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아이오와 주립대 연구팀이 PRRS가 2016년부터 2020년까지 미국 양돈산업에 연간 약 12억 달러(한화로 약 1조6400억 원)의 손실을 초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고 최근 밝혔습니다. 연구를 주도한 데럴드 홀트캠프 박사(Derald Holtkamp)는 1980년대 중반부터 PRRS는 미국 양돈산업에 존재해 왔으며 계속해서 증가하는 위협으로 남아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그는 "40년간 이 바이러스와 싸운 경험이 있는 수의사와 생산자는 여전히 PRRS와의 싸움에서 지고 있다. 바이러스가 우리보다 더 똑똑하다"라고 전했습니다. 연구팀 발표에 따르면 이번 손실액 12억 달러는 10년 전 연구의 추정 손실액(2006-2010년 6억6400만 달러)보다 무려 5억3600만 달러나 크게 증가한 규모입니다. 증가분 중 일부는 시장가격, 생산비용, 돼지재고의 규모 변화에 따른 것입니다. 약 1억800만 달러 정도입니다. 대부분인 4억2800만 달러는 PRRS에 영향을 받은 돈군과 그렇지 않은 돈군 간의 생산성 차이에서 기인합니다. 생산성 차이는 번식돈군이 아닌 육성돈군에서 더 크게 발생했습니다. 2006-2010년 연구에서 육성돈군에서의 손실은 전체의 55%를 차
본 연구는 제주지역의 재발생 시점인 2014년 4월부터 18개월 동안의 PED 발생 상황을 분석하고, 감염된 돼지에 대한 병리학적 검사와 함께 분리된 바이러스(PEDV)에 대한 유전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중국과 미국에서 발생하였던 PED 바이러스와 제주에서 분리된 바이러스U의 유전형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이번 연구에서 분리된 총 12주의 PEDV S 유전자를 대상으로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각 바이러스의 상동성은 98.9-99.8%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제주지역에서 10년 만에 PED가 재발생하였지만, 거의 유전적으로 동일한 바이러스가 돼지에게 전파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PEDV에 대한 계통학적 트리를 작성한 결과 이들 바이러스는 모두 2013-2014년 한국 내륙에서 발생한 PEDV 및 북미형 PEDV에 속하는 G2 그룹에 속하였다. 한편 국내 내륙에서 분리된 PEDV의 일부는 같은 G2 그룹에 속하지만 병원성이 비교적 약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 INDELs 그룹에 속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나, 이번 제주에서 검출된 12주의 PEDV는 INDELs 그룹과는 동질성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최근 Lee 등은 2018년에 제
써코바이러스는 오랫동안 양돈산업에 큰 영향을 미쳐왔습니다. 백신이 없었던 시절 써코바이러스로 인한 폐사율 증가로 인하여 양돈 생산성에 커다란 영향을 미친 질병이었습니다[1]. 써코바이러스 백신이 개발된 이후 질병이 종식될 줄 알았지만 써코바이러스는 환경 저항성이 매우 강하고, 발병 이후 새로운 유전자형으로 진화를 하며 변화를 하며 생존해왔습니다[2,3]. 가장 처음 발견된 PCV-2a는 1996년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 대부분의 양돈장에 널리 퍼져 있었습니다. 2005년 이후부터 PCV-2b로 변화하였고, 2023년 대한민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PCV-2d가 양돈장 전반에 넓게 퍼져있는 것이 많은 자료를 통하여 확인되고 있습니다[4-8]. 2022년 돼지수의사회 연례세미나에서 발표된 ‘농림축산검역본부’ 자료에 의하면 국내 PCV2 유전자형의 약 85%가 PCV-2d로 확인되고 있습니다[9]. 즉 PCV-2d 유전자형이 국내 양돈장 대부분에 존재한다는 것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변화하는 PCV2유전형을 방어할 수 있는 PCV-2d 유전형으로 만들어진 백신에 대해 소개해드리고자 합니다. 버박에서 만든 포시겐 PCV2d는 PCV-2d 유전형을 사용한 백신으로
