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더 이상 중국의 돼지고기 수입량 등락에 따라 우리나라의 돼지고기 수입량이 좌지우지 되고 국내산 돈가에 영향을 주는 일은 당분간 없을 듯합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센터는 최근 발표한 해외축산 보고에서 중국의 돼지고기 산업이 ASF로부터 회복하면서 돼지고기 생산량과 수입량이 ASF 이전 수준으로 복귀했다고 밝혔습니다. 전 세계 돼지의 절반 이상을 사육하고 있는 중국에서 ASF가 발생한 것은 지난 2018년입니다. 이후 1년도 안되어 중국 내륙 전역에 전염병이 빠르게 확산되었고 이 과정에서 전체 돼지의 1/5 정도가 폐사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글로벌 금융 기업인 라보뱅크는 중국의 ASF로 인한 돼지 피해는 1억5천~2억 마리로서 돼지고기 생산 손실은 30%에 달할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이 때문에 중국은 전 세계 돼지고기 잉여분의 블랙홀 역할을 했습니다. ASF 발생 이전 140~150만 톤대의 연간 돼지고기 수입량이 '19년 245만 톤을 거쳐 '20년 527만 톤까지 급상승했습니다.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 돼지고기 가격 상승을 이끌었습니다. 현재 중국은 모돈 사육 마릿수 감축을 통해 돼지고기 생산량 조절을 할 정도로 생산량이 충분한 상황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하 농경연) 농업관측센터가 올해 돼지 도축두수를 재차 상향했습니다(관련 기사). 평균 도매가격 전망치 역시 상향 조정했습니다. 농업관측센터가 발행하는 돼지관측 9월호에서 농경연은 올해 하반기 도축두수가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구체적으로 8월 이후 도축 가능한 육성돈 사육 마릿수와 작업일수가 감소함에 따라 8~12월 기간 도축두수는 전년 대비 2.2% 내외 줄어들 것으로 예측했습니다. 다만, 1~7월 누적 도축 마릿수가 전년 대비 3.6% 증가한 영향으로 올해 누적 돼지 도축 마릿수는 전년(1875만4천 마리) 대비 1.1% 내외 증가한 1888만~1904만 마리로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는 지난 6월 예측치 1870만~1898만 마리보다 많은 수준입니다. 올해 평균 돼지 도매가격은 도축 마릿수 및 수입량 증가로 총 공급량 증가하여 전년(5134원) 대비 0.9% 하락한 5000~5200원이 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다만, 이는 6월 관측치(4800~5000원)보다는 높은 수준입니다. 6~8월 3개월간 전년 대비 도매가격이 상승한 영향으로 보입니다. 단기 전망에서 9월 돼지 도축 마릿수는 폭염으로 인한 증체 지연으로 8월 도축 예정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하 농경연) 농업관측센터가 올해 돼지 사육두수와 도축두수, 돼지고기 수입량 전망치를 또 다시 상향 조정했습니다. 반면, 연평균 도매가격 전망치는 처음으로 낮추었습니다. 농업관측센터가 발행하는 돼지관측 6월호에서 농경연은 올해 평균 모돈수를 전년(97만1천 마리) 수준인 95만~99만 마리로 예측했습니다. 전체 돼지 사육두수는 전년(1,199만9천 마리) 대비 증가한 1200만~1204만 마리가 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도축두수는 전년(1875만) 대비 소폭 증가한 1870만~1898만 마리가 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이같은 전망치는 지난 돼지관측 3월호보다는 모두 상향 조정된 수치입니다(관련 기사). 3월호에서 모돈수는 97만 마리 내외, 돼지 사육두수는 1188만 마리 내외, 도축두수는 1870만 마리 내외였습니다. 사실상 올초부터 제기된 전국적인 PED와 PRRS 발생에 따른 사육두수 및 도축두수 감소는 없다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돼지고기 수입량 전망치 또한, 지난 3월 전망치(39~43만 톤)보다 올려 41만~45만 톤이 될 것으로 예측했습니다. 상반기 수입량은 증가했으나 하반기는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 자료에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센터가 최근 '돼지 관측 3월호'를 발표했습니다. 지난 1월 농업전망(관련 기사)에서 밝힌 돼지 사육두수와 도축두수, 돼지고기 수입량 전망치를 소폭 상향 조정한 가운데 올해 전체 평균 돼지 도매가격 전망치는 변동없이 그대로 유지하였습니다. 