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비육돈 생산비 조사 결과가 발표되었습니다. '18년은 '17년에 비해 생산비와 경영비 모두 비슷해 큰 변화는 없었지만, 돼지가격 하락으로 소득과 순수익이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통계청은 지난 24일 '18년 축산물생산비를 발표하고, 비육돈(100kg)의 경우노동비, 분뇨처리비 상승으로 전년보다 1천원(0.3%) 증가한 '28만4천원'이라고 밝혔습니다. 경영비는 27만2천원으로 거의 같습니다. 하지만, 돼지가격 하락으로 비육돈 두당 소득과 순수익은 모두 감소했습니다. 두당 소득은 전년에 비해 3만6천원이 감소한 6만3천원으로 나타났습니다.이에 따른 두당 순수익은 전년보다 '3만7천원' 감소한 '4만8천원'입니다.지난해 돼지 경락가격((원/탕박 kg)은 전년(4947원)보다 585원이 감소(11.8%)한 4,362원 입니다. 마리당 소득과 순수익은 각각 62,623원, 48,400원 입니다. 전년에 비해 각각 36,141원, 37,194원이 감소했습니다. 순수익을 사육규모별로 살펴보면 2~3천마리가 71,427원으로 가장 높고, 3천마리 이상이 64,031원, 1천~2천마리가 18,814원이며, 1천마리 미만은 외려 손해(-19,8
통계청이 매분기 발표하는가축동향조사 결과가 18일 공개되었습니다. 이번 조사 결과에 따르면 1분기 돼지 사육두수는1,120만 두로서 전년동기 대비 4만3천 두가 증가(0.4%)하고, 전분기 대비 13만3천 두가 감소(1.2%)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전분기를 중심으로 월령별 사육두수 변화를 보면 2개월 미만을 제외하고 2~4개월, 4~6개월 구간의 돼지가 감소한 것(각각 3만9천, 8만8천)으로 나타났습니다. 모돈은 106만3천 두입니다. 전년동기 대비 5천 두가 증가(0.5%)했고, 전분기와는 동일합니다. 농장당 마릿수는 1813 두로서 전년동기보다 36두 증가했지만, 전분기보다는 18두 감소했습니다. 1분기 사육농장수는 6,176 호 입니다. 전년동기와 전분기 각각 99호(1.6%), 12호(0.2%) 감소했습니다. 규모별로 보면 전분기 기준으로 1천 두 미만과 5천 두 이상 농장은 각각 14호, 5호 늘었고, 1천~5천두 미만 농장수는 31호 줄었습니다. 시도별 돼지사육두수를 살펴보면 대구, 인천, 경남을 제외하고 전분기 대비 모두 감소했습니다. 특히 경남의 경우 전분기 대비 1만7천6백 두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여전히 사육두수는
어느덧 2월 중순입니다. 한돈산업은 설 연휴가 끝난 지금 구제역의 위기 속에 여전히 긴장 상태에 놓여 있습니다. 이쯤에서 잠깐 1월 한돈산업을 함께 간략히 정리해 보겠습니다. 1. 출하돼지, 수입육 모두 큰폭 증가에 반대로 가격은 대폭 하락 1월 등급 판정두수는 173만 두로 월별 출하기록으로 역대 최고를 기록했습니다. 한돈팜스의 당초 예측 169만 두보다 3만8천 가량이 더 출하되었습니다.전달 152만와비교해21만 두(13.5%),전년 동기보다는 13만두(8.3%)나 늘어난 수치입니다. 수입육도 크게 증가했습니다. 상승 기세가 꺽일 것이라는 일부 예상을 비웃기라도 한 듯이 4만8천 톤을 기록해 지난해 3~5월, 돼지고기 수요가 가장 많은 시기에 육박하는엄청난 양이 수입되었습니다. 전월과 전년 동기 대비 모두 7천 톤(18.2%)이 늘어났습니다. '18.01 '18.12 '19.01 전월대비 전년동기대비 등급판정두수(만 두) 160 152 173 21 13.5% 13 8.3% 수입육(천 톤) 40 40 48 7 18.2% 7 18.2%
