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돼지 써코바이러스 관련 질병(PCVAD)'은 전 세계 양돈산업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질병 중 하나이다. '돼지 써코바이러스 2형(PCV2)' 감염에 대한 백신 접종은 질병 제어에 활용되어 왔으며 PCVAD의 임상 징후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킨다. 일선 농장에서 PCV2 백신의 효능을 평가하기 위해 일반 돼지에 PCV2 백신(subunit)을 접종한 후 PCV2 바이러스를 공격접종하는 실험을 실시했다. 백신을 접종한 돼지는 '혈청 바이러스 부하(serum viral loads)'가 낮고 림프절의 바이러스 항원 염색이 적었으며 일일 평균 체중 증가율이 높아 백신의 보호 효능을 확인했다. 그러나 백신 접종 후에도 여전히 낮은 수준의 PCV2 감염이 백신을 접종한 돼지에서 검출되었으며, 이는 PCV2 백신이 바이러스를 박멸하지 못해 양돈장에서 '무증상 준임상형태의 PCV2 감염(PCV2-SI)'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PCV2 감염은 '돼지열병(CSF)' 백신 접종에 중요한 시기인 이유-육성 단계에서 '돼지 면역 반응 발달 장애(impaired pig immune response development)'의 위험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에 약독화
양양군은 다음달 30일까지 '돼지열병(CSF) 야생멧돼지용 미끼예방약(백신)' 2만4천여 개를 관내 지역 산림에 살포한다고 21일 밝혔습니다. 해당 미끼예방약은 갈색의 사각형 블록으로 야생멧돼지가 섭취하면 CSF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능력을 갖게 돼 양돈농가로의 바이러스 전파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햇볕이 노출되지 않는 서늘한 장소, 멧돼지가 파헤친 흔적과 발자국이 있는 장소, 멧돼지 피해신고가 많이 접수되는 지역의 농가 주변 등 야생멧돼지 분포가 많은 지역과 서식지를 중심으로 살포 예정입니다. 야생생물관리협회 및 전국수렵인참여연대 양양지부가 위탁 살포작업에 나서며, 살포 후 약 30일이 경과되면 남은 미끼예방약은 수거됩니다. 한편 우리 정부와 제약회사, 연구기관 등은 ASF 야생멧돼지용 미끼예방약을 개발 중입니다(관련 기사). 향후 개발이 완료되면 CSF 미끼예방약과 동일한 방식으로 살포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득흔 기자(pigpeople100@gmail.com)
대만이 내년 아시아 국가 가운데 유일하게 공식적으로 구제역을 비롯해 ASF, 돼지열병(CSF) 등 3대 국가재난형 가축전염병에 대한 비발생 청정국가(비백신)가 될 전망입니다. 이후 대만 양돈산업의 목표인 2~3년 내 우리나라로 돼지고기도 수출할 수도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대만 농업부는 지난 1일 대만 돼지열병 완전 퇴치 1주년을 맞아 세계동물보건기구(WOAH)에 돼지열병 비발생국 지위를 신청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대만은 중국 대륙과 가까이 인접해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ASF 비발생 상태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지난 2020년에는 WOAH로부터 구제역 청정국으로 공식 인정받았습니다(관련 기사). 이제 내년 돼지열병 청정국도 공식 인정받는 절차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구제역과 돼지열병 모두 백신 접종을 하지 않은 상태의 청정국을 말합니다. 대만에서 돼지열병이 마지막으로 발생한 것은 지난 1994년의 일입니다. 이후 대만은 돼지열병 근절이라는 목표로 최근까지 3단계 프로그램을 진행해 왔습니다. 1단계: '21년부터 '22년까지 종합적인 백신 접종, 환경 위험 모니터링, 산업과의 대화 실시 2단계: '23년부터 '24년 6월까지 돼지열병 발병 위험