PED(돼지유행성설사)는 1992년 국내에서 처음 보고되었다. 이후 매년 발생하여 지난 20년 동안 상당한 경제적 손실 야기로 양돈산업을 위협해 왔다. 특히, 2013년 11월경 재출현한 PED의 유행으로 우리나라 돼지 농장의 40% 이상이 피해를 입었다. 본 연구에서는 2019년 전북지역 PED 발생 농가에서 분리한 PED 바이러스 S gene의 유전자 염기서열 및 아미노산을 분석하고, 기존 국내외 분리주 및 백신주와의 유전적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염기서열 분석 결과, 기존 국내 분리주와 같은 S-indels(S insertion-deletions)를 가진 G2b 그룹에 속하였다. 분리주간 염기서열 차이는 0∼1.5%, 아미노산은 0∼2.7%로 높은 일치성을 보였으며, 미국 분리주인 PC273/O와 가장 높은 상동성을 보였다. 한편, 초기 국내 백신주 SM-98-1과 DR-13은 염기서열 분석시 6.1∼11.1%, 아미노산 분석시 10.5∼11.4%로 상당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의 국내 백신주 QIAP1401와의 염기서열은 0.5∼1.2%, 아미노산은 1.2∼2.2% 정도의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G1a 그룹 기반의 백신과 달리 상
지난 8일 중국 정부가 ASF 변이 바이러스의 원인인 '불법 제조 백신'에 대해 예외없는 '가혹한 처벌'을 경고하며 각 성(省)에 강력 단속을 지시했습니다. 아울러 백신 관련 신고에 최대 3만 위안(한화 약 524만 원)의 거액의 포상금까지 걸었습니다. '불법 제조 백신'이 자국의 돼지 생산 회복과 산업의 안정적인 발전에 위험을 초래하고 있다고 본 것입니다. 이같은 중국 당국의 조치는 전 세계 언론을 통해 발빠르게 기사로 다루어졌습니다. 그런데 국내 한 언론이 이같은 소식을 전하면서 '사람까지 감염시킬 수 있다'고 해 논란이 일 전망입니다. SBS는 11일 '[월드리포트] 중국 이번엔 가짜 돼지열병 백신…사람에게도 영향'이라는 제목의 기사(바로보기)를 통해 중국 불법 가짜 백신에 대한 문제점을 비교적 상세히 다루었습니다. 백신에 의한 변이 바이러스가 국내 유입 시 새로운 추가 위협이 될 수 있는 상황이어서 매우 유용한 기사입니다. 그런데 해당 기사는 '글로벌 타임스(환구시보 영어판)' 보도를 인용하면서 "가짜 백신은 건강한 돼지에게 바이러스를 옮기고, 사람의 교차 감염을 초래할 수 있다"고 전해 가짜 ASF 백신이 돼지뿐만 아니라 사람까지 감염시킬 수 있다고
최근 농장에서 PRRS 백신 종류를 교체해서 일괄접종을 실시하였다. 새로운 PRRS 백신을 도입하면서 안전성을 점검하기 위해 확인해야 되는 부분은 어떤 것이 있을까? PRRS 백신의 안전성 평가를 위해 농장에서 백신접종 후 모니터링이 필요한 부분은 ①PRRS 백신 후 접종반응과 ②PRRS 바이러스의 배출과 변이, 두 가지를 뽑아볼 수 있다. 1. PRRS 백신 후 접종반응 PRRS 백신을 실시 후 나타날 수 있는 국소적이거나 전신적인 반응에는 발열이나 접종 부위의 부작용(염증이나 종창)이 있을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PRRS 백신은 희석액에 면역보좌제(Adjuvant)를 첨가하지 않기 때문에 접종부위의 이상반응은 거의 없는 편이다. 그러나 백신에 따라서는 드물게 접종반응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으므로 접종 후 돈군에 대한 주의 깊은 관찰이 필요하다. 2. PRRS 바이러스의 배출과 변이 PRRS 백신주는 약독화되었지만 살아있는 바이러스이다. 따라서 안전성과 관련해 다음의 3가지 이슈를 점검해봐야 한다. ▶바이러스의 배출 기간 ▶농장에서 순환하는 야외 바이러스와의 재조합 가능성 ▶백신 바이러스의 병원성 회복 가능성 2.1 PRRS 생백신 바이러스의 배출 바이러
