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이 지난주 양돈산업과 관련해 두 가지 조사 결과를 연달아 발표했습니다. '2023년 농림어업조사'.....국내 돼지농가의 숫자 3018가구('23년 12월 1일 기준) '2024년 1분기 가축동향조사'....국내 돼지농장의 숫자 5698호('24년 3월 1일 기준) 그런데 각각에서 말하는 돼지농가와 돼지농장이 무엇이 다른지, 그리고 숫자가 왜 두 배 가까이 차이가 나는지를 궁금해하는 독자가 있었습니다. 통계청에 따르면 먼저 농림어업조사 결과는 전국의 농가, 임가 및 어가를 조사원이 방문하여 파악해 나온 결과입니다. 축산농가의 경우 조사기준일 기준 가축평가액이 120만원 이상이거나 지난 1년간 판매금액이 120만원 이상인 경우 조사 대상으로 인정됩니다. 이에 동일 농가가 여러 개의 돼지 농장을 운영하는 경우라 하더라도 하나로 집계됩니다. 규모가 조사 기준에 미달하는 경우 통계에서 제외됩니다. 가축동향조사 결과는 돼지이력제, 농장식별번호가 부여된 돼지사육시설의 사육현황신고 자료를 기반으로 한 통계 결과입니다. 동일 소유라 하더라도 농장의 식별번호가 다르다면 별개로 산정됩니다. 규모가 매우 작더라도 농장식별번호가 있다면 통계에 포함될 수 있습니다. 그 결과
지난해 육우를 제외하고 돼지를 비롯한 주요 축종 축산농가 숫자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감소폭은 돼지농가가 그나마 제일 적었습니다. 하지만 3천 가구대를 간신히 유지했습니다. 통계청이 19일 발표한 '2022년 농림어업조사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1일 기준 전국 농가는 102만 3천 가구입니다. 고령에 따른 농업 포기, 전업(轉業) 등으로 전년 대비 농가는 8천 가구(-0.8%), 농가인구는 5만 명(-2.3%) 감소한 것으로 집계되었습니다. 최근 양곡관리법으로 주목된 바 있는 논벼 재배 농가는 39만 가구로 파악되었습니다. 가축사육 농가는 한우(57,149가구, 전체 농가 중 5.6%)가 가장 많았고, 닭(육계+산란계 24,710가구, 전체 농가 중 2.4%), 젖소(3,018가구, 전체 농가 중 0.3%), 돼지(3,018가구, 전체 농가 중 0.3%) 등의 순이었습니다. 전년대비 육우(젖소수컷) 사육농가(1.1%)는 증가한 반면, 나머지 축종에서는 농가 규모가 감소하였습니다. 한우 사육농가는 -5.3%, 젖소 사육농가 -6.0%, 돼지 사육농가 -4.6%, 육계 사육농가 -22.4%, 산란계 사육농가 -14.0%, 오리 사육농가 -30.1%
지난해 12월 1일 기준 돼지를 사육하는 농가는 모두 3,162가구인 것으로 집계되었습니다. 이같은 자료는 통계청이 12일 발표한 '2021년 농림어업조사' 결과에서 확인되었습니다. 해당 결과에 따르면 국내 농축산업에 종사하는 농가는 103만 1천 가구입니다. 이 가운데 축산사육 농가는 한우가 60,330가구로 가장 많았습니다. 이어 산란계(22,225), 육계(7,207), 젖소(3,209), 돼지(3,162), 육우(1,497), 오리(1,007) 등의 순으로 사육농가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해 돼지 사육농가는 전년(2,986) 대비 5.9% 증가한 수준입니다. 한우 사육농가도 5.0% 증가했습니다. 나머지 다른 축종의 사육농가는 전년보다 모두 감소했습니다. 돼지 사육농가 3,162가구를 지역별로 살펴보면, 충남이 626가구로 가장 많았습니다. 이어 전남(582), 경기(571), 경북(363), 전북(320), 경남(231), 충북(150), 제주(149) 등의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강원은 48가구로 인천(51)보다 적은 것으로 파악되었습니다. 농림어업조사 자료는 통계청이 전국의 표본조사구 내 농가, 임가 및 어가를 조사원이 직접 방문하여 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