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이 '2023년 축산물생산비 조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돼지(비육돈)의 경우 2년 연속 전년보다 생산비는 증가한 반면 수익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관련 기사). '23년 비육돈(100kg 기준)의 경우 생산비 37만원, 경영비 34만8천원으로 전년보다 각각 7.1%(2만5천원), 5.6%(1만8천원)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사료비 및 가축비 등이 상승한 영향입니다. 이들 비육돈 생산비와 경영비는 통계청이 축산물생산비 통계를 조사한 이래 역대 가장 높은 기록으로 파악됩니다. 이에 따라 비육돈 마리당 순수익은 2/5 수준(-60.1%)으로 크게 감소한 것으로 분석되었습니다. 마리당 2만3천원(2만2659원)으로 전년(5만6739원) 대비 3만4천원(3만4170원)이나 줄어들었습니다. 최근 4년간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습니다. 비육돈 생산비(100kg 기준)와 순수익(마리당)를 농가 사육규모별 살펴보면 ▶1000마리 미만은 42만원, -3만8716원 ▶1000-1999마리 39만원, 7255원 ▶2000-2999마리 38만8천원, 1만296원▶3000마리 이상 35만2천원, 3만9627원입니다. '22년에 이어 1000마리 미만 농가는 유일
통계청이 지난 26일 '2022년 축산물생산비 조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이번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비육돈의 경우 100kg 생산비가 34만6천 원으로 집계되었습니다. 이는 전년 29만8천 원보다 4만7천 원(15.9%) 증가한 수준입니다. 15.9%는 전체 축종 및 축산물 가운데 계란(21.0%) 다음으로 두 번째 높은 증가율입니다. 비육돈의 경우 사료비와 자가노동비 등뿐만 아니라 가축비가 증가한 것이 주요 상승 원인으로 파악되었습니다. 이에 따른 비육돈 마리당 순수익은 5만7천 원입니다. 전년 대비 1만1천 원(16.6%) 줄어들었습니다. 비육돈 산지가격이 전년보다 상승했지만, 사육비 증가만큼 못 받춰준 영향입니다. ''21년 마리당 사육비는 39만3천 원으로 전년(34만)보다 5만3천 원이 증가했습니다. 사육규모별 사육비는 ▶1000마리 미만 46만5천 원 ▶1000~1999마리 41만8천 원 ▶2000~2999마리 39만2천 원 ▶3000마리 이상 37만 5천 원 등입니다. 각각의 순수익은 ▶1000마리 미만 -2만1천 원 ▶1000~1999마리 3만1천 원 ▶2000~2999마리 6만5천 원 ▶3000마리 이상 7만4천 원 등으로 집계되었습니
통계청이 발표한 '2021년 축산물 생산비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비육돈 두당 평균 사육비는 약 34만 원(330,629원)으로 조사되었습니다. 이는 전년 31만 5천 원보다 7.8% 증가(24,550원)한 수준입니다(관련 기사). 사육비 항목 가운데 가축비, 사료비, 방역치료비, 고용노동비, 분뇨처리비 등의 대부분의 항목에서 증가한 덕분입니다. 사료비 증가가 가장 큰 역할을 했습니다. 전년 대비 11.1%(19,144원)이 올랐습니다. 가축비 증가도 한몫 했습니다. 전년과 비교해 3.1%(2,074원) 증가했습니다. 감소한 항목은 토지임차료와 생산관리비, 자가노동비, 자본·토지용역비 등인데 각각의 감소 정도는 미비합니다. 사육규모별 사육비는 ▶1000두 미만이 396,668원 ▶1000-1999두가 349,971원 ▶2000-2999두가 342,787원 ▶3000두 이상이 326,913원으로 각각 조사되었습니다. 3000두 이상 규모를 제외하고 모두 평균 사육비 34만 원 이상입니다. 1000두 미만은 40만 원을 육박합니다. 이에 따른 비육돈 두당 수익은 평균 6만 8천 원입니다(68,036원). 전년(46,949원)보다 2만 1,087원(44.9%