농업관측센터는 먼저 올해 평균 모돈 사육두수는 전년(97만1천 마리) 대비 0.4% 감소한 97만 마리 내외가 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이에 따른 올해 평균 돼지 사육두수는 전년(1,199만9천 마리) 대비 1.0% 감소한 1,188만 마리 내외로 예측했습니다. 도축두수는 전년(1,875만4천 마리)보다 소폭 감소한 1870만 마리 내외가 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이들 전망치는 앞서 농업관측센터의 농업전망 발표치보다는 소폭 높아진 수준입니다. 농업전망에서의 올해 평균 돼지 사육두수 전망치는 1,120만 마리입니다. 도축두수는 1,865만 마리입니다. 다만, 농업관측센터는 최근 확산이 우려되고 있는 PRRS와 PED 등의 질병으로 도축두수는 변동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농업관측센터는 올해 돼지고기 수입량 전망치도 소폭 상향했습니다. 39~43만 톤으로 농업전망 발표 전망치(39만2천 톤)보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센터가 최근 발표한 '12월호 돼지관측 보고서'에는 다음달 12월뿐만 아니라 내년도 전망도 담고 있습니다(관련 기사). 올해보다 돈가가 더 떨어질 것으로 예상해 쉽지 않은 해가 될 것임을 전했습니다. 먼저 농업관측센터는 내년도 돼지 사육두수를 올해(1,197만 마리 추정)보다 소폭(0.1%) 감소하는 1196만4천 마리로 잠정 예측했습니다. 이는 일선 농가의 모돈 사육 의향이 올해와 마찬가지로 내년에도 감소할 것이라는 조사 결과에 따른 것입니다. 모돈 사육두수는 올해(97만 마리 추정)보다 0.2% 감소한 96만 8천 마리로 예상했습니다. 이에 따라 내년도 도축두수는 올해(1860~1870만 마리 추정) 대비 1.1~1.6% 줄어든 1830~1850만 마리로 내다봤습니다. 내년도 돼지고기 수입량은 37~41만 톤으로 올해 예상치 40만 톤과 비슷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다만, 지난 10월부터 수입이 재개된 독일산 돼지고기가 변수입니다. 현재까지 수입량은 미비합니다(관련 기사). 농업관측센터는 이를 종합한 내년도 평균 돼지 도매가격을 올해(5151원 추정)보다 1.0~4.9% 하락한 4900~5100원으로 형성될 것이라고 예측했습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센터가 지난 24일 올해 마지막 '돼지관측(바로보기)' 보고서를 발표했습니다. 보고서에서 농업관측센터는 다음달 12월 평균 돼지 도매가격을 지난해(5346원)보다 8.3~12.1% 감소한 4700~4900원으로 예상했습니다. 이는 11월 현재 가격(4940원, 25일 누적)보다도 적은 수준입니다. 이같은 예상 가격은 수입 단가 상승 등의 영향으로 돼지고기 수입량은 12월에도 지난해보다 감소세가 지속될 것이지만, 국내산 돼지고기는 생산량뿐만 아니라 재고량의 증가세가 여전할 것이라는 판단에서 나온 것입니다. 생산량 증가는 모돈 생산성 향상이 원인입니다. 재고량 증가는 소비 부진 때문입니다. 한국육류유통수출협회와 농림축산검역본부에 따르면 9월 돼지고기의 재고량은 8만2천톤입니다. 8만2천톤 가운데 국내산은 3만톤, 수입산은 5만2천톤 정도입니다. 이는 지난해보다 국내산은 21.4% 증가, 수입산은 32.6% 감소한 수준입니다. 수입산과 다르게 국내산의 재고 적체가 계속되고 있는 것입니다. 이 때문에 다음달에도 국내산 도매가격은 지난해보다 낮게 형성될 것이라는 예상이 나온 것입니다. 11월 현재에도 비슷한 상황으로 추정됩니다. 한편 11월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센터가 '9월호 돼지관측 보고서(바로보기)'를 발표한 가운데 9월 돼지 평균 도매가격을 지난해보다 높은 5600~5800원(kg당, 등외 및 제주 제외)으로 예측했습니다. 농업관측센터는 먼저 9월 돼지 도축 마릿수는 142~146만 마리로 지난해 141만 8천 마리보다 0.1~3.1%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이유 전후 육성률 등 생산성 향상 영향입니다. 이런 가운데 국내산 돼지고기 재고량은 지난해와 비교해 크게 늘어난 상황입니다. 한국육류유통수출협회에 따르면 6월 기준 4만 3천 톤입니다. 이는 지난해(2만 9천)보다 무려 46.6% 높은 수준입니다. 