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높은 지육가격으로 인한 경영 어려움이 계속되며, 일부 가공업체 주중 휴무가 이어지고 있다. 구이류는 일부 대형마트의 할인행사 수요가 소폭 있었으나, 그 이외의 대형마트와 정육점, 외식 수요는 월초임에도 불구하고 수요가 살아나지 못하였다. 정육류에서 등심과 후지만 여전히 꾸준한 수요를 보이고 있다." - 한국육류유통수출협회, 11.10일자 주간시황보고 중 이번주에도 돼지 도매가격(제주 및 등외 제외, kg당)이 또 떨어지며, 4주 연속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축산물품질평가원에 따르면 46주차인 이달 10일부터 13일까지 돼지 도매가격은 5382원을 기록 중입니다. 이미 3주 연속 하락세를 보인 전주보다 43원 적습니다. 지난 8월 중순 이후 3개월 만에 5천3백원대로 복귀했습니다. 이는 먼저 주간 출하두수가 최근 4주 연속 38만두 이상으로 상승한 것이 원인으로 분석되고 있습니다. 지난주의 경우 거의 39만두 가까이 출하되었습니다. 이번주에도 비슷한 것으로 예측됩니다. 이런 가운데 삼겹살·목심 등 구이류를 중심으로 수요 부진이 계속되고 있고, 예년에 비해 가격이 크게 오른 김장 재료값 탓에 김장철 수요가 아직 형성되지 않았기 때문이란게 유통 쪽의 분석입
돼지 도매가격(제주 및 등외 제외, kg당)이 3주 연속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축산물품질평가원에 따르면 45주차인 이달 3일부터 6일까지 돼지 도매가격은 5438원을 기록 중입니다. 최근 2주 연속 하락을 보였던 전주(5475원)보다 37원 하락했습니다(-0.7%). 남은 기간 가까스로 5400원대를 유지할 정도로까지 떨어질 기세입니다. 등심·후지를 제외하고 국내산 구이류·정육류 모두 수요부진 상태에 있는 가운데 최근 한 달 사이 출하두수가 확연히 증가한 것이 원인으로 분석됩니다. 다만, 최근 돼지 도매가격은 지난해 같은 기간(4800원대)보다는 여전히 크게 높은 상황입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5일 "돼지고기는 폭염으로 체중 증가가 지연되면서 10월 도축 마릿수 감소로 이어져 가격이 다소 상승하였으나, 최근 생산성이 좋아지고 있어 11월 공급량은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다가올 김장철 돼지고기 소비가 늘어날지 주목됩니다. ※ 11월 한돈산업 전광판 돼지와사람(pigpeople100@gmail.com)
7월부터 주간 평균 돼지 도매가격은 매주 오름과 내림을 반복하고 있습니다(관련 기사). 지난주는 내림이 예상되는 주였습니다. 실제 내렸습니다. 그런데 최근 들어 가장 낮은 가격을 형성해 우려를 자아내고 있습니다. 올해 가장 적은 출하두수에서 나온 결과라 더욱 우려스럽습니다. 생각 이상으로 돼지고기 소비부진이 심각한 듯합니다. 축산물품질평가원에 따르면 지난주(8.13-19) 돼지 평균 도매가격은 5343원을 기록하였습니다. 이는 전주(5492원) 대비 2.7% 낮은 가격입니다. -2.7%는 최근 두 달 사이 가장 큰 하락폭입니다. 이에 지난주 5343원은 지난 4월 마지막 주(4.23-29, 5579원) 이후 가장 낮은 주간 가격을 기록하였습니다. 여름 휴가철임을 감안하면 쉬이 납득하기 어렵습니다. 또한, 지난주 출하두수는 30만두 이하인 29만두였습니다. 올해 들어 가장 적은 주간 출하두수입니다. 이런 가운데 훅 떨어진 주간 가격은 당황스럽습니다. 그나마 국제 돼지고기 가격 상승 등으로 수입량이 감소한 것이 다행스러울 정도입니다. 19일 기준 이달 평균 도매가격은 5422원입니다. 당초 한국육류유통수출협회가 지난달 예측한 5600~5800원과는 거리가 있습니
한돈자조금 관리위원회(회장 하태식)는 12월 31일 '연말연시 대목은 옛말, 가격 폭락으로 위기에 빠진 한돈 농가'라는 보도자료를 통해 '한돈 소비'로 '한돈 농가'를 응원해 줄 것을 호소했습니다. 돼지고기 가격이 심상치 않습니다. 연말 특수를 기대했던 한돈 농가의 바람과는 달리 지난 19일 kg당 2천원대로 내려앉은 도매가격이 현재까지 지속되며 한돈 농가는 돼지 한 마리 출하때마다 15만원의 적자를 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축산물품질평가원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12월(27일 기준) 전국(제주제외) 도매시장의 돼지고기평균(탕박.등외제외) 경매가격은 kg당 3,394원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12월 평년 가격인 4,147원보다 18% 낮은 수준이며, 가격하락이 시작됐던 작년 12월 3,597원보다도 낮은 가격입니다. 학교 방학으로 인한 급식 수요 중단과 주 52시간 근무로 인한 회식근절문화, 점심 송년 모임, 소규모 송년 모임 증가 등 직장인들의 송년 문화 변화에 따른 돼지고기 소비 부족이 가격하락의 주된 원인으로 꼽히는 가운데, 작년부터 이어진 생산비 이하 출하로 경영난에 처한 한돈 농가가 늘어나자 한돈자조금관리위원회가 한돈 소비촉진을 위한 다양한
