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6일 ASF가 발생한 경기도 파주의 한 양돈농장에 대해 방역당국이 ‘가축전염병 미신고’ 의혹을 제기했습니다(관련 기사). 이에 농장주는 “ASF를 전혀 의심하지 못했다”며 억울함을 호소하는 소명서를 최근 방역당국에 제출한 것으로 파악되었습니다. 소명서에 따르면 ASF 증상이 아니라, 연일 계속된 폭염으로 인한 일시적인 식욕 저하와 스트레스로 여겼다는 것입니다. 올해 이른 그리고 기록적인 폭염은 전국의 양돈농가를 벼랑 끝으로 몰아넣었습니다. 실제 발생 확진 전날인 15일 중앙재해안전 상황실에 따르면 폭염 폐사 신고 폐사두수는 2만7천여 마리(26,748마리, 5.20-7.13).로 지난해 같은 기간 신고두수(4,673마리)보다 5.7배 수준에 이르렀습니다. 돼지들이 사료를 먹지 않거나 스트레스로 쓰러지는 모습은 전국적으로 흔하게 목격됐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특정 개체의 이상 증상이나 폐사를 ASF로 판단하기는 결코 쉽지 않습니다. 농장주가 수의사더라도 불가능합니다. 농장주의 설명에 따르면, 14일 도태 모돈과 비육돈을 대상으로 한 출하 전 검사 결과는 모두 음성이었습니다. 15일 도태 모돈 외 다른 모돈이 식불 등의 증상을 보여 도태 일정을 연기하였습니
ASF 바이러스에 감염된 야생멧돼지 발견건수가 지난달에도 크게 줄었습니다. 국립야생동물질병관리원에 따르면 지난 7월 전국적으로 추가 발견된 ASF 감염멧돼지는 모두 3건(마리)입니다. 전월(5건)뿐만 아니라 전년동기(41건) 대비 모두 감소했습니다(관련 기사). 어느덧 지난해 7월 이후 1년 이상 감소세를 지속했습니다. 최근 4개월간은 한 자리수 발견건수입니다. 7월 3건은 춘천서 1건(7.22), 화천서 2건(7.22, 7.23) 등 모두 강원도에서 나왔습니다(관련 기사). 그런데 이들은 해당 시군에서는 수년 만의 다시 발견된 것입니다. 화천에서는 '24년 4월 이후, 춘천에서는 '22년 4월 이후 첫 감염멧돼지입니다. 바이러스가 하늘을 날지 않고서야 혹은 환경부가 멧돼지 관리를 제대로 하지 않고서야 좀처럼 쉽게 이해되지 않습니다. 관련해 환경부는 별다른 설명을 내놓지 않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지난 16일 경기 파주 사육농장 두 곳(53차)에서 ASF가 발생된 것이 확인되었습니다. 이들 농장은 같은 양돈단지로 앞서 6월 연천 민통선 내 감염멧돼지 발견지점과 5.5km 떨어져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관련 기사). 발생농장 주변에서는 바이러스 오염물이나
지난 16일과 17일 연달아 ASF 발생이 확인된 두 돼지농장(A, B; 동일 양돈단지)에 대한 방역미흡 사항이 공개되었습니다. 살처분 보상금 산정 과정에서 상당 부분 감액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입니다. 먼저 16일 A농장(2,465두 규모)의 경우 가축전염병 미신고와 외국인근로자 고용 미신고가 가장 눈에 띱니다. 최종 ASF 의심축 미신고로 판단될 시 보상금의 60%까지 감액될 수 있습니다. 지연신고의 경우 신고지연일에 따라 20~40% 감액입니다. 외국인근로자 고용 미신고는 10% 감액인데 질병 발생과 연관이 있는 경우에는 감액 기준은 60%까지 올라갑니다. 17일 B농장의 경우도 외국인근로자 고용 미신고가 확인되었습니다. 시설 및 방역관리에서는 두 농장 모두 공통적으로 전실 운용관리 미흡(오염/청결구역 미구분, 신발소독조 등 미비치), 방역실 관리 미흡, 농장 울타리 일부 훼손 등이 열거되었습니다. 특히, 발생돈사와 관련해 A농장은 전실이 없는 점을, B농장은 야생동물(고양이) 차단관리가 미흡한 점이 지적되었습니다. 참고로 A농장은 모돈에서, B농장은 비육돈에서 양성축이 확인되었습니다. 한편 현재까지 이번 발생 관련 방역대 농장 53호(파주35, 연