ASF 야생멧돼지 발생건수가 최근 크게 감소한 가운데 이들 가운데 감염항체가 발견되어 향후 추가 검사 결과에 귀추가 주목됩니다. ASF 항체가 생길 동안 죽지않고 살아남은 것입니다. 감염동물에서 항체 발견은 국내 첫 사례 입니다. 환경부 산하 국립환경과학원은 지난달 6일 강원 고성에서 포획틀로 잡은 ASF 야생멧돼지(#606)의 혈액에 대해 최근 항체 검사를 실시한 결과 '양성'으로 확인되었다고 3일 밝혔습니다. 이 야생멧돼지는 고성군 민통선 안에서 포획된 개체로 바이러스(항원)가 확인되어 5월 8일 606번째 감염 멧돼지로 기록되었습니다. 그런데 최근 실시한 항체 검사에서 1차 검사(ELISA)뿐만 아니라 2차 검사(IPT)에서도 항체가 검출된 것입니다. 고성군의 바이러스는 기존 다른 지역의 바이러스와 다르게 새로 북한으로부터 유입된 것으로 의심되고 있습니다(관련 기사). 사육돼지뿐만 아니라 야생멧돼지에서 ASF 항체가 검출된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관련 기사). 환경과학원이 지난해 10월부터 올해 6월 2일까지 분석한 총 3,026건(수렵 1,629건, 포획틀 1,275건, 폐사체 122건)의 야생멧돼지 혈액시료 가운데 유일합니다. 대부분의 야생멧돼지는
지난 글에서 PCV2바이러스(이하 '써코')의 최신 역학에 대한 내용(바로가기)을 공유하였다. 이번 글에서는 현재 가장 필드에서 우세한 PCV2d 바이러스 관련 최근에 시행된 실험 결과를 공유하도록 하겠다. 써코 연구로 유명한 Opriessing 교수가 지난해인 2017년에 PCV2d 바이러스를 공격접종 했을 때 실험실적 환경에서 PCV2a 기반 백신(제품명: 써코백, Circovac®)으로 방어능이 형성되는지를 연구했다. 이 실험결과는 'A commercial porcine circovirus(PCV) type 2a-based vaccine reduces PCV2d viremia and shedding and prevents PCV2d transmission to naïve pigs under experimental conditions'라는 제목의 논문으로 발표되었는데 되도록 알기 쉽게 요약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Opriessing 교수의 연구는 단순히 PCV2d 바이러스를 이용한 공격접종 실험만을 실시한 것이 아니다. 공격접종 후에 접촉 돈군으로의 PCV2d 바이러스 전파 유무까지 평가하는 등 다양한 항목을 비교 분석하였다. 실험돼지 및 실험군 실험
지난달 19일과 20일, 양일간 세바코리아는 CTC바이오와 공동으로 PCV2(써코) 관련 세미나를 주최하였다. 이어 22일과 23일에는 베트남 다낭에서 세계적인 석학들을 초청하여 아시아 양돈백신 심포지움을 개최하였다. 일련의 세미나에서 최신의 PCV2 바이러스 동향 등 유익한 정보가 다수 소개되어 이를 지면을 통해 나눠 간략히 소개하고자 한다. 이번 원고에는 변화하는 PCV2바이러스의 유전자형에 대한 내용을 담았다. 1화 : 변화하는 PCV2 유전형 아이오와 주립대의 Opriessing 교수에 따르면, 2002년까지 PCV2a 바이러스(현재 시중 백신의 기반)가 우세하였고, 이후 2015년까지는 PCV2b 바이러스가 그리고 최근에는 PCV2d 바이러스가 뚜렷하게 확인이 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한다.참고로 PCV2c 는 전세계적으로 검출 횟수가 매우 적고, 일반적으로 문제를 일으킨다고 보고 있지 않다. PCV2d 바이러스의 경우 발견 초기에는 PCV2b의 돌연변이형으로 여겨졌지만, 지금은 PCV2d로 최종 분류되고 있다. 무작위 검사에서는 PCV2a 다수이를 뒷받침하는 M. Eddicks의 2017년 최신 발표에 따르면, 2015-2016년 독일에서 59개의 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