오랫동안 한돈자조금관리위원회는 공급량이 늘면 가격이 하락하고 가격이 하락하면 비축과 할인판매를 통해 유통물량을 줄이거나 빼는 방법으로 돈가를 조절해 왔습니다. 그러나 2018년부터 도식처럼 해왔던 방식이 먹히지 않고 있습니다. 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2019년 수입물량은 42만 톤으로 2018년 46만 톤 보다 4만 톤이 줄었습니다. 등급판정두수는 2019년 1778만 두로 예상되어 2018년 1735만 두 보다 43만 두 늘었습니다. 43만 두는 정육으로 약 2.3만 톤 이므로 수입물량이 4만 톤 줄은 것을 감안하면 2018년 보다 올해 국내 유통 돼지고기량은 약 1.7만 톤 줄은 셈입니다. 내년 또한 사육두수와 수입량 감소에도 불구하고 도매가격은 올해와 비슷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결국 공급의 문제가 아니라 소비의 문제입니다. ASF 발생 4개월이 지나고 있는 요즘, 흔히 ASF로 인한 소비위축을 소비감소의 주범으로 들기도 합니다. 그러나 제주 흑돼지를 이용한 백종원의 제주도 포방터 돈까스집에는 전국에서 몰려든 손님으로 새벽 4시부터 줄을 서 주는 아르바이트생이 등장하기도 했습니다. 돼지고기 소비감소의 다른 이유로 회식문화 변화를 들기도 합니다. 가
올해 초 세미나에서 만난 대형마트의 마케팅 담당자는 '온라인에 비해 오프라인 매장이 계속 어려워지고 있는데 어떠한 대책을 가지고 있는가'라는 질문에 '당사는 온라인과 오프라인 모두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걱정이 없다'고 대답했습니다. 그러나 현재 국내 대형마트들은 창립이후 최대의 위기에 직면하고 있습니다. 증권가에 따르면 국내 대형마트 1위인 이마트는 지난해 마이너스 성장에 이어 올해 2분기 영업손실이 47억에 달할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대형마트의 부진은 이마트, 롯데마트, 홈플러스 등 공통적으로 발생하고 있습니다. 통계청에 따르면 국내 전자상거래 시장 규모는 올해 100조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쿠팡, 위메프, 티몬 등 초저가 마케팅과 마켓컬리등 틈새시장을 노리는 다양한 이커머스 들의 약진이 대형마트의 아성을무너뜨리고 있습니다. 더욱이 네이버의 확대와구글이 쇼핑시장 진입을 예고하고 있어 당분간 유통시장은 혼란한 시기를 맞이할 것으로 보입니다. '아마존을 이긴 월마트...소비자의 요구를 파고드는 전략 필요'(기사보기)지난 기사의 내용처럼 대형마트들은 신선식품의 특성을 이용하여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연결하였습니다. 새벽배송으로 집앞까지 배달하여 소비자의
"깨톡!" 양돈장하는 친구로부터 카카오톡 메시지가 왔습니다. '요즘 돈가가 왜 이렇냐? 소비패턴이 바뀐 것인지, 돼지고기가 너무 안팔린단다' 스마트폰의 알람소리를 들으며 시작되는 오늘날 현대인의 아침은, 스마트폰을 켜고 랭킹뉴스를 휘리릭 검색하며 본격적인 하루가 시작됩니다. 현재 전세계에서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사람들의 비율이 가장 높은 국가는 우리나라입니다. 미국 시장조사기관인 퓨리서치에 의하면 우리나라 휴대전화 보급율은 100%이며 이 가운데 스마트폰 사용자들이 95%를 차지합니다. 페이스북이나 트위터, 유튜브 등 소셜 미디어 사용자 비율이 가장 높은 국가는 이스라엘로 77%에 이어 우리나라는 76%로 2위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스마트폰의 보급율과 소셜 미디어 사용은 '스낵컬쳐(Snack Culture)'를 발생시켰습니다. '스낵컬쳐'란 간단하게 스낵(과자)을 집어먹듯이 콘텐츠를 소비하는 것입니다. 콘텐츠의 소비가 매우가볍고 빠르며 강합니다.두꺼운 책을 읽기보다는 '스마트폰 좀비'라는 말을 만들어낼 만큼 많은 사람들이 이동하며 가볍게 콘텐츠를 탐닉합니다. 이러한 생활 전반적인 문화는 식생활에서도 나타납니다. 소비자 온라인 설문조사 업체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