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에서 'ASF 바이러스 유전형 1형과 2형이 결합한 형태의 재조합 변종 바이러스(rASFV I/II)'가 처음으로 발견되었습니다. 이 같은 사실은 베트남과 우리나라 공동 연구진이 발표한 논문(바로가기)에서 확인되었습니다. 논문에 따르면 해당 변종 바이러스는 베트남 북부 6개성에서 사육 중이던 돼지에서 확인되었습니다. 연구팀은 ASF 의심 사례에서 채취한 혈액 샘플 26개를 분석했습니다. 계통학적 분석 결과, 6개 샘플에서 유전형 1형의 p72 시퀀스가 포함되어 있지만 p54 시퀀스는 유전형 2형에 속하고 CD2v 시퀀스는 VIII 혈청형에 속하는 재조합된 형태의 ASF 바이러스 균주가 발견되었습니다. 지금까지 알려진 바로는 베트남에서 최초입니다. 연구진은 이들 바이러스를 중국에서 이전에 보고한 재조합 변종 바이러스와 비교했습니다(관련 기사). 그 결과 모든 유전자 서열은 중국 변종 바이러스의 서열과 일치했습니다. 다만, 게놈의 '중앙 가변 영역(CVR)'에서 눈에 띄는 차이가 발견되었습니다. 이는 바이러스 출처는 중국으로 의심되는 가운데 베트남으로 여러 차례 서로 다른 변종 바이러스가 유입되었음을 시사합니다. 또한, 연구진은 현재 베트남에서 허가되어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 내 돼지에서 EAPC(PCV2 관련 장염, enteritis associated with porcine circovirus type 2)의 발생상황을 조사하고, 면역조직화학염색(immunohistochemistry, IHC)을 통하여 장관 조직 내 PCV2 항원 분포를 분석하여 병리조직학적인 장 병변과 PCV2 항원 분포 양상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조사 결과 PCVAD로 진단된 총 221마리에 대한 병리조직학적 정밀검사 결과 50마리(22.6%)의 돼지가 EAPC로 최종 확진되었다. 포유자돈인 30일령 미만에서는 발생이 없었으며, 30-49일령은 16마리(32.0%), 50-69일령에서는 18마리(36.0%), 70일령 이상은 16마리(32.0%)에서 발생하였다. 월별로는 3월 (16.0%), 4월 (20.0%) 및 8월 (22.0%)에 다발하고 있었다. 이러한 현상은 환절기에 해당하는 3-4월의 불규칙한 온도 변화 및 혹서기인 8월의 폭염 날씨가 양돈장의 어린 돼지들에게 스트레스 요인으로 작용하여 PCV2의 감염을 증폭시키는 것으로 판단된다. 임상증상은 소화기 증상인 설사가 42마리(84.0%)에서 확인되어 가장 높은 발생을
세바(CEVA)의 돼지 흉막폐렴 백신 ‘코글라픽스’는 경쟁사의 흉막폐렴 백신보다 흉막폐렴균 혈청형 2형 감염으로 인한 폐사와 폐병변을 예방하는데 가장 뛰어난 효과를 보였다. 서론 돼지 흉막폐렴은 유럽에서 여전히 크게 문제가 되고 있는 호흡기 질병이다. 이 질병에 감염되면 육성돈과 비육돈에서 높은 폐사율과 성장률 저하로 인해 농장에 상당한 생산손실이 발생한다. 그러나 백신을 접종하면 흉막폐렴과 흉막염의 유병률과 감염의 확대를 줄여주어, 돼지들을 흉막폐렴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이 시험은 세바(CEVA)의 혁신적인 돼지 흉막폐렴 백신인 ‘코글라픽스(세바 돼지 흉막폐렴 백신)’와 유럽에서 허가된 서로 다른 4가지 흉막폐렴 백신 간의 효능을 비교하였다. 시험재료 및 방법 생후 6주령 돼지를 3주 간격으로, '코글라픽스'와 유럽에서 허가된 서로 다른 4가지 흉막폐렴 백신을 1차와 2차로 접종하였다. 각 그룹의 돼지들에 흉막폐렴균 혈청형 2 균주(106CFU/돼지)를 공격접종한 후, 1주일 동안 관찰하여 폐병변과 벽측흉막의 변화를 평가하였다(Lung Lesion Score, LLS). 그 후 폐엽별 가중치가 적용된 폐병변 점수와 폐사율, 그리고 시험 그룹
돼지 흉막폐렴 백신 '코글라픽스'와 돼지열병 백신의 혼합접종은 각 백신의 단독접종과 동일하게 흉막폐렴균 혈청형 2형 균주에 대한 높은 수준의 예방 효과를 보였고, 매우 유사한 양의 돼지열병 바이러스 중화항체를 생성하였다. 서론 돼지 흉막폐렴(Porcine pleuropneumonia)은 흉막폐렴균(Actinobacillus pleuropneumoniae, A.p.)에 의해 발생하는 전염성이 매우 높은 호흡기 질병으로 전 세계적으로 발생률이 증가하고 있다. 감염돈군에서 빠르게 발병하고 지속되며 항생제 내성 문제로 인해 컨트롤하기가 어렵다. 그러나 백신을 접종하면 폐렴과 흉막염의 유병률과 감염의 확대를 줄여주어, 돼지들을 흉막폐렴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이로써 더 좋은 증체로 돼지를 사육하여 시장에 공급할 수 있다. 돼지열병(Classical Swine Fever, CSF)은 돼지에서 매우 전염성이 높은 질병으로, 일부 지역에서는 광범위하게 발생해 치명적인 전염병이 될 위험이 있다. 돼지열병은 엄격한 살처분 및 이동 제한과 같은 조치를 통해 통제되고 있으며, 이 질병은 양돈 산업에 직접적인 결과 외에도 상당히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 돼지열병 상재 국
