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돈미래연구소(소장 김성훈)가 최근 열린 한돈팜스 전선성적 발표회(관련 기사)에서 내년도 평균 돈가를 올해(5200원)보다 소폭 낮은 5150원으로 예측하고, 최소 MSY 17.0두 이상의 성적을 내어야 농장이 손실을 보지 않고 이익을 낼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모돈 200두 기준, 출하체중 115kg, 탕박 76%, 평균 사료단가 700원, 사료요구율 3.3 적용). 한편 지난해와 올해(9월 누적) 우리나라 농장 평균 MSY는 18.8두입니다. 돼지와사람(pigpeople100@gmail.com)
축산물품질평가원에 따르면 지난주(12.10-16) 평균 돼지 도매가격은 전주보다 무려 3.6% 떨어진 5040원을 기록했습니다. 이제 가격이 본격적으로 하향세로 접어든 모양새입니다(관련 기사). 이번주(12.17-23)에는 평균 가격이 4천원대로 떨어질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가격 하락은 예년 추이를 살펴보면 내년 2월 중순까지 이어질 전망입니다. 날씨만 영하인줄 알았는데 돼지 가격도 본격 영하, 생산비 이하로 떨어지는 모양새입니다. 한편 최근 한돈미래연구소가 밝힌 지난해 추정 손익분기돈가(BEP)는 5225원입니다. 올해 손익분기돈가는 이보다는 더 높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 12월 한돈산업 전광판 이득흔 기자(pigpeople100@gmail.com)
지난주 돼지 주간 평균 도매가격이 기대와 달리 4주 만에 하락세로 돌아섰습니다. 무엇보다 돼지 출하가 급증한 탓으로 분석됩니다. 축산물품질평가원에 따르면 지난주(9.10-16) 돼지 평균 도매가격은 5859원으로 집계되었습니다. 이는 전주(9.3-9, 6053원) 대비 3.2% 하락한 가격입니다. ▶8.20-26 5516원 ▶8.27-9.2 5679원 ▶9.3-9 6053원 등 지난달 말부터 시작된 도매가격 상승세가 3주 연속을 끝으로 하락세로 돌아섰습니다. 지난주 첫 도축일인 11일(월)의 가격은 6082원으로 전주 월요일(5978원)보다 좋았습니다. 다음날 12일의 가격도 5938원을 형성해 전주 화요일(5906원)보다 높았습니다. 이에 4주 연속 무난한 가격 상승을 보이는 듯했습니다. 그런데 ▶13일(수) 5854원 ▶14일(목) 5725원 ▶15일 5608원을 기록하며 가격이 끝내 상승하지 못하고 계속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급기야 16일(토)은 소량이지만 4천원대(4954원)까지 떨어졌습니다. 이 같은 결과에 대해 다양한 원인 분석이 가능하겠으나 무엇보다 등급판정두수(출하두수)가 급증한 것이 가장 큰 이유로 지목됩니다. 지난주 출하두수는 40만
지난주 돼지 평균 도매가격이 모처럼 2주 연속 상승하며, 두 달 만에 5600원대를 기록하였습니다. 본격 개학과 함께 추석 명절(9.29)이 가까워지면서 가격은 더욱 오를 것으로 예상됩니다. 최근 돼지 도매가격은 7월부터 8월까지 매주 내림과 오름을 반복하는 양상을 보였습니다. 오른 주의 가격만 따로 떼어놓고 보면 소폭이나마 상승하는 양상이었지만, 2주 단위로 묶어 보면 사실상 5400원대 박스권 가격에 갇힌 형국이었습니다(관련 기사). 여름철 출하감소 속 휴가 분위기가 무색한 지경이었습니다. 이 때문에 지난해 같은 기간 가격과의 격차는 더욱 벌어지는 양상을 띄었습니다. 돼지 가격의 큰 변화 조짐을 보인 것은 지지난주(8.20-26, 34주차)부터였습니다. 간만에 5500원대를 기록했습니다(5516원). 전주(8.13-19, 33주차) 5343원과 비교하면 무려 3.2% 증가입니다. 공교롭게도 일본 정부가 바다에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를 시작한 주에 벌어졌습니다. 그리고 지난주(8.27-9.2, 35주차)에는 가격이 추가 3.0% 증가하며 5679원까지 치솟았습니다. 주간 5600원대 가격은 지난 6월 초인 23주차(6.4-10, 5654원) 이후 거의