그나마 수입량은 EU산 수입단가 영향 등으로 감소했으며, 9월에도 감소세는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이를 종합해 농업관측센터는 '9월 평균 돼지 도매가격의 경우 국내산 공급량이 증가하나, 추석(9.29일) 성수기 변동, 육가공품 제조업체의 국내산 뒷다리살 수요 지속 등으로 전년(5596원) 대비 0.1~3.6% 상승한 5600~5800원이 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또한, '추석 성수기(3주전) 도매가격은 도축 마릿수가 전년과 비슷하여 전년(6042원)과 비슷한 580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센터가 7일 발표한 '6월호 돼지관측 보고서'를 통해 6월 돼지 평균 도매가격을 5700~5900원/kg으로 전망했습니다(관련 기사). 이는 전월(5828원) 및 지난해 6월(5829원) 가격과 비슷한 수준입니다. 농업관측센터는 먼저 6월 도축두수를 지난해(145만 두)와 비슷한 142~146만 두로 예측했습니다. 올해 모돈 사육두수가 지난해보다 감소했지만 이유후 육성률, MSY 등 농가의 생산성이 향상되었고 도축 작업일수가 증가한 영향입니다. 5월까지 등급판정두수는 788만 두로 지난해 같은 기간(783만 두)보다 소폭 증가(0.6%)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농업관측센터는 6월 돼지고기 수입량도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일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구체적으로 3만 4천에서 3만 6천 톤이 될 것으로 예측했습니다. 농업관측센터는 '수입 수요는 증가했지만, EU산 수입단가 상승 영향으로 전년(3만 5천 톤)과 거의 유사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올해 5월까지 돼지고기 수입량은 모두 18만 5천 톤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20만 1천 톤보다 8.2% 감소한 상황입니다. 또한, 농업관측센터는 3월까지 파악한 전체(국내산·수입산) 돼지고기 재고량은
지난해 5월 이후부터 시작된 모돈 사육 감소세가 올해에도 계속 이어질 것으로 전망되었습니다. 이 같은 전망은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센터 3월 돼지 관측 보고서에서 나왔습니다. 농업관측센터는 최근 표본 양돈농가 109호를 대상으로 올해 3월부터 8월까지 모돈 사육 의향을 조사했습니다. 조사 결과 지난해 3월 모돈 사육 의향을 지수 100으로 볼 때 올해 ▶3월은 99.6 ▶4월은 99.5 ▶5월은 99.5 ▶6월은 99.4 ▶7월은 99.4 ▶8월은 99.4 등으로 파악되었습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0.4~1.0% 적은 수준입니다. 결국 지난해보다 모돈 사육두수를 소폭이나마 줄이겠다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올해 2월까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돼지 도매가격은 높게 형성되고 있지만, 사료비를 중심으로 생산비가 크게 증가한 상황 때문으로 추정됩니다. 이에 농업관측센터는 3월 돼지 사육 마릿수를 지난해(1,175만 마리) 대비 0.2% 감소한 1,173만 6천 마리로 추정했습니다. 3월 모돈의 경우 97만 6천 마리로 지난해 97만 8천 마리보다 0.2% 줄어들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12월에는 더 떨어져 돼지 사육 마릿수는 1,165만 5천 마리, 모돈 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센터가 올해 첫 돼지관측 자료를 발표한 가운데 3월 평균 돼지 도매가격을 4,500~4,700원으로 전망했습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4,.273원)보다 5.3~10.0% 높은 가격입니다. 지난달(4,326원)과 비교하면 4.0~8.6% 증가한 가격입니다. 농업관측센터는 먼저 3월 돼지 도축 마릿수를 지난해(170만)와 비슷한 168~172만 마리로 예상했습니다. 지난해와 비교해 사육마릿수 감소로 일평균 작업마릿수가 감소하지만, 작업일수가 증가한 영향입니다. 이런 가운데 2월까지 누적 도축마릿수는 315만 마리로 지난해 306만 마리보다 9만 마리(3.1%)가 증가했습니다. 요약하면 3월까지 도축 마릿수는 늘어나는 셈입니다. 반면 3월까지 돼지고기 수입량은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수입단가 상승과 수입업체 수입여력 감소세가 이어져 3월 수입량은 전년(4만 3천 톤)보다 크게 감소한 3만 5천~3만 7천 톤이 될 것으로 예측했습니다. 2월까지 누적 돼지고기 수입량은 6만 2천 톤으로 지난해보다 19.3%(1만 5천 톤) 적습니다. 돼지고기 소비는 '위드 코로나19' 여파로 가정 내 소비는 감소하고, 음식점 소비는 증가하는 추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