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에서 'ASF 바이러스 유전형 1형과 2형이 결합한 형태의 재조합 변종 바이러스(rASFV I/II)'가 처음으로 발견되었습니다. 이 같은 사실은 베트남과 우리나라 공동 연구진이 발표한 논문(바로가기)에서 확인되었습니다. 논문에 따르면 해당 변종 바이러스는 베트남 북부 6개성에서 사육 중이던 돼지에서 확인되었습니다. 연구팀은 ASF 의심 사례에서 채취한 혈액 샘플 26개를 분석했습니다. 계통학적 분석 결과, 6개 샘플에서 유전형 1형의 p72 시퀀스가 포함되어 있지만 p54 시퀀스는 유전형 2형에 속하고 CD2v 시퀀스는 VIII 혈청형에 속하는 재조합된 형태의 ASF 바이러스 균주가 발견되었습니다. 지금까지 알려진 바로는 베트남에서 최초입니다. 연구진은 이들 바이러스를 중국에서 이전에 보고한 재조합 변종 바이러스와 비교했습니다(관련 기사). 그 결과 모든 유전자 서열은 중국 변종 바이러스의 서열과 일치했습니다. 다만, 게놈의 '중앙 가변 영역(CVR)'에서 눈에 띄는 차이가 발견되었습니다. 이는 바이러스 출처는 중국으로 의심되는 가운데 베트남으로 여러 차례 서로 다른 변종 바이러스가 유입되었음을 시사합니다. 또한, 연구진은 현재 베트남에서 허가되어
중국 연구진이 돼지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한 ASF 바이러스 재조합 변종 여러 개를 발견해 놀라움을 주고 있습니다. 이들은 ASF 바이러스 유전형 1형과 유전형 2형의 유전 물질이 결합된 결과입니다. 현재 우리나라를 비롯해 전 세계가 유전형 2형이 문제가 되고 있는 가운데 이를 기반한 백신을 개발 중인데 이들 변종 바이러스에는 해당 백신의 예방 효과가 없는 것으로 추정되어 우려를 낳고 있습니다. 대응연구와 국경검역에 더욱 만전을 기해야겠습니다. 이같은 소식은 최근 중국 연구진이 '네이처(nature)'에 투고한 논문(바로보기)을 통해 확인되었습니다. 논문 제목은 '돼지에서 검출된 매우 치명적인 유전형 I 및 II 재조합 ASF 바이러스(Highly lethal genotype I and II recombinant African swine fever viruses detected in pigs)입니다. 연구진은 새로 발견된 ASF 바이러스의 유전자의 약 56%는 유전형 2형에서(특히, 2007년에 발생한 ASFV 조지아주와 유사한 바이러스), 나머지 43%는 유전형 1형(ASFV NH/P68과 유사한 바이러스)에서 비롯했다고 밝혔습니다. 그리고 이들 재조합 바이러
중국의 ASF 상황이 더욱 복잡해졌습니다. 전혀 새로운 유전형의 ASF 바이러스가 출현한 것입니다. 이같은 사실은 최근 'Emerging Microbes & infections'이라는 저널에 올라온 중국농업과학원 연구팀의 논문(원문보기)을 통해 알려졌습니다. 해당 논문에서 중국 연구팀은 "중국은 고병원성의 유전형 2형 ASF 바이러스가 지난 2018년 이후 중국에서 널리 유행하고 있는 가운데 HeN/ZZ-P1/21과 SD/DY-I/21이라는 유전형 1형 ASF 바이러스 두 개가 각각 허난성과 산둥성의 돼지 농장에서 분리되었다"고 밝혔습니다. 연구팀은 해당 바이러스(SD/DY-I/21)를 돼지에 공격 접종한 실험도 소개했습니다. 그 결과 병원성이 낮은 것을 확인했습니다. 감염된 돼지는 급성형으로 진행되지 않고, 가벼운 증상, 만성질환 등을 보였을 뿐입니다. 기존 유전형 2형 바이러스 감염과 달리 증상이 심하지 않고 죽지도 않는다는 얘기입니다. ASF 발병 초기 쉽게 발견이 어려울 수 밖에 없습니다. 현재 개발되고 있는 유전형 2형에 기반한 백신에 효과가 있을 가능성도 매우 낮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 때문에 중국 연구팀은 "유전형 1형 ASF 바이러스의
이번 겨울 흉막폐렴균 1형에 대해 주의와 대비가 필요하겠습니다. 어제 31일 (주)중앙백신연구소(대표 윤인중)에 따르면 이번 달들어 흉막폐렴균 1형에 의한 돼지 흉막폐렴 발병 비율이 다른 달에 비해 이상적으로 증가해 농가의 대비가 필요하다고 밝혔습니다. 중앙백신연구소에 따르면 최근 호흡기 질병 문제를 호소하는 양돈장이 늘고 있는 가운데, 1월 들어 연구소로 의뢰한 폐 가검물에서 분리한 흉막폐렴 혈청형이 가장 일반적인 2형과 5형이 아닌 1형이 주를 이루고 있다는 것입니다. 1월 흉막폐렴균 1형 검출 건수가 15건으로 전체 흉막폐렴으로 진단된 케이스의 84%에 해당됩니다. 이는 2016년 1월과 비슷한 양성율이며 검출 건수는 증가한 것입니다. 관련 중앙백신연구소 마케팅 이경원 이사는 '흉막폐렴 1형은 임상증상이나 발현이 심급성형으로 진행되어 대응하기도 그리고 치료에도 어려움이 따른다'며 '앞으로 흉막폐렴 1형의 감염율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바, 농장 현장에서도 흉막폐렴 1형에 대한 대비가 필요해 보인다'라고 말했습니다. 한편 흉막폐렴균 1형에 대한 심각성과 이슈 제기는 올 겨울이 처음은 아닙니다. 해년마다 특히 겨울이면 반복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