최근 돈가가 한 주 건너 오름과 내림을 반복하는 양상이 계속 이어지고 있습니다(관련 기사). 그런데 돈가를 2주 단위로 분석해봤더니 두 달 가까이 5400원대 박스권에 갇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습니다. 이번주를 포함해 추석과 개학을 앞둔 9월은 달라질지 관심입니다. 앞으로의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여파도 주목됩니다. 축산물품질평가원에 따르면 지난주(8.20-26) 돼지 도매가격은 5516원으로 전주(8.13-19, 5343원) 대비 3.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 주 만에 큰 폭으로 증가한 것처럼 보이지만, 앞서 전주의 경우 전전주(8.6-12, 5492원)보다 2.7% 가격이 빠진 탓입니다. 지난주와 전전주 가격을 비교하면 불과 0.4% 증가입니다. 사실상 보합세입니다. 이에 지난주를 기점으로 가격이 본격 반등했다고 보기에는 아직은 이른 판단입니다. 최근 두 달간 가격을 2주 단위로 보면 이러한 보합세는 더욱 뚜렷이 관찰됩니다. 분석 결과 ▶6/18-7/1 5494원 ▶7/2-7/15 5410원 ▶7/16-7/29 5418원 ▶7/30-8/12 5444원 ▶8/13-8/26 5434원 등으로 파악되었습니다. 6월 중순 이후 최근까지 모두 5400원대
7월 돼지 평균 도매가격이 5407원을 기록하며, 전월에 이어 두 달 연속 하락세를 이어갔습니다. 전년 동기 대비 3.7% 낮은 가격이어서 기대에 크게 못 미치는 결과입니다. 그런데 7월 도매가격을 주차별로 살펴보면 내림과 오름을 반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전체적으로는 다소나마 오르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습니다. 8월 가격에 기대하게 합니다. 축산물품질평가원에 따르면 7월 첫 주(7.2-8, 올해 27주차) 가격은 평균 5400원입니다. 이는 전주 대비 0.4% 떨어진 가격입니다. 둘째 주(7.9-15) 가격은 5421원을 기록하며 0.4% 상승했습니다. 셋째 주(7.16-22) 가격은 5391원으로 다시 0.6% 떨어졌습니다. 넷째 주(7.23-29) 가격은 5448원으로 또 다시 1.1% 올랐습니다. 가장 최근인 지난주(7.30-8.5)에는 5397원을 기록하며 0.9% 하락했습니다. 그리고 이번주에는 현재(8/6-9일 기준)까지 5550원으로 상승 중입니다. 이번주 아직 10일과 11일 이틀 출하를 남겼지만, 전주뿐만 아니라 전전주 대비 오를 것이 확실해 보입니다. 최근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주간 가격만을 살펴보면 ▶5421원(7.9-1
지난주 평균 돼지 도매가격이 또 떨어지면서 6주 연속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이번 주에도 추가 가격 하락이 예상되고 있어 7주 연속 가격 하락은 불가피해 보입니다. 이런 가운데 다음달 7월부터 무관세 할당관세 수입물량이 본격 풀리고, 독일산 돼지고기 수입 재개가 예정되어 있어 육가공과 양돈농가의 시름이 더욱 깊어질 전망입니다(관련 기사). 축산물품질평가원에 따르면 지난주(6.18-24) 평균 도매가격은 5572원(kg당, 제주 및 등외 제외)을 나타냈습니다. 이는 전주(5594원) 대비는 소폭(0.4%), 지난해 같은 기간(5690원)과 비교하면 2.1% 각각 감소한 수준입니다. 또한, 6주째 하락한 가격입니다. 올해 돼지 주간 평균 도매가격은 지난 19주차(5.7-13)에 6016원으로 최고점을 기록하였습니다. 이후 ▶20주차 5857원 ▶21주차 5805원 ▶22주차 5719원 ▶23주차 5654원 ▶24주차 5594원 ▶25주차 5572원 등을 기록해 6주 연속 매주 가격이 떨어지는 모습입니다. 6주간 무려 9.3%나 하락했습니다. 26주차인 이번주도 추가 하락 중입니다. 26일 5495원, 27일 5411원 등으로 주초임에도 5400원대를 기록했습니다.