이번 파주 ASF 발생농장이 농장주가 서로 다른 2곳이라는 소식을 전해드렸니다(관련 기사). 그런데 20일 오늘까지 이 같은 사실을 전하고 있는 언론매체는 오직 본지뿐입니다. 왜 그럴까요? 이는 파주시, 경기도 등 지자체뿐만 아니라 농식품부가 보도자료를 통해 관련 사실을 공식적으로 발표하지 않고 있어서입니다. 또한, 지난 16일 처음으로 양성 확진된 A농장과 17일 예방적살처분 사전 검사에서 양성이 확진된 B농장을 같은 발생차수(53차)로 묶었기 때문입니다. 확인 결과 농식품부의 결정이었습니다. 같은 양돈단지라는 논리인데 상식적으로 납득이 가지 않습니다. 이에 따라 정부 공식적으로 지난 '19년 이래 지금까지 사육돼지 ASF 발생건수는 54건이 아니라 53건입니다. 올해의 경우는 5건이 아니라 4건입니다. 지난해 같은 기간 누적 발생건수 6건보다 2건이나 적습니다. 농식품부의 이 같은 결정에 산업 대부분은 한마디로 "어이없다"라는 반응입니다. 마치 코로나19 확진 환자가 같은 아파트 건물 1호와 2호에서 나왔는데 이 두 명의 환자를 같은 발생건수로 합쳤다는 의미입니다. ASF 감염멧돼지 폐사체가 수십 미터 떨어진 장소에서 2마리가 한꺼번에 발견되었다고 이를
16일 경기도 파주 양돈농장(2500두 규모, 일관)에서 ASF가 확진되었습니다. 사육돼지에서는 4개월 만에 추가 확진으로 올해 4번째, 역대 53번째 발생농장으로 기록되었습니다. 파주에서의 농장발생은 8건('19년 5, '22년 1, '24년 1, '25년 1)으로 늘어났습니다. 해당 농장은 지난 14일 모돈 4마리가 구토와 함께 식욕부진 증상을 보이다가 이튿날 모돈 2마리가 폐사하자 이를 신고했습니다. 16일 오전 경기동물위생시험소가 5마리(환축 2, 동거축 3)에 대해 혈액 시료를 채취해 정밀검사를 실시했습니다. 5마리 가운데 3마리에서 양성 반응을 보여 ASF 감염으로 최종 판정했습니다. 이번 파주농장 발생 이전 4개월 동안 대한민국의 ASF 상황은 사실상 소강상태였습니다. 전파매개체인 감염멧돼지 발견건수는 거의 1년째 전년 대비 뚜렷한 감소세이며, 최근 3개월간 발견건수는 한자릿수였습니다(관련 기사). 지난 3월 16일 양주 돼지농장(52번째) ASF 발생 이후 감염멧돼지 마릿수는 전국적으로 불과 14마리에 불과합니다. 그런데 가장 최근(6.19)인 연천 감염멧돼지 발견지점(관련 기사)은 이번 파주 발생농장과 불과 5.5km 거리인 것으로 파악되고
[2보] 경기도동물위생시험소(수원 소재) 정밀검사 결과 파주 돼지농장은 최종 ASF 양성(5두 중 3두)으로 확진되었습니다. 올해 4번째, 역대 53번째 발생농장이 되었습니다. 방역당국은 16일 오후 8시부터 18일 오후 8시까지 48시간 동안 경기 파주와 인근 4개 시군(연천·고양·양주·김포)의 양돈농장·도축장·사료공장 등 축산관계시설 종사자 및 차량에 대하여 일시이동중지 명령을 내렸습니다. 이번 파주 발생농장 반경 10km(방역대) 내에는 모두 54호 10만1천여 마리의 돼지가 사육 중입니다. [1보] 16일 오늘 경기도 파주시 파평면 소재 한 양돈농장(2,500두 일관)의 돼지에서 ASF 양성이 확인되었습니다. 폐사 신고로 시료를 채취하고 검사한 경기북부 동물위생시험소 결과이며, 현재 수원 동물위생시험소에서 재검사가 진행 중입니다. 최종 확진은 오후 8시경 나오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농장은 이동제한 상태입니다. ASF로 확진이 되면 사육돼지에서는 지난 3월 양주 사례 이후 거의 4개월 만에 추가 발생입니다. 돼지와사람(pigpeople100@gmail.com)
지난 20일 경남 사천(관련 기사)에 이어 이틀 만에 또 돈사 화재 사고 소식입니다. 경기도소방재난본부는 일요일인 22일 오후 2시 09분경 파주시 파평면에 있는 한 양돈장에서 전기적 요인(단락)으로 추정되는 불이 나 1시간 15분 만에 진화되었다고 밝혔습니다. 이 과정에서 인명피해는 없었지만, 돈사 3개 동이 전소되고 모돈 280여 마리가 폐사하는 등 소방서 추산 5억원 (잠정) 규모의 재산피해가 발생했습니다. 소방당국은 환풍기(전선)에서 불이 시작된 것으로 보고 정확한 화재 원인을 조사 중입니다. 이번 파주 화재로 이달 들어 돈사 화재는 모두 4건으로 늘어났습니다. 올해 누적으로는 74건입니다. ※ 축사 전기설비 안전관리와 전기화재 예방 안내서 이득흔 기자(pigpeople100@gmail.com)
