에 속한다. 하지만 다른 항생제나 영양제, 소염제 등과 상호작용을 하는 경우가 있으며, 잘못된 상호작용을 통해서 항생제 치료 효과가 떨어지거나 쇼크와 같은 부작용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항생제 단독 투여가 아닌 경우에는 반드시 주의사항에 명시된 ‘배합금기’를 확인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휴약기간을 준수해야 한다. 항생제 잔류문제는 다른 동물약품의 잔류와 마찬가지로 안전한 돈육생산이라는 취지에 반하는 것이며, 사람에서의 내성 문제에도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휴약기간을 반드시 준수해야 한다. 사족이지만, 간혹 어떤 상황에서는 항생제 휴약기간을 충실하게 지켰음에도 불구하고 잔류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일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나름의 보완조치가 필요하다.
항생제는 생체 내에서 투여 후 분포 및 대사되어 배설되기까지 충분한 시간이 필요하다. 기본적으로 항생제 휴약기간은 가식부위에서 기준 이하로 소실되는 충분한 시간을 고려하여 설정한다. 예를 들어, 돈육에서 휴약기간이 20일로 설정되어 있다면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10여일 전후해서 잔류허용농도(MRL) 이하로 떨어진다. 하지만, 실수로 항생제가 과량 투여되었거나 질병이 위중하여 정상적인 대사가 지연됨으로써 체내에서 보다 오래 잔류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무항생제 인증에서는 휴약기간을 2배수로 적용하는 것이다. 요컨데, 다른 동물의약품과 마찬가지로 항생제도 반드시 휴약기간을 준수하기 바라며, 약간이라도 미심쩍은 부분 있으면 휴약기간 이상의 기간을 가져간 다음에 출하하도록 한다.
끝으로, 정확한 용법·용량으로 사용해야 한다. 항생제의 품질이 걱정되거나 질병이 위중하다고 판단하여 항생제를 필요 이상으로 과량 투여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휴약기간이 길어질 뿐만 아니라 체내 항생제 대사에 에너지를 많이 사용하게 되어 증체(생산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 또한, 안전역을 벗어난 과도한 항생제 투약은 때로는 약화사고를 일으켜서 쇼크 또는 폐사에 이르게 한다. 따라서, 항생제의 효과가 떨어진다고 생각하면 임의적으로 2~3배 증량하여 사용할 것이 아니라 수의사와 상의하여 사용하는 항생제를 바꾸는 것이 보다 현명한 접근 방법이다.
갈무리하며,
서두에서 얘기한 것처럼 일반소비자에게 무항생제는 무농약과 동일하게 인식되는 개념이다. 그 기원은 동물약품 잔류문제와 항생제 내성인데, 이와 관련하여 호도된 측면이 있다고 하더라도 단기간 내 소비자의 인식을 바꾸는 것은 매우 어렵다. 따라서, 항생제 내성 부분에 대해서 한돈 산업에 필요 이상으로 짐이 지워진 부분은 별도의 홍보를 통해 장기적으로 개선해가더라도 농장에서는 항생제의 신중한 사용을 꾸준하게 실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시 한번 말씀드리면, 항생제의 신중한 사용이라는 것은 항생제가 불필요한 곳은 사용을 중단하고 필요한 곳은 정확하고 충분하게 사용하는 것이다. 오랫동안 항생제에 대한 연구와 적용경험을 바탕으로 분명이 말씀드릴 수 있는 것은, 현재 농장에서 매달 사용하는 항생제 총량을 바꾸지 않더라도 항생제 사용 대상과 방법, 시기를 조금만 바꿔주면 농장 생산성이 크게 개선되며 이러한 긍정적인 경험을 통해서 자연스럽게 농장 내 항생제 총사용량도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농장에서는 그동안 관행적으로 사용해온 항생제를 꺼내서 다시 한번 사용방법과 주의사항을 확인하여 주시기 바라며, 최소한 분기에 1번 정도는 항생제를 비롯한 동물약품 전반에 대한 정확한 복약지도를 받길 권장드린다. 이것이 바로 농장에서 실천하는 항생제의 신중한 사용의 첫 번째 활동이다.
한돈농가와 연관산업에서 모두 느끼는 부분이지만 임인년 한해, 한돈을 둘러싼 여러 제반 환경이 정말 녹녹치 않다. 이래저래 신경쓰고 고민하실 부분도 많겠지만 항생제 내성과 신중한 사용에 대해서는 본 원고를 통해서 정확하게 이해하실 수 있는 계기가 되셨기를 바라며, 힘든 상황에서도 굳건하게 버티는 거목처럼 다들 건승하길 기원하며 이만 글을 줄인다.
Reference
1. Transmission of antimicrobial resistance from livestock agriculture to humans and from humans to animals, OECD Food, Agriculture and Fisheries Papers No. 133
2. DANMAP 2020
3. 제2차 국가 항생제 내성관리 대책
4. 세균의 내성과 항생제, 2012년 9월 양돈수의사회 연례 세미나 발표자료.
5. 대한수의사회 ‘농장동물에서 사용하는 항생제의 이해’ 6-7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