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대구·경북지역의 유일한 국립공원인 팔공산과 불과 약 8km 떨어진 곳(대구 군위)에서 ASF에 감염된 야생멧돼지(#4102)가 추가 확인되었습니다. 이 멧돼지는 18개월령 수컷으로 폐사체로 발견된 것이 아니라 앞서 지난 27일 '총기포획'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로써 최근 2주 사이 팔공산 인근에서 발견된 감염멧돼지 숫자는 모두 3마리(#4087, #4098, #4102)로 늘어났습니다. 팔공산으로의 감염멧돼지 이동·전파 가능성이 매우 높은 상황입니다. 하지만 방역당국은 여전히 자신감이 넘치는 모양새입니다(관련 기사). 이동 차단을 막기 위한 울타리도 없는 상황에서 여전히 총으로 멧돼지를 잡고 있으니 말입니다. 1일 추가 확인된 다른 감염멧돼지(#4103, 대구 군위)도 지난 28일 총기포획으로 잡힌 것으로 파악되고 있습니다. 포획지점과 팔공산과의 거리는 약 18km입니다. ※ ASF 실시간 현황판 이득흔 기자(pigpeople100@gmail.com)
지난 17일 경북 영천에서 ASF 감염멧돼지(#4047)가 추가로 확인되면서 경북의 ASF 바이러스가 경남과 더욱 가까워졌습니다. 이제 약 37km 거리입니다. 이번 영천 감염멧돼지는 2개월령 암컷으로 앞서 지난 13일 영천시 완산동 소재 야산에서 총기 포획되었습니다. 기존 발견지점(#3665)보다 남쪽으로 5km 지점에서 잡혔습니다. 그런데 영천은 지난해 12월부터 총기유보지역입니다. 원칙적으로 멧돼지 사냥이 금지된 지역입니다. 하지만 총기를 이용한 멧돼지 포획이 계속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전히 ASF 방역보다 유해동물 피해관리 정책이 우선하기 때문입니다(관련 기사). 영천서 지금까지 발견된 ASF 감염멧돼지 숫자는 어느덧 42마리에 달합니다. ※ ASF 실시간 현황판 이득흔 기자(pigpeople100@gmail.com)
'돼지와사람'은 이달 들어 ASF 감염멧돼지 발견건수가 4개월 만에 증가세로 전환되었다는 소식을 지난 13일 전해드린 바 있습니다(관련 기사). 당시 12건(마리)이었습니다. 이후 5일이 지난 18일 현재 감염멧돼지는 18건으로 늘어났습니다. 벌써 전달인 6월 전체 발견건수 8건의 두 배를 넘어선 상황입니다. 최근 전국적으로 폭우가 연일 이어지고 있는 상황을 감안하면 다소 의아스러운 상황입니다. 그런데 이달 또 하나 특이할 만한 것이 있습니다. 총기로 잡은 감염멧돼지 숫자가 유난히 많다는 것입니다. 폐사체 발견 숫자보다 더 많습니다. 국립야생동물질병관리원에 따르면 이달 1일부터 18일까지 새롭게 추가된 감염멧돼지 18건 가운데 폐사체는 7건, 수렵개체는 11건입니다. 수렵개체의 비율(61.1%)이 폐사체(38.9%)보다 월등히 많습니다. 전체 감염멧돼지 발견건수 가운데 수렵개체가 5월은 36건 가운데 2건(5.6%), 6월은 8건 가운데 1건(12.5%)이라는 사실과 비교됩니다. 앞서 4월의 경우도 전체 94건 가운데 수렵개체는 1건, 포획트랩으로 잡은 개체는 4건입니다. 나머지는 다 폐사체입니다. 이같은 상황에 대해 이달 들어 포획이 늘었기 때문이라는 의견