경기도가 지난달 16일 ASF 발생(52차 양주, 관련 기사)으로 내려진 양주, 동두천, 파주 3개 시군 양돈농가 39호에 대한 이동제한 방역조치를 지난 23일(수) 0시부로 모두 해제한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이번 해제 조치는 방역대 설정 이후 38일 만의 일입니다. 발생농장(52차) 이후 현재까지 추가 발생이 없고, 발생농장과 환경검사와 방역대 농장의 사육돼지 및 환경시료에 대한 정밀검사에서 모두 '음성'으로 진단됨에 따라 내려졌습니다. 도는 지난 21일과 22일 양일간 방역대 농가 돼지 709두, 환경시료 800개에 대해 검사를 실시한 것으로 파악됩니다. 이번 조치로 방역대 내 양돈농가와 관련 축산시설의 출입 차량, 가축, 생산물에 대한 이동 제한이 모두 풀리게 됐습니다. 다만, 양주를 비롯해 파주, 김포, 포천 등 최근 발생시군에 대해서는 ASF 위기경보 '심각' 단계가 유지됩니다. 그외 지역은 '주의' 단계로 하향 조정되었습니다. 경기도는 야생멧돼지 등 오염원이 농장으로 유입하지 않도록 농장 방역시설 점검, 돼지 출하·이동시 사전 검사, 양돈농장·차량·축산시설에 대한 소독 강화 등 방역 대책은 계속 추진할 계획입니다. 한편 경기도 양주에서는 지난해
토요일 전국적으로 크고 작은 돈사 화재 사고가 연달아 일어났습니다. 경북소방본부는 8일 저녁 9시 45분경 성주군 월항면에 위치한 한 양돈장의 분만사에서 불이 나 40분 만에 진화되었다고 밝혔습니다. 이 불로 철골조 돈사 1개 동 일부(5㎡)가 소실되고 모돈 4마리와 자돈 50마리 등 돼지 총 54마리가 폐사해 소방서 추산 6백4십만원의 재산피해가 발생했습니다. 소방당국은 보온등 복사열로 불이 시작된 것으로 보고 정확한 화재 원인을 조사 중입니다. 앞서 같은 날 오전 8시 58분경 경기도 파주시 적성면에 있는 양돈장에서도 화재가 일어나 30분 만에 진화되었습니다. 조립식 컨테이너 2개 동과 집기류 등이 불에 타 3천2백만원 상당의 피해를 입었습니다. 경기도 안성에서도 돈사 화재 사고가 일어나 2천4백만원의 재산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됩니다. 구체적인 발생 상황과 피해 정도는 알려진 것은 없습니다. 이로써 이달 들어 돈사 화재 사고는 모두 7건으로 늘어났습니다. 이로 인한 재산피해액은 16억원을 넘어섰습니다. ▶2일 경기 연천 ▶4일 충남 천안 ▶5일 경기 화성 ▶7일 전남 함평 ▶8일 경북 성주/경기 파주/경기 안성 ※ 축사 전기설비 안전관리와 전기화재 예
지난 두 달간의 올해 돈사 화재는 발생건수뿐만 아니라 재산피해액 모두 지난해보다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런 가운데 경기도에서 피해가 가장 컸습니다. 소방청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2월까지 발생한 돈사 화재는 전국적으로 모두 37건입니다. 1월 20건, 2월 17건입니다. 이로 인한 총 재산피해액은 잠정 58억3천6백만원으로 집계되었습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발생건수는 2건, 피해액은 37억6천4백만원이 각각 감소한 수준입니다. 다행스러운 소식입니다. 하지만, 발생농장을 생각한다면 여전히 안타까운 결과입니다. 발생건수 37건을 시도별로 살펴보면 경기가 14건으로 가장 많았습니다. 이어 충남이 6건으로 그 뒤를 이었습니다. 나머지는 경남 4건, 경북·전북·충북 각 3건, 전남 2건, 세종·인천 각 1건씩 발생했습니다. 시군별로는 경기 파주와 이천, 충남 홍성에서 모두 3건씩 발생한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개별 발생 사례 가운데 가장 재산피해가 많았던 것은 지난달 28일 경기 화성에서 발생한 화재입니다. 돈사 3개동이 전소되고 모돈 550마리를 포함, 돼지 2천6백5십 마리가 폐사해 소방서 추산 피해액이 9억2천1백만원으로 집계되었습니다. 그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