농림축산식품부(이하 농식품부)와 농식품부 지정 식품산업정보분석 전문기관인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하 KREI)는 가공식품 소비자 태도조사를 실시하고 주요 결과를 발표하였습니다. 가공식품 구입주기는 주 1회(43.7%)라는 응답이 많았으며, 가구원수가 많을수록, 월평균 가구 소득이 높을수록 구매 주기가 짧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가공식품을 주로 구입하는 장소는 대형할인점(36.3%), 동네 중소형 슈퍼마켓(28.1%), 대기업에서 운영하는 중소형 슈퍼마켓(17.2%) 순입니다. 또한, 최근 1년간 온라인을 통한 가공식품 구입경험을 조사한 결과, 온라인으로 구입하였다는 응답은 41.6%, 전혀 구입하지 않았다는 응답이 58.4%로 나타났습니다.향후 1년간 온라인 가공식품 구입이 증가할 것(15.4%)이라는 예상이 감소할 것(2.6%)이라는 예상보다 많았습니다. 이번 조사 결과에는 1인 가구를 중심으로 간편식 구매가 확대되는 가운데, 향후 소비도 늘어날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간편식 17개 품목군의 최근 1년 구입 경험은 61% 이상이며,이들은 간편식의 편리성·다양성·맛에 대체적으로 만족하고 있으며, 향후 1년간 구입이 증가할 것(28.1%)이라는 예상이 감소할
지난해 돼지가격 호조에 따른 사육두수 증가로 인해 출하된 돼지두수도 많았지만, 평균 돼지 체중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추세는 최근 5년 간 지속되고 있습니다. 2017년 2018년 증가 증가율 출하두수(단위: 만 두) 1,673 1,737 64 3.8% 출하체중(단위: kg) 115.3 115.8 0.5 0.4% 농림축산검역본부의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출하두수는 1,737만두로 지난해 1,673만 두에 비해 64만두(3.8%)가 증가했습니다. 또한 출하체중은 지난해 115.8 kg로서 2017년 115.3 kg에 비해 0.5kg(0.4%)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편 이러한 추세, 출하돼지와 출하체중 증가는 2013년 이후 최근 5년 간 꾸준히 지속되고 있습니다. 역시 원인은 '돼지가격'으로 짐작됩니다. 한돈팜스가 예측한 올해 '19년 돼지 출하두수는 1763만 두입니다(관련 기사). 올해도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출하돼지 숫자와 체중 모두 증가한다고 가정하면 당분간 수입육이 돈가를 좌지우지하는 가장 큰 변수가 될 전망입니다.
지난해 4분기 기준으로 전분기 대비 돼지사육두수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모돈두수는 변함이 없습니다. 통계청이 17일 지난해 4/4분기(12월 1일 기준) 가축동향조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이번 조사 결과에 따르면 4분기 전체 돼지두수는 1133만3천 두입니다. 모돈두수는 106만3천 두입니다. 사육농가는 6188호이며 호당 돼지 사육두수는 1,831두 입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총마릿수는 전분기 대비 30만8천 두(-2.6%)가 감소했습니다. 여전히 전년동기 대비는 증가한 수치(6만, 0.5%)입니다. 총마릿수를 월령별로 보면 4~6개월령 미만 돼지가 전분기와 전년동기 대비 모두 감소한 것이 눈에 띱니다.모돈두수는 전분기와 동일하고 이는 전년동기 대비 5천 두(0.5%)가 증가한 수치입니다. 사육농장수는 전분기와 전년동기 대비 각각 8호(-0.1%), 125호(-2.0%)가 감소했습니다. 규모별로 보면 전분기 대비 1000두 이상 농장은 모두 감소한 가운데 1000두 미만 농장은 90호(3.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사유두수 감소와 모돈수 유지로 농장당 마릿수는 1,831두로 전분기 대비 47두(-2.5%)가 감소하고 전년동기 대
