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PRDC(돼지호흡기복합감염증)의 주요 원인체로 주목되는 PRRSV, PCV-2(돼지써코바이러스 2형), MH(마이코플라즈마성 폐렴), APP2(흉막폐렴균 2형), APP5(흉막폐렴균 5형), PMA(파스튜렐라성 폐렴 A형) 및 HP(글래서씨병)의 항체가를 조사하여 방역지도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습니다. 이를 위해 2023년 1월부터 12월까지 전북지역 14개 시군의 양돈농장 55호와 종돈장 4호(A~D농장)에서 각각 채취한 돼지혈액 5,488점을 재료로 사용하였다. 검사 결과 PCV-2, APP2, APP5(흉막폐렴균 5형), PMA및 HP는 종돈장이 모두 97% 이상의 항체양성율을 보여 양돈장보다 높게 나타났다. 반면, MH는 양돈장이 68.4% 및 종돈장이 48.7%, 그리고 PRRS는 양돈장이 79.4% 및 종돈장이 58.2%로 나타나 양돈장이 종돈장보다 더 높은 항체 양성률을 나타냈다. 종돈장인 경우, PCV-2, APP2, APP5 및 PMA의 분기별 및 일령별 검사에서 모두 90% 이상의 높은 항체양성율을 보였지만, 농장별로 각 질병원인체의 분기별, 일령별 항체 역가는 큰 차이를 나타냈는데, 분기별로는 C농장의 PCV-2가 1
'게타 바이러스(Getah virus, GETV)'는 모기가 전파하는 바이러스입니다. 주로 말과 돼지에서 발병하여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초래한 사례가 여러 차례 보고된 바 있습니다. 돼지에서 GETV 감염은 침울, 진전, 뒷다리 마비, 설사, 자돈의 높은 폐사, 임신돈 번식장애(사산, 태아사망) 등과 관련이 있습니다. 2017년 중국의 경우 GETV 발병으로 약 200마리의 자돈이 폐사하고, 150마리 이상의 임신돈에서 사산이 발생한 바 있습니다. 여러 연구에서 국내 경주마에서의 GETV 혈청 유병률을 평가했습니다. 하지만, 국내 돼지에서 GETV에 대한 혈청학적 조사에 대한 보고는 아직 없습니다. 본 연구에서는 전국(8개 도, 1개 시)의 국내 돼지를 대상으로 GETV 혈청학적 조사를 실시하였습니다(VN 테스트). 국내 돼지에서 총 670개(모돈 291, 비육돈 379)의 전혈 샘플을 채취했습니다. 전체 혈청 양성률은 26.4%(모돈 24.1%, 비육돈 28.2%)로 앞서 경주마에서 관찰된 비율('13년 12.4%, '14년 12.2%)보다 높았습니다. 혈청 양성률의 지역적 차이가 관찰되었습니다. 이러한 비율은 7.5%에서 70.3% 범위였습니다. 구체적으
돼지에서 설사와 부종병을 유발하는 원인균은 Stx2e를 생산하는 대장균(Shiga toxine producing Escherichia coli; STEC)으로 STEC에 감염된 돼지는 신체의 다양한 부위, 특히 결장, 위, 소장, 눈꺼풀 및 뇌 등에서 부종을 나타낼 수 있으며, 특히 뇌에서의 부종으로 인해 운동 실조, 발작 및 마비 등의 증상을 나타낸다. 돼지 부종병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전통적으로 균 분리 후 PCR이나 qPCR 방법으로 Stx2e 유전자를 검출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균 분리 및 동정을 위해서는 시일이 많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국내에서 돼지 부종병을 혈청학적으로 분석하여 항체 역가 및 항원 농도를 통해 농장 내 돼지에서의 감염률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돼지 부종병 음성 자돈에 재조합 변형 Stx2e 단백질을 접종하여 얻은 혈청을 표준 혈청으로 하여 전라북도 소재 양돈장에서 채취한 3,480 혈청을 대상으로 혈청에서의 항 Stx2e 항체를 검출하여 본 결과, 양성 기준에 해당하는 수치 이상을 보인 돼지혈청은 약 74%였다. 그리고 STEC 감염 후 생산된 Stx2e의 혈중 농도를 측정하기 위해 Stx2e에
PRRS 바이러스 모니터링 결과 북미형(PRRSV-2)이 유럽형(PRRSV-1)보다 압도적으로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유럽형과 복합감염 비율이 크게 감소해 이전과는 다소 다른 양상입니다(관련 기사). 농림축산검역본부(이하 검역본부)는 병성감정기관에 의뢰된 시료를 대상으로 지난해부터 '국내 PRRS 바이러스의 감염·발생 모니터링 및 변이양상 분석'을 주제로 연구를 추진 중입니다. 중간 결과 시료를 맡긴 346농가 가운데 299농가가 PRRS 양성을 보여 농장 양성률은 68.6%로 파악되었습니다. 10농가 가운데 7농가 꼴이여서 대다수의 농가에서 PRRS가 다양하게 문제가 되고 있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습니다. 시료 양성률은 거의 절반 수준입니다(49.7%, 시료 1,368건 가운데 680건). 검역본부는 양성 시료에 대해 유전자형 분석을 하였는데 북미형이 76.9%로 가장 많았습니다. 이어 유럽형은 19.6%, 북미형과 유럽형의 혼합 감염은 3.5%로 나타났습니다. 북미형이 우세하나 지역적으로는 모든 지역에서 북미형과 유럽형이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습니다. 또한, 북미형은 Lineage1(47.4%)이, 유럽형은 subtype1A(82%)가 같은