몇몇 나라의 경우 사육돼지에서는 '돼지열병(CSF)'이 검출되지 않았지만 야생멧돼지에서는 검출되어 질병을 통제하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백신접종 동물과의 감염 구별(DIVA; 디바)' 기능이 있는 'CSF 생마커 백신(Flc-LOM-BErns 균주)'을 돼지에 접종해 멧돼지 전용 경구 백신으로 적합한지 확인했습니다. 근육 내 또는 경구용 Flc-LOM-BErns 백신을 접종한 돼지에 각각 2주, 4주 후 독성이 강한 CSF 바이러스를 접종했습니다. 경구용 Flc-LOM-BErns 균주(105.0 및 6.0 TCID50/회)를 투여한 돼지와 근육 내 백신(103.0 TCID50/회)을 접종한 돼지는 정상 백혈구 수와 정상 체온을 유지했습니다. 또한 보호 중화항체와 항BVDV Erns 항체가 생성되었습니다. 또한 이 그룹의 모든 돼지는 대변, 비장 또는 기타 장기에서 CSF 바이러스 RNA가 검출되지 않고 생존했습니다. 따라서 Flc-LOM-BErns 백신은 우수한 안전성과 효능을 보이는 동시에 DIVA 기능과 경구 접종에 적합한 백신입니다. [논문 원문(바로보기), Efficacy of an orally administered classic
[이 글은 세바(CEVA)에서 최근 발간한 ‘AFRICAN SWINE FEVER PREVENTION, GILT MANAGEMENT AND SUCCSSFUL RESTOCKING’에 실린 내용을 선진브릿지랩의 도움으로 번역하여 작성한 글입니다.] 농장 주변 구역 돼지는 일반적으로 100m 정도의 개활지로는 이동하지 않을 것이다. 그러므로 농장 주변 구역은 초장이 짧은 두과식물 등으로 되어 있어야 한다. 만약 2m 높이의 옥수수(Zea mays)를 심으면 멧돼지가 울타리까지 바로 다가올 것이다(그림 21). 돼지의 전입과 출하 과정 출하 규칙(그림24) 상차시 차량에 다른 돼지가 없어야 한다. 세척 및 소독이 되어 깨끗해야 한다. 농장 외부 소독/세척 구역(그림24. 참조)은 관리자(농장 외부용 옷을 착용)에 의해 상차가 이뤄지기 전에 준비되어야 한다. 이 관리자가 농장에 재진입하기 위해서는 방역규칙을 따라야 한다. 출하 기사는 경적을 이용하여 관리자에게 도착을 알려야 한다. 출하 기사는 손을 씻고, 제공된 장화를 착용하고, 비치된 소독제에 장화를 담가야 한다. 다양한 색상의 장화와 작업복은 방역에 도움이 된다. 돼지 이동기록부에는 출하 기사의 이름과 차량번호를
[이 글은 세바(CEVA)에서 최근 발간한 ‘AFRICAN SWINE FEVER PREVENTION, GILT MANAGEMENT AND SUCCSSFUL RESTOCKING’에 실린 내용을 선진브릿지랩의 도움으로 번역하여 작성한 글입니다.] 새로운 병원체의 차단은 돼지들과 농가를 보호하기 위해 중요하다.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은 최근 전 세계 양돈산업을 가장 위협하고 있는 재앙이며, 꼭 차단시켜야 하는 질병이다. 이를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모두가 이 질병의 컨트롤을 위해 함께 노력해야 한다는 것이다. 정부의 필요에 의해 감염농장 주변의 특정구역 내 돼지들은 전부 제거될 수도 있는데(이를 ‘임시통제구역’이라고 한다), 이 구역은 반경 10km에 이를 수 있다. 하지만, ASF나 돼지열병(CSF)은 이러한 조치가 필요하지 않으며, 국가의 수의기관은 기존의 ‘구제역 컨트롤 전략’을 ASF 방역에 적용해서는 안 된다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 새로운 병원체는 감염된 돼지로부터 유입되는 경우가 가장 많다. '돼지'라는 용어는 돼지와 관련된 모든 것들을 지칭하며, 돼지 그 자체, 타액, 분뇨, 정액, 그리고 돼지고기(폐사돈부터 햄과 같은 돈육 제품까지 포함) 등이 있
[이 글은 세바(CEVA)에서 최근 발간한 ‘AFRICAN SWINE FEVER PREVENTION, GILT MANAGEMENT AND SUCCSSFUL RESTOCKING’에 실린 내용을 선진브릿지랩의 도움으로 번역하여 작성한 글입니다.] 1장 병원체 기본: CSF와 ASF(전편에 이어 계속) 진단 농장의 담당수의사와 정부 검역기관(수의공무원)은 ASF 또는 CSF 의심 임상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반드시 신고하고 정부의 가이드라인을 따라야 한다. 샘플은 정부 가이드라인에 따라 채취되고 송부되어야 한다. 폐사축에 대한 부검은 ASF 또는 CSF 바이러스 입자에 의한 오염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이를 제거하는 것이 필요하며, 완전한 질병의 근절을 더욱 어렵게 만든다. 어떤 진단 기법이 활용 가능한가? 정부의 지원이 항상 세계의 모든 지역에서 제공되는 것은 아니기에, 농장 방역팀 구성원들의 창의적인 대처가 필요하다. 감시 특히 농장에서 후보돈이나 이유자돈을 다른 고객에게 판매하는 경우, 그에 앞서 농장의 질병 상황을 모니터링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바이러스/항원 검출 ASF 바이러스는 모든 체액에서 발견될 수 있으므로, 혈액 시료는 필수적이진 않다. 간단한 구강