['18년 화재 발생 건수를180건에서 181건으로 정정합니다 - 2019.01.08] 지난해 양돈장에서 모두 181건의 화재가 발생해 185억원의 재산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소방청 자료에 따르면 2018년 집계된 총 돈사 화재 발생 건수는 모두 181건입니다. 지난해에 비해 8건이 줄어 4.2%가감소했습니다만, 여전히 많이 발생한다는 지적입니다. 이틀에 한 번 불이 난 셈입니다. 월별로 발생 건수를 살펴보면 지난달12월에26건으로 가장 많은 화재가 발생했습니다. 6월에는가장 적은 6건입니다. 년도 화재 발생 건수(건) 재산피해액(억 원) 건당 피해액(억 원) 2016 177 141 0.8 2017 189 171 0.9 2018 181 185 1.0 올해 돈사 화재로 인한 피해액을 살펴보면 지난해에 비해 크게 늘어났습니다. 대략 14억 원이 늘어나 8.0% 증가했습니다. 또한, 화재 건당 재산피해액이 처음으로 1억 원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하 연구원)이 내달 1월 돈가를 3,400~3,700원으로 전망했습니다. 구분 '19년 1월 '18년 1월 평년 전년 대비(%) 등급판정 두수(천 두) 1,610~1,650 1,599 1,398 0.7~3.2 도매가격(원/kg) 3,400~3,700 3,853 3,828 -11.8~-4.0 연구원은 26일 돼지관측 자료를 통해 1월 등급판정 두수는 금년 1월(1,60만 두) 보다 많은 161~165만 두로 예상됨에 따라 돼지고기 생산량이 증가해 금년 1월 가격(3,853원) 보다 하락한 3,400~3,700원으로 내다봤습니다. 이는이달 현재 돈가 3,700원대보다 더 떨어진 가격입니다. 여기에는 1월 돼지고기 수입량이금년보다 증가할 것이라는 예측이반영된것입니다. 1월 예상 돼지고기 수입량은미국과 EU 등 주요 돼지고기 수출국의 가격 하락으로 금년 동월(4만 톤)보다 증가한 4만 1천 톤 내외입니다. 돼지고기 생산량이 늘어난 데다가 늘어난 돼지고기 수입량이 더해지면서 돈가의 하락을 더욱 부채질하는 형국입니다. 한편 2018년 전체 돼지고기 예상 수입량
제주특별자치도는 제주산 돼지고기의 신뢰성과 브랜드 가치를 높이기 위해 ‘제주 돼지고기 판매 인증점’을 추가 지정합니다. 신청 대상은 제주산 돼지고기만을 취급·판매하는 도내외 일반음식점(구이전문점, 족발·보쌈 등)과 도외 판매업소(식육판매업소 등)입니다. 신청은 돼지고기 공급업체를 통해 7월 1일부터 31일까지 가능하며, 도내 업체는 행정시 축산과, 도외 업체는 제주도청 동물방역과에 접수하면 됩니다. 인증점 지정을 위한 심사는 시설여건, 위생관리, 운영상황 등 12개 항목에 대한 서류 및 현장심사를 종합적으로 진행합니다. 평가 결과 만점의 85% 이상을 획득한 업소만 최종 인증됩니다. 인증 업소에는 ‘제주 돼지고기 판매 인증점 캐릭터’가 담긴 지정서와 포스터가 제공되고, 큐알(QR)코드로 제주도 누리집의 업소 정보와 연동돼 효과적인 홍보가 가능합니다. 현재 제주 돼지고기 판매 인증점은 도내 223개소, 도외 93개소 등 총 316개소가 운영 중이며, 올해 상반기에는 17개 신청업소 중 14개소가 신규 지정되었습니다. 제주도는 소비자 신뢰 확보를 위해 철저한 심사를 통한 인증점 지정과 함께 업체별 월간 판매량 모니터링, 제주산 돼지고기 취급 여부 및 휴·폐업 상
최근 구제역으로 장기간 분뇨 이동제한으로 고생했던 영암군에 '돼지분뇨 자원화시설'이 들어섭니다. 전남 영암군(군수 우승희)은 농림축산식품부 주관 ‘2025년 가축분뇨 공동자원화 시설 민간형 지원사업’ 공모에 선정돼 국비 34억9600만원을 확보했다고 30일 밝혔습니다. 군은 이번 선정으로 영암군 시종면 와우리에 87억4000만원을 투입해 하루 95t 규모의 돼지분뇨를 자원화하는 시설을 추진합니다. 공동자원화 시설은 돼지분뇨를 퇴비(10%)와 액비(80%), 여과액비(10%)로 전량 자원화할 예정입니다. 여과액비는 사계절 시설하우스나 골프장 잔디 등에 관정을 거쳐 살포할 수 있어 농가의 비료값을 줄이고, 친환경 농업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영암군 양돈농가는 올해 6월 말 현재 29호로 9만2천여 마리를 사육하고 있어 대규모 분뇨 처리시설 확충이 시급한 실정입니다. 최근 영암군에서는 구제역 발생으로 분뇨 외부 반출도 제한돼 분뇨 저장조 유출 우려, 관외 위탁처리 비용 부담 등 2차 피해도 겪었습니다(관련 기사). 이번 공모 선정으로 들어설 공동자원화 시설은 이런 문제를 해결해 줄 것으로 보입니다. 영암군 관계자는 “이번 공모 선정은 축산환경 개선, 가축
