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이 지난 20일 올해 3분기(9월 1일 기준) 가축동향조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관련 기사). 3분기 전체 돼지 0.6% 증가, 모돈 1.5% 감소 해당 발표에 따르면 3분기 돼지 사육두수는 1139만8천 마리로 전년동기대비 7만2천 마리(0.6%)가 증가하였습니다. 반면, 모돈 사육두수는 99만3천 마리로 전년동기대비 1만5천 마리가(-1.5%)가 감소하였습니다. 이에 대해 통계청은 '명절 이동(추석, '22년 9.10→ '23년 9.29)과 모돈 생산성 향상으로 각각 출하대기(4∼6개월 미만) 물량과 4개월 이하 마릿수가 증가한 영향'이라고 분석했습니다. 모돈이 포함된 8개월 이상 마릿수는 유일하게 감소했습니다. 전체 사육두수를 규모별로 살펴보면 '1000마리 미만'과 '1000~5000마리 미만' 농장에서는 전년동기대비 각각 5만8천 마리(-6.4%), 4천 마리(-0.1%)가 감소했습니다. 하지만, '5000마리 이상' 농장에서는 13만5천 마리(3.6%)가 증가해 전체적으로는 최종 7만2천 마리(0.6%)가 증가한 것입니다. 3분기 돼지 농장수 2.0% 감소 3분기 돼지 사육 농장수는 5721호입니다. 전년동기대비 114호가 줄었습니다(-2.0%
지난 금요일(21일) 통계청이 올해 2분기 가축동향조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통계청에 따르면 2분기 돼지 사육두수는 1110만 8천 마리로 전년동기대비 5만 8천 마리(-0.5%) 감소하였습니다. 모돈 사육두수는 101만 4천 마리로 역시 전년동기대비 8천 마리(-0.8%) 감소하였습니다. 이같은 결과에 대해 통계청은 올해 상반기('22.12-'23.5월) ASF 발생에 따른 살처분과 미입식 영향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실제 이 기간 8농가에서 ASF가 발생해 예방적 살처분을 포함해 모두 23농가 돼지 9만 7천 마리가 매몰 처리되었습니다. 규모가 큰 농장과 양돈단지에서 ASF가 발생한 영향입니다. 2분기 돼지 사육농장수는 5813호로 파악되었습니다. 전년동기대비 81호 감소했습니다(-1.4%). 규모별로 살펴보면 '1000마리 미만' 농장이 49호가 가장 많이 감소했고, 이어 '1000~5000마리 미만' 농장은 17호, 5000마리 이상 농장은 15호 줄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농장당 사육두수는 1911마리입니다. 이는 전년동기대비 16마리 증가한 수준입니다(0.9%). 한편 2분기 기준 다른 축종의 사육두수 추이를 살펴보면 한육우(368만 6천 마리, -1
올해 1분기 전체 돼지 숫자뿐만 아니라 모돈수 모두 1년 전과 비교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0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1/4분기(3월 1일 기준) 가축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1/4분기 돼지 사육두수는 1133만 3천 마리로 전년동기대비 5만 8천 마리(-0.5%) 감소하였습니다. 최근 5년 동안 가장 작은 1분기 사육두수입니다. 통계청은 모돈 감소와 ASF 발생 영향으로 분석했습니다. 1/4분기 모돈은 100만 8천 마리로 전분기 99만 5천 마리에서 100만 마리대로 회복하였습니다. 하지만, 전년동기대비 1만 6천(-1.6%)가 감소했습니다. 100만 8천 마리는 2017년 모돈이력제를 기반으로 돼지 사육 통계를 작성한 이후 가장 적은 1분기 모돈수입니다. ASF는 지난해 3월부터 올해 2월까지 모두 11개 농장에서 발생해 약 9만 마리가 살처분된 것으로 파악됩니다. 1/4분기 돼지 사육농장수는 5822호로 집계되었습니다. 전년동기대비 129호(-2.2%)가 줄었습니다. '1000마리 미만' 농장과 '1000~5000마리 미만' 농장에서 각각 54호(-2.1%), 85호(-2.8%)가 감소했습니다. 반면, '5000마리 이상' 농장은 9호