[최근 통계청의 '2020년 축산물생산비 조사 결과'에 대한 대한한돈협회의 성명서입니다(관련 기사). 협회는 성명서와 별개로 같은 날 통계청에 '축산물생산비 조사 체계 전면 개편 및 정정 보도를 요청하는 공문을 발송한 것으로 확인됩니다. -돼지와사람] "전문성없는 통계청 엉터리해석으로 축산업 현실 왜곡한다” 통계청, 돼지농가 비육돈 수익 640% 증가 엉터리 표현으로 농가 고통 1. 통계청은 최근 ‘2020년 축산물생산비 조사결과’를 통해 ‘비육돈 마리당 순수익은 돼지 판매가격 상승으로 전년대비 4만1천원(640.6%) 증가’해 마치 농가 수익이 폭등한 것처럼 분석해 사실을 곡해했고, 언론은 이 내용을 그대로 인용해 “작년 돼지 농가 수익 640% 급증” 등 자극적인 제목으로 다뤄졌다. 2. 대한한돈협회(회장 하태식)는 이번 통계청의 발표가 ‘돼지농가 순수익 640% 증가’라는 표현으로 마치 한돈농가가 폭리라도 취하는 것처럼 국민과 언론의 오해를 불러일으켰다고 보고, 즉각 사과와 시정을 촉구한다. 3. 통계청이 발표한 2020년 비육돈의 수익 증대는 기저효과가 큰 몫을 차지한 것으로 2019년 비육돈 한마리 당 순수익은 86.8% 감소해 6천원에 불과했다는
코로나에 돼지고기 소비 증가...마리당 수익 전년대비 640%↑ -연합뉴스 계란값 뛰자 산란계 수익 흑자 전환...돼지고기는 640%↑-아시아경제 지난해 돼지고기 마리당 수익 640%↑·산란계 흑자전환 -SBS 24일 어제 주요 신문과 방송은 일제히 '지난해 돼지 마리당 수익 640% 상승'이라는 비슷하면서도 다소 자극적인 제목의 기사를 일제히 쏟아냈습니다. 대표적으로 뉴스통신사인 연합뉴스(바로보기)는 "지난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가정에서의 돼지고기 소비가 증가해 판매가격이 오르면서 한 마리당 수익이 640% 넘게 증가했다"고 전했습니다. 이는 같은 날 통계청이 발표한 '2020년도 축산물생산비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것입니다(관련 기사). 분명 '전년대비 640% 증가'라는 말은 틀린 말은 아닙니다. 하지만, 분명 '곡해'입니다. '19년 저간의 사정을 반영하지 않은 잘못된 해석입니다. '19년 비육돈의 순수익은 2년 연속 떨어져 정부 공식 통계에서 조차 마리당 불과 6천 원대까지 감소하였습니다. 실상 대부분의 농장들이 적자 상태였습니다. 당시 '비육돈 한 마리가 5만 원짜리 하나 물고 나간다'는 말이 모 방송에서 화제가
통계청이 매년 발표하는 축산물생산비가 발표되었습니다. 지난해 비육돈 한 마리에 대한 평균 수익은 약 4만 7천 원으로 분석되었습니다. 이런 가운데 1000두 미만 소규모 농가는 여전히 적자입니다. 통계청의 '2020년 축산물생산비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비육돈의 평균 생산비(생체 100kg)는 전년(28만 3,662원)보다 7천 원 정도 감소(-2.6%)한 27만 6,409원으로 조사되었습니다. 이는 사료비('19년 147,384원→'20년 151,164원, 2.6%↑) 및 분뇨처리비('19년 7,892원→'20년 8,218원, 3.0%) 등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가축비 하락('19년 69,543원→'20년 58,510원, 15.9%↓) 요인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분석되었습니다. 비육돈 생산비를 사육규모별로 살펴보면 3,000마리 이상 농가가 가장 적은 25만 8,945원을 기록했습니다. 이어 2,000~2,999마리(27만 7,337원), 1,000~1,999마리(29만 8,634원), 1,000마리 미만(33만 1,263원) 순입니다. 3,000마리 이상과 1,000마리 미만 농가의 생산비 차이는 무려 7만 2,318원입니다. 이런 가운데 지난해 비
통계청이 지난해인 2019년 한해 동안 가축사육 및 생산에 투입된 직·간접 비용에 대해 조사한 결과를 지난 22일 발표하였습니다. 양돈장의 경우 '18년에 이어 또다시 소득과 순수익이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관련 기사). 정부 자료에서 공식적으로 2년 연속 하락입니다. 상당수의 농장은 적자로 확인된 것입니다. 통계청에 따르면 비육돈의 경우 지난해 생산비는 100kg 기준 28만4천 원으로 조사되었습니다. 전년보다 소폭(1천원, -0.3%) 감소한 것이며 가축비 하락(생체 100kg 73,268원-->69,543원; -5.1%)이 원인으로 분석되었습니다. 비육돈 두당 소득과 순이익은 각각 2만2천 원, 6천 원 입니다. 전년과 마찬가지로 돼지가격 하락(4,362원→3,140원, -28.0%)이 감소의 원인입니다. 전년에 비해 감소폭이 각각 더욱 컸습니다(-29.0%p, -43.4%p). 마리당 평균 소득과 순수익은 각각 21,567원과 6,339원 입니다. 전년 62,623원과 48,400원과 비교하면 65.6%, 86.9%가 줄어든 셈입니다. '17년과 비교하면 각각 78.2%, 92.6% 감소 입니다. 사육규모별로 살펴 보면 3천 마리 이상