한국육류유통수출협회(회장 김용철, 이하 육류협회)가 이달 평균 돼지 도매가격을 전달(5,272원)보다 11.8~15.6% 상승한 평균 5,900~6,100원/kg(제주 제외)으로 전망했습니다. 육류협회는 지난 10일 협회 회의실에서 육가공업계 실무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최근 국내산 및 수입육 시장의 동향 및 전망 등에 대한 의견을 나누었습니다. 참석자들은 국내산의 경우 구이류는 가정의달 가족모임 등으로 외식수요가 늘어났고 대형마트 등에서도 할인행사가 진행되었지만 모두 예년 대비로는 부진하였고, 정육점 등에서는 연휴기간 미판매 재고가 남아 연휴 이후에 매입이 더욱 감소하였다고 분석하였습니다. 또한, 정육류 중 전지는 수요가 소폭 개선되었고 등심도 프랜차이즈 수요 강세가 이어졌으나, 후지는 만두 등 가공품 판매부진으로 약보합세가 지속되고 있다고 전하였습니다. 수입육의 경우 냉장육은 가정의달 외식수요 증가로 소폭 개선되었고, 냉동육은 저가수요 유입으로 전년대비 시장이 조금 개선되었다고 진단하였습니다. 목전지는 고정수요가 일정 수준 유지되고 있지만, 공급 대비 수요가 약한 편이라는 의견을 내놓았습니다. 육류협회는 이를 종합해 이달 돼지 지육가격은 "원료돈 출하감소로
한국육류유통수출협회(회장 김용철, 이하 협회)가 이달 평균 돼지 도매가격을 전달(4,712원)보다 8.2~12.5% 오른 5,100~5,300원(kg당, 제주 및 등외 제외)으로 전망했습니다. 협회는 지난 5일 본회 회의실에서 육가공업계 실무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최근 국내산 및 수입육 시장의 동향 및 전망 등에 대한 의견을 나누었습니다. 이날 참석자들은 먼저 최근 국내산의 경우 구이류는 모든 유통경로에서의 수요가 적어 일부 냉동생산 및 덤핑판매로 가공업체 운영적자가 심화됨에 따라 주중 휴무 시행업체가 다시 생겨났다고 하였습니다. 정육류 중 전지는 급식식자재에서의 수요 부진으로 일부 냉동 생산하고 있고, 후지도 만두 등 육가공품 판매부진으로 발주가 감소하며 소폭 약세 전환, 등심은 프랜차이즈 수요로 강세가 지속되고 있다고 하였습니다. 수입육의 경우 냉장육은 할당관세 종료로 할인행사도 진행되지 않는 등 판매가 위축되며 일부 유통기한이 임박한 물량들이 덤핑 출현하였고 냉동육은 오퍼가격 상승 및 국내재고 감소 등으로 가격이 높게 유지되고 있다 하였습니다. 목전지는 고정수요가 일정 수준 유지되는 가운데, 공급부족 우려로 한동안 상승하였던 가격이 다시 하락 전환하였다
한국육류유통수출협회(회장 김용철, 이하 협회)가 삼겹살데이(3월 3일) 준비 수요를 근거로 이달 평균 돼지 도매가격을 4,500~4,700원(kg당, 제주 및 등외 제외)으로 전망했습니다. 협회는 지난 8일 협회 회의실에서 육가공업계 실무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2월 돈육시장 동향분석회의'를 열었고, 최근 국내산 및 수입육 시장의 동향 및 전망 등에 대한 의견을 나누었습니다. 이날 참석자들은 국내산 돼지고기의 경우 먼저 구이류는 심각한 소비위축으로 냉동생산 및 재고가 증가하고 있으나 삼겹살데이 행사 준비가 시작되며 재고는 감소할 것으로 예측했습니다. 전지와 등심, 후지 등 정육류는 현재 수요가 부진하지만, 개선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았습니다. 수입산 돼지고기의 경우 냉장육은 대형마트 할인행사가 지속되고 있으나 계절적으로 약세이고 냉동육은 불경기로 인한 저가중심 수요가 꾸준히 이어지고 있으며, 목전지는 급식납품이 감소하였지만 고정수요가 꾸준하다고 분석했습니다. 이상을 종합해 2월 평균 돼지 도매가격은 이달 중순부터 삼겹살데이 준비 수요로 강세로 전환되며 평균 4,500~4,700원에서 형성될 것으로 예측했습니다. 한편 이달 현재(9일 기준 누적) 평균 돼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