전남대학교(총장 이근배)는 동물자원학부 오세종 교수 연구팀이 돼지 스트레스와 관련한 연구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주관하는 ‘2025년 글로벌 기초연구실지원사업(Basic Research Laboratory, BRL)’에 최종 선정됐다고 최근 밝혔습니다. 이번 선정으로 연구팀은 향후 3년간 총 15억 원의 연구비를 지원받아, ‘스트레스 프라이밍과 메모리 유도를 통한 돼지 스트레스 레질리언스 강화 기전 및 제어 기술 개발’을 주제로 연구를 수행하게 됩니다. '스트레스 프라이밍'은 가벼운 스트레스를 의도적으로 노출해 스트레스에 대한 적응력을 높이는 것을 말합니다. '기억 유도'는 프라이밍을 통해 얻은 스트레스 반응 기억을 활용하여 스트레스 상황에 대한 반응을 조절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 돼지의 스트레스 회복력(레질리언스)을 향상시키는 것이 연구의 핵심 목표입니다. 연구진은 오세종 교수(연구책임자)를 중심으로 김성학 교수(동물자원학부 동물생명과학전공), 윤진현 교수(동물자원학부 동물자원전공), 홍진경 교수(환경에너지공학과) 등으로 구성됐습니다. 전남대학교는 "이번 연구는 가축의 복지와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반 기술로 주목받고
최근 대한한돈협회 철원지부(지부장 전권표)가 공동구매를 통해 분말소화기(3.3kg 국산) 300개를 회원 농가에 저렴하게 공급했습니다. 이들 소화기는 각 돈사 내 잘 보이는 곳에 배치되어 화재 발생 시 초기 진화에 사용될 예정입니다. 한편 일선 소방전문가는 '화재 초기 소화기 1개는 소방차 1대와 동일하다'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이는 다수의 실제 현장 사례에서 증명되었습니다. 양돈장에서도 소방차가 도착하기 전 소화기로 초기 화재 진압에 성공해 재산피해액을 수십만원으로 막은 예가 적지 않습니다. 소방청에 따르면 올해 현재(6.26일 누적)까지 전국적으로 발생한 돈사 화재 발생건수는 73건이며, 이로 인한 재산피해액은 약 195억4천만원에 달합니다. 건당 재산피해액은 2억6천7백만원입니다. 돼지와사람(pigpeople100@gmail.com)
대한한돈협회(회장 손세희)는 26일 제2축산회관에서 축산관련학과 대학생들의 한돈산업 진출을 장려하고 차세대 한돈 인재 육성을 위한 2025년 한돈장학금 전달식을 개최했다고 밝혔습니다. 올해 한돈장학사업은 전국 권역별 12개 대학 축산관련학과를 대상으로 총 4,800만원의 장학기금을 조성해 24명의 학생에게 학기별 200만원씩 지원하는 규모로 확대 운영되고 있습니다. 이날 전달식에는 상반기 선발된 13명의 장학생이 참석해 장학증서를 수여받았습니다. 이번 장학생으로는 강원대 동물산업융합학과, 건국대 동물자원전공, 경북대 축산학과, 경상대 축산과학부, 단국대 동물생명공학과, 전남대 동물자원학부, 전북대 동물자원과학과, 충북대 축산학과, 충남대 동물자원과학부 및 축산환경학과 대학원생 등이 선발되었습니다. 손세희 대한한돈협회 회장은 “한돈장학사업은 우수한 청년 인재들이 한돈산업에 관심을 갖고 미래 산업 발전의 주역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마련된 사업”이라며 “농촌 고령화와 인구 감소가 심화되는 상황에서 젊고 유능한 인재들의 한돈산업 유입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이날 장학생 대표로 소감을 발표한 건국대 동물자원전공 4학년 김문영 학생은
대한한돈협회(회장 손세희)가 지난 18일 제2축산회관 대회의실에서 '2025년도 제3차 이사회'를 개최했습니다. 이날 이사회에서는 제21대 회장 선거 일정(관련 기사, 선거일 10월 14일)과 경북지역 산불피해 성금 지원(10개 농가, 2억3천만원) 등의 안건이 심의·의결되었습니다. 이번 이사회는 사실상 손세희 회장이 마지막으로 주재하는 이사회였습니다. 손 회장의 임기는 오는 10월 31일까지입니다. 다음날인 11월 1일 신임 회장의 4년 임기가 시작됩니다. 돼지와사람(pigpeople100@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