정부가 ASF 감염멧돼지 수색에 점차 소극적으로 임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환경부 산하 국립야생동물질병관리원 자료에 따르면 6월 한 달간 전국적으로 추가 발견한 감염멧돼지 숫자는 불과 18건에 그친 것으로 집계되었습니다. 18건은 전달(41건) 발견 숫자보다 23건이나 감소한 수준입니다. 하루 평균 한 건도 발견하지 못한 셈입니다. 지난해 같은 기간(20건)보다도 적습니다. 시기적으로 수풀이 우거지고 장마로 수색에 어려움이 있다지만, 1년 사이 확산지역이 14개 시군에서 현재 28개 시군으로 두 배 증가한 것을 감안하면 지난달 결과는 쉬이 납득이 가지 않습니다. 발견건수 정점을 찍은 지난 2월(228건)과 비교하면 더욱 그러합니다. 6월 감염멧돼지 18건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모두 8개 시군에서 확인되었습니다. 보은에서 가장 많은 8건이 추가되었습니다. 이어 삼척 3건, 가평 2건, 그리고 춘천·강릉·정선·제천·충주 등이 각 1건씩입니다. 화천, 영월, 평창, 홍천, 횡성, 단양, 상주, 울진, 문경 등 다른 20개 기존 발견시군의 실적은 없습니다. 또한, 2건(수렵)을 제외하고 모두 폐사체 형태로 발견되었습니다. 폐사체 발견시점은 16건 가운데 10건이 한
국내에 ASF가 유입된 직후인 지난 '19년 10월부터 최근까지 약 2년 6개월 동안 정부가 포획한 야생멧돼지는 모두 23만 2천여 마리인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이 가운데 ASF에 감염된 멧돼지는 약 1.3% 수준입니다(247마리?). 반면 죽은 멧돼지 폐사체에서의 ASF가 확인된 것은 약 50%입니다. 폐사체가 포획개체보다 월등히 양성률이 높은 것입니다. 이 같은 사실은 국립야생동물질병관리원(원장 노희경, 이하 질병관리원)이 3일 발표한 보도자료를 통해 파악되었습니다. 질병관리원은 "바이러스 오염확산을 차단하기 위해 폐사체를 신속하게 제거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며, "야생멧돼지가 번식기인 이달부터 새끼를 낳은 후 저지대에서 가족무리로 먹이활동을 하는 경우가 많고, 폐사체도 쉽게 눈에 띌 수가 있어 적극적으로 신고할 수 있도록 안내문(포스터)을 제작하여 (최근) 전국 지자체에 배포했다"고 밝혔습니다. 현재 야생멧돼지 폐사체를 신고할 경우 양성·음성 결과에 상관없이 20만 원의 포상금이 지급됩니다. 다만 1인당 연간 60만 원으로 포상금이 제한됩니다. 질병관리원은 지난달부터 전국의 모든 야생멧돼지 시료에 대한 ASF 전수검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관련 기사)
이전 글(바로가기)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비육돈에서의 호흡기 질병은 한돈 농가에 막대한 피해를 끼치고 있다. 이런 피해를 막기 위해서 해당 질병을 일으키는 병원체에 대한 이해뿐만 아니라 나아가 이미 알고 있는 병원체들에 대한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이미 잘 대처하고 있다고 생각되어온 병원체들 또는 우리 농장에서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가벼이 여겨온 병원체들이 심각한 피해를 끼치고 있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위의 표에서와 같이 비육돈에서 PRDC를 일으키는 병원체는 굉장히 다양하다, 이렇게 다양한 병원체들에 대한 관리가 가능하냐는 의문이 들 수 있다. 하지만 분명히 효율적으로 PRDC를 유발하는 병원체들을 컨트롤 할 수 있는 관리 포인트가 있음을 말씀드리고자 한다. 효율적으로 다양한 PRDC 병원체를 컨트롤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키 포인트는 바로 돼지써코바이러스 2형(PCV2), 유행성폐렴 원인체인 '마이코플라즈마', 돼지생식기호흡기증후군 바이러스(PRRSV)와 같은 1차 감염병원체(Primary agent)를 확실히 컨트롤하는 것이다. 이런 1차 감염 병원체에 대한 확실한 컨트롤을 통해서 2차 감염 병원체의 확산을 막고 결과적으로 PRDC로
※ 감염 의심 양돈장의 시료 수집 및 PCV3 검색 - PCV3 감염 증상이 특이적이지 않고, 현장 양돈 수의사들이 PCV3에 대한 경험이 적어 의심농장에 대한 시료 수집은 원활하지 않았다 - 1일령 신생자돈의 진전 후 폐사 후 폐사 의뢰건(2복 8두 기립불능)에서 뇌를 포함한 전신 장기에서 PCV3 항원이 검출되었으며, 특히 제대에서 항원 검출량이 높았다(모돈은 특이 증상이 없고, 동거축의 전파도 미약함). ※ 검역본부 병성감정 의뢰 시료에 대한 PCV3 검색 - '09년부터 '19년 10월까지 돼지 병성감정 시료에 대한 PCV3 검색 결과 '09년에서도 PCV3 항원이 확인되어 과거부터 지속적으로 존재하고 있는 바이러스로 판단되며, 연도별로 농장 양성률은 약 10~16%(평균 13.0%), 개체 양성률은 약 7~12%(평균 9.8%)로 조사되었다. - PCV3 양성 개체는 전신형과 호흡기형 임상증상이 많이 관찰되었고, 연령별로는 이유자돈에서 가장 높게 검출되었으며, 지역별로는 '09년부터 전국적으로 감염이 확인되었다. - 혼·복합 감염 원인체로는 PCV2, PRRS, S.suis(연쇄상구균), E.coli, CpA(클로스트리듐)가 많았다. - PCV3 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