하반기 일선 돼지농가들은 모돈 숫자를 현재 수준으로 유지하고, 늘릴 생각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구분 8월 9월 10월 11월 12월 1월 '22년 99.9 99.9 100.0 99.9 99.9 99.9 '21년 100.0 100.0 100.1 103.8 103.7 103.7 증감률(%) -0.1 -0.1 -0.2 -3.8 -3.8 -3.7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센터는 지난달에 표본 양돈농가 110호를 대상으로 올해 8월부터 내년 1월까지의 모돈 사육 의향을 조사하였습니다. 그 결과 지난해 8월 모돈 사육 의향을 지수 100으로 볼 때 올해 ▶9월 99.9 ▶10월 100.0 ▶11월 99.9 ▶12월 99.9 ▶내년 1월 99.9 등으로 파악되었습니다. 적어도 내년 1월까지 현재의 모돈 사육두수를 그대로 유지하겠다는 의미입니다. 그런데 이는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하면 0.1~3.7% 적은 수준입니다. 특히 11월과 12월, 내년 1월의 경우 상대적으로 큰 감소를 보였습니다. 이번 조사 결과대로 실제 농가들이 하반기에
사료비 등의 추가 상승 전망 탓일까요, 농가들의 하반기 모돈 사육두수가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다소 줄어들 것으로 예측되었습니다. 지난해와는 다른 양상입니다(관련 기사). 구분 6월 7월 8월 9월 10월 22년 99.8 99.9 99.9 99.9 99.8 21년 100.0 100.0 100.1 100.1 100.1 증감률(%) -0.2 -0.2 -0.3 -0.3 -0.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센터는 '돼지 관측 6월호'에서 표본농가(111호)에 대한 모돈사육 의향 조사 결과 전년 대비 감소하였다고 밝혔습니다. 지난해 6월 모돈사육 의향을 100으로 놓고 볼 때 올해 6월은 99.8, 7월부터 9월은 99.9, 10월은 99.8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전년 동월과 비교 0.2~0.3% 정도 낮은 수준입니다. 모돈 사육두수를 적어도 10월까지는 지난해보다 줄이겠다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모돈 사육두수가 실제 줄면 내년 상반기 전체 사육두수 또한 자연스럽게 감소합니다. 한편 농업관측센터는 올해 등급판정 두수 전망을 당초 지난해
임신돈 군사 사육 시 사육면적에 따른 파행 수준에는 차이가 없으나 넓을수록 피부 상처는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농촌진흥청(청장 조재호)은 임신돈 군사 시설을 준비하는 양돈농가가 참고할 수 있도록 사육 면적에 따른 임신돈의 생산성과 복지 수준 분석 연구 결과를 지난 17일 발표했습니다. 연구팀은 임신돈 48마리를 12마리씩 4개 사육면적(마리당 1.9㎡, 2.1㎡, 2.3㎡, 2.5㎡)으로 나눠 반스톨 군사시설에서 사육하며, 총산자수, 자돈 일일 증체량, 모돈 몸무게, 파행수준, 피부 상처 수 등을 확인했습니다. 그 결과, 생산성과 관련된 총산자수, 자돈 일일 증체량, 이유두수, 이유체중 등은 사육 면적에 따라 차이 없이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모돈의 몸무게와 파행수준 등에서도 유의적인 차이는 없는 것으로 파악되었습니다. 반면, 서열 경쟁으로 인한 피부 상처 수는 마리당 사육 면적이 넓을수록 적게 나타났습니다. 마리당 2.5㎡ 면적에서 기른 임신돈이 1.9㎡ 면적에서 기른 임신돈보다 29% 더 적었습니다. 또한, 군사 사육 기간이 길어질수록 상처 수가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앞서 연구팀은 후보돈 육성기 때 사회성 훈련을 통해 서열 경쟁
우리 농가들의 올 하반기 모돈 사육 의향은 전년보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모돈 숫자가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는 얘기입니다 이같은 사실은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센터가 최근 발표한 돼지 관측 자료에서 확인되었습니다. 농업관측센터는 표본농가 112호를 대상으로 올해 9월부터 내년 1월까지 5개월간의 모돈 사육 의향 조사를 실시하였습니다. 지난해 9월 모돈 사육 의향을 지수 100으로 정할 시 올해 9월과 10월, 11월, 12월, 1월의 모돈 사육 의향은 각각 100.7, 102.3, 102.5, 102.5, 102.4입니다. 이들 모두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0.7~2.1% 높은 수준입니다. 이에 따라 농업관측센터는 올해 9월 모돈 사육두수를 97만 8천 마리로, 12월 모돈 사육두수를 97만 7천 마리로 예상했습니다. 이는 지난해 9월(96만 3천 마리), 12월(95만 9천 마리)보다 각각 1.5%, 1.9% 증가한 수준입니다. 이같은 예상치는 농가들이 적어도 향후 양돈전망을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됩니다. 앞선 두 차례의 사료 가격 인상 여파에도 불구 최근 높은 돈가가 반영된 것으로 풀이됩니다. 이득흔 기자(pigpeople100@gma