[이 글은 세바(CEVA)에서 최근 발간한 ‘AFRICAN SWINE FEVER PREVENTION, GILT MANAGEMENT AND SUCCSSFUL RESTOCKING’에 실린 내용을 선진브릿지랩의 도움으로 번역하여 작성한 글입니다.] 1장 병원체 기본: 돼지열병(CSF)과 아프리카돼지열병(ASF) 원인체(Causal agents) 돼지열병(Classical Swine Fever; 이하 CSF)과 아프리카돼지열병(African Swine Fever; 이하 ASF) 바이러스는 세계 양돈 산업에서 잘 알려진 두 가지 대표적인 질병이다. CSF는 야생멧돼지와 사육돼지 모두에게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돼지의 전 세계적인 운반과 이동으로 인해 글로벌 이슈가 되었다. 반면, ASF는 아프리카 대륙 내에서 광범위하게 발생하며, 근래에 아프리카 외부로 최소 3번 이탈한 적이 있다. 2007년 아프리카에서 조지아로 이탈한 사례는 거대한 대유행으로 이어졌다. Pestivirus속, Flaviviridae과에 속하는 CSF는 상대적으로 작고 둥근 외막을 갖는 단일 가닥 RNA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한다. CSF 바이러스는 RNA 바이러스이지만, 지난 100년 동안 염기 서열
멧돼지의 개체수 증가는 농작물 피해 및 도심 출몰로 사회적 문제가 되며, 사육하는 돼지 농가와의 접촉 빈도 증가로 인해 멧돼지와 사육돼지 사이의 세균, 바이러스, 기생충 등의 순환 감염은 양돈 산업에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다. 본 연구는 경남 15개 시군에서 포획 또는 폐사된 야생멧돼지 혈액 시료에서 바이러스성 질병의 감염 실태를 조사함으로써 경남지역 내 야생멧돼지의 바이러스성 질병 방역대책 수립을 위한 기초적인 데이터 작성에 목적을 두고자 수행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시료는 총기 또는 포획틀에 의해 포획된 야생멧돼지 혈액 시료 374점을 사용했다. 조사 결과 PCV2(돼지써코바이러스 2형)의 항원·항체 검사 결과 73점(평균 19.5%, 0∼43.8%)에서 항원이 검출되었으며, 225점(60.2%, 36.8∼100%)에서 항체가 검출되었다. 64점(17.1%, 0∼43.8%)의 혈액 시료에서는 항원과 항체가 모두 검출되었다. PRRSV(돼지생식기호흡기증후군 바이러스)의 항원·항체 검사 결과 혈액 시료에서 북미형 항원(NA type)과 유럽형 항원(EU type)은 모두 검출되지 않았으나 2점(0.5%)에서 항체가 확인되었다. CSFV(돼지열병 바이러스)는 검
경기도가 야생멧돼지를 대상으로 흉막폐렴, 써코, 살모넬라, PRRS 등 일반 가축전염병에 대한 감염 여부를 조사했는데 흥미롭게도 일반 돼지와 마찬가지로 양성률이 상당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멧돼지 사이에 이들 질병이 순환감염되고 있다는 얘기여서 일선 농장의 차단방역 차원에서 주목됩니다. 경기도북부동물위생시험소 연구팀은 지난 2020년 한국가축위생학회지에 '경기도 북부지역 야생멧돼지 전염성 질병 감염 실태 조사'라는 제목의 논문을 발표하였습니다. 논문은 지난 2019년 12월부터 2020년 2월까지 고양과 남양주, 의정부, 양주, 포천, 동두천, 가평 등에서 포획 및 폐사된 멧돼지 혈액 시료 500점을 가지고, 주요 돼지 전염성 질병 9종에 대한 멧돼지에서의 감염률을 모니터링한 결과를 담고 있습니다. 검사한 질병 9종은 CSF(돼지열병)과 FMD(구제역) 등 국가 재난 가축전염병 2종과 PRRS, PCV2(써코), 유행성폐렴(MH), 흉막폐렴(APP), 살모넬라(Sal. spp.), 파스튜렐라 멀토시다 A형(PMA), 글래서씨병(HP) 등 일반 전염병 7종입니다. CSF는 혈액 239점을 대상으로 검사가 시행되었고 나머지 질병은 혈액 500점을 검사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