결국 ASF가 충북에서도 발생했습니다(관련 기사). 이로써 국내 멧돼지에서의 ASF 발생지역은 모두 3개 도, 20개 시·군으로 늘었습니다. 게다가 이번 충북 단양 양성멧돼지 발견지점은 월악산 국립공원 경계 내이어서, 호남과 영남으로 이어지는 소백산맥으로까지 ASF가 이르렀다는 것을 말합니다. 앞서 ASF는 설악산·오대산 등 태백산맥에 안착해 빠른 속도로 동해바다를 끼고 영남을 향하고 있습니다. 바야흐로 멧돼지가 용의 등(산맥)에 오른 형국입니다. 이제 ASF가 상재화를 넘어 전국화 단계로 본격 진입하는 양상입니다. 이에 놀란 환경부는 단양 ASF 양성 확인 당일인 19일 오후 늦게 보도자료를 뿌렸습니다. 지난 1월 강원도 양양 확인 이후 10개월 만의 보도자료입니다. 하지만, 환경부가 내놓은 '총력 대응'은 기존 대응 방안은 이른바 '복붙(복사하기-붙여놓기)'에 불과했습니다. '폐사체 수색, 차단울타리, 포획도구 설치' 등 3종 세트 그대로입니다. 이들 방안은 이미 지난 2년간 번번히 실패한 방법입니다. 게다가 과학적이지도 않습니다. 체계적이지도 않습니다. 광활한 지역에 투입되는 수색인원은 초라하기 그지 없습니다. 산에 설치한 차단울타리는 번번히 뚫리고 있
강원도가 인제군의 이동제한 조치를 해제한 가운데 지난달 초 발표한 '동절기 멧돼지 집중포획 대책'을 계속 추진하겠다는 입장인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관련 기사). 강원도 ASF 방역대책본부(본부장 최문순)는 지난달 5일 인제군 ASF 농장 발생에 따라 취해졌던 이동제한 조치를 9일 00시부로 해제한다고 밝혔습니다. 해제에 앞서 강원도는 발생농장과 매몰지 등에 대한 환경검사를 실시하였으며, 8일 최종 바이러스가 검출되지 않았다는 '음성' 결과를 농림축산검역본부로부터 통보받았습니다. 강원도는 "지난 10월 인제군 발생 이후 추가적 양돈농장 전파 차단을 위해 신속하고 과감한 선제적 초동방역의 추진과 조기 안정화에 노력 중이며, 1개월 이상 추가 발생을 차단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외부 유입 요인 차단을 위한 농장 방역시설 보강과 방역의식 개선을 통한 자율방역 수준 향상에 중점을 둔 방역 강화대책과 함께, 금년 10월부터 ‘22년 3월까지 야생멧돼지 1만 마리 포획을 목표로 “동절기 야생멧돼지 집중포획 대책”을 적극 추진 중에 있다"고 밝혔습니다. 한편 이번 강원도의 야생멧돼지 집중포획 대책 발표 후 횡성, 삼척, 영월 등 이른바 클린존에서 양성멧돼지가 발견되면서
지난 14일 ASF 야생멧돼지 발견건수가 200건을 넘어섰습니다. 전날인 13일 199건에서 14일 5건(화천4, 연천1)이 추가로 확인되어 204건이 되었습니다. 그리고 16일에는 여기에 13건(파주6, 화천5, 연천1, 철원1)이 또다시 보태져 217건으로 늘어났습니다. 이제는 300건을 향해 빠르게 치닫는 형국입니다. 최근 야생멧돼지로 인해 ASF 상황을 산업뿐만 아니라 정부에서도 심각하게 바라보기 시작했습니다. 단순히 발견두수가 빠르게 늘어났기 때문이 아닙니다. 지난달 8일 강원도 화천의 야생멧돼지에서 기존 연천, 파주, 철원에 이어 처음으로 바이러스가 검출되더니 이달 7일에는 광역울타리 너머에서까지 감염멧돼지가 살아있는 채로 발견되고, 이후 추가로 폐사체가 2건이 확인되었기 때문입니다. 최후의 보루라 할 수 있는 광역울타리가 뚫린 것입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이번주 22일까지 화천-소양강-인제 구간을 연결하는 3단계 확장형 광역울타리를 설치하는 등 추가적인 관리 대책을 발표·시행에 들어갔습니다. 또한, 환경부 장관과 농식품부 장관은 최근 부랴부랴 화천 현장을 찾아 상황을 점검했습니다. 야생멧돼지의 추가 남하·동진을 막고, 아울러 농장에서의 재발을 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