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생제 내성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인류에게 발생하는 가장 큰 위기로 꼽히고 있다. 세계적으로 항생제 내성균으로 사망하는 사람이 현재는 연간 약 70만명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내성 문제를 이대로 방치하면 2050년에는 약 1000만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추정한다. 축산분야의 항생제 내성은 직·간접적으로 사람에게 전파될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구지역 도축장 출하 가축의 도체에서 'S. aureus(황색포도상구균)'를 분리하여 항생제 내성 양상과 'MRSA(메티실린 내성 포도상구균)'의 존재 여부를 파악하여 황색포도상구균의 내성 확산 방지와 사람과 동물 간의 상호감염에 대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2022년 1월부터 2022년 12월까지 대구 지역의 닭, 돼지, 소 도체 1,360건(닭 400건, 돼지 480건, 소 480건)을 대상으로 황색포도상구균 81주를 분리하였고, 81주에 대해 항생제 내성 양상과 MRSA 현황을 조사하였다. 황색포도상구균은 소에서 1.4%(7주/480건), 돼지에서 7.7%(37주/480건), 닭에서 9.2%(37주/400건) 분리되었다. 분리된 황색포도상구균 중 65.4%(53주)는 3가
[본 글은 '월간 한돈 2월호(제510호)'에 실린 원고('안전한 한돈 생산을 위한 항생제 내성 이해와 신중한 사용')입니다. 저자의 동의 하에 게재됨을 알려드립니다. -돼지와사람] 농장에서 실천하는 항생제의 신중한 사용 (1) 예방 목적으로 남용되는 항균제 사용을 중단한다. 환절기와 같은 연중 특정 사육시기 또는 어떤 특정 사육단계처럼 각각의 양돈장에서는 고질적으로 발생하는 어떤 질병의 흐름이 확인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과거에는 이러한 질병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서 기존에는 항생제를 어느 특정한 구간과 시기에 미리 적용하여 질병이 발생하지 않도록 관행적 조치를 해온 부분이 있다. 하지만, 세균성 질병이 아니거나, 항생제 투여가 필요한 시기가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어떤 마음의 위안(?)을 위해서 지속적으로 사용되는 경향이 있어왔다. 이렇게 사용되는 항생제는 비용뿐만 아니라, 같은 계열 항생제의 내성을 동시에 끌어 올릴 수 있기 때문에 장기적으로는 치료시 선택할 수 있는 항균제의 선택권을 줄인다. 따라서, 농장 내에서 처방이나 합리적인 목적 외에 사용되는 항생제가 있는지에 대한 점검이 필요하며, 확인되면 바로 중단하도록 한다. (2) 감수성 있는 항생제로 충
[본 글은 '월간 한돈 2월호(제510호)'에 실린 원고('안전한 한돈 생산을 위한 항생제 내성 이해와 신중한 사용')입니다. 저자의 동의 하에 게재됨을 알려드립니다. -돼지와사람] 마트에 들러서 축산물을 구매할 때 가장 많이 듣는 얘기가 '무항생제'이다. 이는 '사육기간 동안 항생제를 무분별하게 사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축산물 내 항생제 잔류가 없고 그래서 먹어도 건강에 해로움이 없다'는 대표적인 마케팅 메시지이다. 이렇게 마케팅 홍보에 활용되는 ‘무항생제’가 고급 축산물에 대한 대명사라고 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별도로 짚어봐야 하겠지만, 대다수의 일반 소비자들은 축산물의 ‘무항생제’를 마치 야채나 과일에서의 ‘무농약’과 동일하게 생각하는 것이 현실이다. 이렇게 생각하게 된 배경에는 다음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항생제 내성에 대한 지속적인 언론 홍보이다. 다른 하나는 항생제를 포함한 동물약품에 대한 잔류문제이다. 전자는 사람에 대한 항생제 내성이 점점 심각해지고 있으며 이는 항생제를 대량으로 사용한 축산물에서 내성이 사람에게도 전파될 수 있다는 우려이다. 후자는 농장동물에 사용하는 모든 동물용의약품에 대한 공통 이슈로서 축산물 내 잔류물질로 인해서 섭취한
농림축산식품부는 최근 젖소 원유에서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 검출 보도와 관련하여 축산종사자나 주변 환경에서 전파되었다고 주장했습니다. 지난 5일 연합뉴스는젖소 원유에서 '슈퍼박테리아'가 검출되었다는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연합뉴스는 '서울대학교 조사에서2011~2012년 유방염에 감염된 젖소에서 생산된 649개 시료를 대상으로 유전자 분석결과 5개 농장에서 채취한 23개 시료에서 'MRSA(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가 검출되었고, 다른 농림축산식품부의 조사에서도2012~2016년 사이 유방염에 걸린 젖소 원유의 시료 4천965개 중 36개시료에서 MRSA가 확인되었다'는 것입니다. MRSA는 메티실린 항생제 내성 뿐만 아니라 다른 베타락탐계 항생제에도 내성을 가진 황색포도상구균이며 주로 인체 병원 감염의 주범으로서 호흡기와 수술 환자의 환부를 통해 감염되며, 고열과 오한, 혈압 저하 등의 증상을 일으킵니다. 반코마이신 같은 최상의 항생제 치료가 가능하나, 균의 활동이 환자의 면역 체계를 무너뜨리면 치료할 수 없습니다. 이에 따라 연합뉴스는 '축산농가에서 허가되지 않은 항생제인 메티실린의 내성균이 어떻게 젖소에서 나오는지에 대해서는 규명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