중국 연구진이 돼지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한 ASF 바이러스 재조합 변종 여러 개를 발견해 놀라움을 주고 있습니다. 이들은 ASF 바이러스 유전형 1형과 유전형 2형의 유전 물질이 결합된 결과입니다. 현재 우리나라를 비롯해 전 세계가 유전형 2형이 문제가 되고 있는 가운데 이를 기반한 백신을 개발 중인데 이들 변종 바이러스에는 해당 백신의 예방 효과가 없는 것으로 추정되어 우려를 낳고 있습니다. 대응연구와 국경검역에 더욱 만전을 기해야겠습니다. 이같은 소식은 최근 중국 연구진이 '네이처(nature)'에 투고한 논문(바로보기)을 통해 확인되었습니다. 논문 제목은 '돼지에서 검출된 매우 치명적인 유전형 I 및 II 재조합 ASF 바이러스(Highly lethal genotype I and II recombinant African swine fever viruses detected in pigs)입니다. 연구진은 새로 발견된 ASF 바이러스의 유전자의 약 56%는 유전형 2형에서(특히, 2007년에 발생한 ASFV 조지아주와 유사한 바이러스), 나머지 43%는 유전형 1형(ASFV NH/P68과 유사한 바이러스)에서 비롯했다고 밝혔습니다. 그리고 이들 재조합 바이러
Actinobacillus(A.) pleuropneumoniae는 돼지가 유일한 자연 숙주이며, 돼지 흉막폐렴(porcine pleuropneumonia)의 원인체로 전 세계적으로 양돈산업에서 막대한 경제적 피해를 주고 있다. 본 연구는 제주도에서 발생하는 돼지 흉막폐렴에 대한 병리학적 연구를 통하여 병변의 특징을 파악하였으며, 병변을 유발하는 A. pleuropneumoniae의 혈청형을 분석하고자 실시하였다. 또한 배양된 균체에 대한 항생제 감수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재료로 최근 5년 동안 제주도 소재 24개 양돈장으로부터 제주대학교 수의과대학 병리학교실에 병성감정 의뢰된 돼지 흉막폐렴 시료 가운데 PCR을 통해 A. pleuropneumoniae 감염이 확인된 총 50개의 폐장 시료를 실험에 공여하였다. 연구 결과 총 50두 중 심급성 23두(46%), 급성 22두(44%), 만성 5두(10%)로 분류되어 본 실험에서는 흉막폐렴이 주로 심급성 및 급성 형태임을 알 수 있었다. 연령에 따른 흉막폐렴의 발생 양상을 살펴보았을 때 전체 50두 중 43두(86%)가 3∼4개월령에 집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제주지역 돼지 흉막폐렴이 연중 발생하
중국의 ASF 상황이 더욱 복잡해졌습니다. 전혀 새로운 유전형의 ASF 바이러스가 출현한 것입니다. 이같은 사실은 최근 'Emerging Microbes & infections'이라는 저널에 올라온 중국농업과학원 연구팀의 논문(원문보기)을 통해 알려졌습니다. 해당 논문에서 중국 연구팀은 "중국은 고병원성의 유전형 2형 ASF 바이러스가 지난 2018년 이후 중국에서 널리 유행하고 있는 가운데 HeN/ZZ-P1/21과 SD/DY-I/21이라는 유전형 1형 ASF 바이러스 두 개가 각각 허난성과 산둥성의 돼지 농장에서 분리되었다"고 밝혔습니다. 연구팀은 해당 바이러스(SD/DY-I/21)를 돼지에 공격 접종한 실험도 소개했습니다. 그 결과 병원성이 낮은 것을 확인했습니다. 감염된 돼지는 급성형으로 진행되지 않고, 가벼운 증상, 만성질환 등을 보였을 뿐입니다. 기존 유전형 2형 바이러스 감염과 달리 증상이 심하지 않고 죽지도 않는다는 얘기입니다. ASF 발병 초기 쉽게 발견이 어려울 수 밖에 없습니다. 현재 개발되고 있는 유전형 2형에 기반한 백신에 효과가 있을 가능성도 매우 낮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 때문에 중국 연구팀은 "유전형 1형 ASF 바이러스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