지난해 비육돈 생산비 조사 결과가 발표되었습니다. '18년은 '17년에 비해 생산비와 경영비 모두 비슷해 큰 변화는 없었지만, 돼지가격 하락으로 소득과 순수익이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통계청은 지난 24일 '18년 축산물생산비를 발표하고, 비육돈(100kg)의 경우노동비, 분뇨처리비 상승으로 전년보다 1천원(0.3%) 증가한 '28만4천원'이라고 밝혔습니다. 경영비는 27만2천원으로 거의 같습니다. 하지만, 돼지가격 하락으로 비육돈 두당 소득과 순수익은 모두 감소했습니다. 두당 소득은 전년에 비해 3만6천원이 감소한 6만3천원으로 나타났습니다.이에 따른 두당 순수익은 전년보다 '3만7천원' 감소한 '4만8천원'입니다.지난해 돼지 경락가격((원/탕박 kg)은 전년(4947원)보다 585원이 감소(11.8%)한 4,362원 입니다. 마리당 소득과 순수익은 각각 62,623원, 48,400원 입니다. 전년에 비해 각각 36,141원, 37,194원이 감소했습니다. 순수익을 사육규모별로 살펴보면 2~3천마리가 71,427원으로 가장 높고, 3천마리 이상이 64,031원, 1천~2천마리가 18,814원이며, 1천마리 미만은 외려 손해(-19,8
지난해 비육돈 생체 100kg 기준 생산비는 28만4천원이고 두당 순수익은 8만6천원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전년보다 각각 6.3%, 7.1% 증가한 수치입니다. 지난 25일 통계청(청장 황수경)은 지난해 비육돈을 포함한 축산물 생산비와 순수익 조사결과를 발표했습니다. '17년 축산물 생산비는 육계를 제외한 모든 축종에서 전년보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계란 14.7%, 비육돈 6.3%, 육우 5.6%, 송아지 3.3%, 비육우 2.2%씩 각각 증가했는데 이는 가축비(비육돈, 계란), 노동비, 영농시설비 상승에 따른 것입니다.육계는 사료가격 하락에 기인하여 전년대비 0.5% 감소했습니다. ‘17년 축산물 순수익은 소축종은 전년대비 감소한 반면, 돼지 및 닭축종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우와 육우는 축산물 판매가격 하락에 기인해 감소했습니다. 반대로, 돼지와 닭은 축산물 판매가격 상승에 힘입어 순수익이 증가한 것으로 분석되었습니다. 한편 비육돈 중심으로구체적으로살펴보면, 먼저 ´17년 비육돈 생산비(100kg)는 가축비(6,557원↑) 및 사료비(6,288원↑) 등의 상승으로 전년보다 1만7천원(6.3%) 증가한 28만4천원인 것으로 파악되었
2016년 비육돈의 생산비와 순수익 모두 전년에 비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 26일 통계청은 '2016년 축산물생산비 조사'를 발표했습니다. 이번 소, 돼지 및 닭 사육농가 등을 대상으로 2016. 1. 1 ~ 12. 31까지의 가축사육 및 생산에 투입된 직․간접 비용을 조사한 자료 입니다. 비육돈 관련 구체적으로 보면 ´16년 비육돈 생체 100kg당 생산비는 사료가격 하락으로 전년보다 3천원(-1.0%) 감소한 26만7천원으로 조사되었습니다. 그리고비육돈 마리당 순수익은 돼지가격 하락으로 총수입이 줄어 전년보다 1만5천원 감소한 8만2천원입니다. 농장의 규모별 생산비와 순수익을 보면 생산비는 250~321천원이며 순수익은 24~97천원입니다. 1000두 미만 농장과 3000두 이상의 농장의 생산비와 순수익 격차가 여전히 상당한 것으로 파악이 되었습니다. 한편 ‘16년 축산물생산비는 한우비육우를 제외한 모든 축종에서 전년보다 감소한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계란은 7.4%, 송아지는 3.6%, 육계는 2.6%, 육우는 1.8% 생산비가 줄어들었으며 이는 사료가격 하락에 따른 사료비 감소 등에 기인한 것으로 추정했습니다. 한우비육우는 사료가격 하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