현재 같은 도라고 해도 시군별로 가축 사육 제한구역 기준이 제각각입니다. 충남도가 전국 최초로 관내 전체 시군의 기준을 통일해 다른 광역지자체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충남도는 지난해 12월 서천군을 시작으로 지난달 금산군까지 도내 15개 시군이 가축 사육 제한 조례 개정 및 지형도면 변경 고시를 완료하고, 표준 조례에 따라 통일된 기준으로 동일한 경계지역의 가축 사육 제한구역을 설정했다고 지난 5일 밝혔습니다. 통일된 표준 조례에 따르면 가축 사육 제한구역은 도내 시군 부지경계선으로부터 돼지·개·닭·오리·메추리는 1500m, 소·젖소·말·양·염소·사슴은 600m 이내로 규정했습니다. 개정 이전에는 시군마다 가축 사육 제한구역 기준이 달랐습니다. 이 때문에 시군 경계에 인접한 지역에서 축산 악취나 수질 오염 등 환경 피해 및 지역주민 간 갈등의 원인이 돼 왔습니다. 이에 도는 지난해 2월 15개 시군과 ‘시군 경계지역 축사 입지 환경 피해 예방 협약’을 체결해 통일된 가축 사육 제한 기준을 적용키로 협의하고 조례 제정 및 고시를 진행해 왔습니다. 각 시군은 이를 근거로 달라진 지형도면을 작성해 가축 사육 제한구역 변경 행정 예고 후 토지 이용 규제법에
올해 돼지 평균 도매가격 상승에도 불구하고, 돼지농가의 모돈 사육 의향은 지난해에 비해 여전히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모돈의 사육두수를 늘릴 계획이 감소했다는 의미입니다. 이같은 결과는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하 농경연)의 6월 돼지관측 자료에서 확인되었습니다. 농경연은 117호 표본농가를 대상으로 상대적인 모돈 사육 의향을 조사했습니다. 지난해 6월 모돈 사육두수를 100으로 하고 지난해와 올해 10월까지의 모돈 사육 의향을 지수화했습니다. 그 결과 올해 6월부터 10월까지 표본농가의 모돈 사육 의향은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해 1.4~3.4% 적은 것으로 파악되었습니다. 지난해 6월 농가가 모돈 100마리를 키웠다 가정하면 올해 6월은 98.6마리를 키울 것으로 조사된 것입니다. 이어 7월 98.8, 8월 98.8, 9월 98.8, 10월 98.7 등입니다. 이같은 결과는 외부에서 볼 때 올해 5월까지 돼지 평균 도매가격이 전년 같은 기간에 비해 6.8%(3,875원→4140원) 증가한 상황과는 대조적인 결과로 비춰질 수 있습니다. 게다가 최근 일반 언론에서 통계청 자료를 근거로 돼지고기 소비가 늘면서 농가 수익이 640% 증가했다는 보도와도 배치됩니다.
적어도 내년 상반기 우리 양돈농가들은 모돈 사육두수를 올해보다 줄일 것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해당 결과는 지난 1일 농촌경제연구원(이하 농경연)이 발표한 '4분기 돼지 관측' 보고서에서 확인되었습니다(관련 기사). 농경연은 이번 보고서를 위해 113호의 양돈농가를 대상으로 올해 1월을 기준(100)으로 모돈 사육두수를 늘릴 것이지 혹은 줄일 것인지를 묻는 모돈 사육 의향 조사를 실시했습니다. 조사 결과 해당 농가들은 내년 1월부터 5월까지 전년 동기 대비 3.0~6.0%p(포인트) 선에서 사육규모를 줄일 것이라고 답했습니다. 1월 -5.7%p, 2월 -6.0%p, 3월 -4.5%p, 4월 -4.0%p, 5월 -3.0%p 감소 수준입니다. 그나마 3월부터는 사육규모를 늘리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같은 경향은 올해와는 대조적입니다. '20년은 1월부터 3월까지 모돈 사육 의향의 변화가 거의 없다가 4월(-0.4%p)과 5월(-1.4%p) 소폭 감소한 것으로 파악되었습니다. 농경연은 이번 조사 결과에 대해 추가적인 설명이나 이유는 밝히지 않았습니다. 다만, 농경연은 "이달 12월 이후 후보돈 입식 시 출하가 예상되는 '21년 12월 이후 출하량 증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