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어느 때보다 다양한 뉴스로 빼곡한 한 해를 마무리하며 '돼지와사람'이 2018년 한돈산업에 기억에 남을 10대 뉴스를 선정했습니다. 다사다난했던 한 해를 지내면서 아쉬웠던 점도 뿌듯했던 기억도 함께 돌아보고자 합니다. 다가오는 새해에는 어느 때보다 한돈인들에게 어려운 시기일 수 있지만 서로가 서로에게 힘이 되기를 바랍니다. 1. 한돈, '17년 농업생산액 비중 15%를 넘어섰다 '16년에 이어 '17년에도 한돈이 7조3천억원으로 2년 연속 농업 품목별 생산액 1위를 지켰습니다(관련 기사). 전통적인 1위 품목이었던 쌀과는 7천억 원('17년 기준)의 차이를 더 벌였으며 나아가 전체 농업생산액 비중 15%를 넘어서는 쾌거를 일구었습니다.명실상부 '밥 상위의 국가대표'임을 다시 한번 증명한 셈입니다. 앞으로도 계속되는 한돈의 화이팅을 기대해 봅니다. 2. 제주도 악취관리 지역으로 지정 고시되었다 지난 3월 23일 제주도 내 59개 양돈농가가전국 최초로 광역 악취관리지역으로 지정되었습니다(관련 기사). 여지껏 몇몇 개별농장이 악취관리지역으로 지정된 적은 있으나 다수의 농가가 한꺼번에 지정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었습니다. 최근에는 이들농가들이 제기한 지
2017년 마지막 주, 2018년 새해을 앞둔 시점에 '돼지와사람'이 '한돈산업 10대 뉴스'를 모아봤습니다. 크고 작은 때로는 기쁜 일도 슬픈 일도 있었습니다. 한돈의 지난 1년을함께잠시 돌아보시고 새해에는 소비자에게 더욱더 사랑받는 한돈이 되길 바래봅니다. 1. 농업 생산액 1위는 한돈이다 2016년 돼지 생산액 6조7702억원, 쌀 6조4572억원. 사상 처음으로 돼지가 품목별 농업생산액에서 쌀을 앞지르는 사고(?)를 쳤습니다. '저탄고지' 열풍에 힘입어 2017년에도 1위를 자신해 봅니다. 2. 2월 구제역 A형과 O형이 동시에 발생했다 충북 보은과 전북 정읍에서 O형 바이러스가, 경기 연천에서는 구제역 A형이 동시에 확진되는 초유의 사태가 발생하여 전국을 긴장시켰습니다. 다행히 돼지농가에게는 발생하지 않고 빠른 시간 내에 종식되었습니다. 백신만으로 구제역을 막을 수 없다는 것은 경험으로 증명된 바 차단방역만이 길입니다. 3. 돼지절식이 의무화되다 올해 4월부터 본격적으로 절식이 시행되었습니다. 여러 우려에도 불구하고 양돈농가들의 적극적인 참여로 현재 절식은 일상이 되었습니다. 돼지복지와 한돈의 품질 모두를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더욱 발전이 되어야겠습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