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에서 'ASF 바이러스 유전형 1형과 2형이 결합한 형태의 재조합 변종 바이러스(rASFV I/II)'가 처음으로 발견되었습니다. 이 같은 사실은 베트남과 우리나라 공동 연구진이 발표한 논문(바로가기)에서 확인되었습니다. 논문에 따르면 해당 변종 바이러스는 베트남 북부 6개성에서 사육 중이던 돼지에서 확인되었습니다. 연구팀은 ASF 의심 사례에서 채취한 혈액 샘플 26개를 분석했습니다. 계통학적 분석 결과, 6개 샘플에서 유전형 1형의 p72 시퀀스가 포함되어 있지만 p54 시퀀스는 유전형 2형에 속하고 CD2v 시퀀스는 VIII 혈청형에 속하는 재조합된 형태의 ASF 바이러스 균주가 발견되었습니다. 지금까지 알려진 바로는 베트남에서 최초입니다. 연구진은 이들 바이러스를 중국에서 이전에 보고한 재조합 변종 바이러스와 비교했습니다(관련 기사). 그 결과 모든 유전자 서열은 중국 변종 바이러스의 서열과 일치했습니다. 다만, 게놈의 '중앙 가변 영역(CVR)'에서 눈에 띄는 차이가 발견되었습니다. 이는 바이러스 출처는 중국으로 의심되는 가운데 베트남으로 여러 차례 서로 다른 변종 바이러스가 유입되었음을 시사합니다. 또한, 연구진은 현재 베트남에서 허가되어
PRRS 관리는 어렵지만, 성공적인 양돈을 위해서는 반드시 필수불가결한 사항입니다. 돈군 흐름에 따른 맞춤형 PRRS 관리 방안을 고려합니다. 농장 상황에 따른 적절한 목표를 설정합니다. 차단방역을 위한 시설 투자도 중요합니다. 백신의 경우 교차 방어능이 인정되는 백신을 선택합니다. 백신과 야외주 간의 유전자 상동성은 백신 효과 예측에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정리 돼지와사람(pigpeople100@gmail.com)
중국 연구진이 돼지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한 ASF 바이러스 재조합 변종 여러 개를 발견해 놀라움을 주고 있습니다. 이들은 ASF 바이러스 유전형 1형과 유전형 2형의 유전 물질이 결합된 결과입니다. 현재 우리나라를 비롯해 전 세계가 유전형 2형이 문제가 되고 있는 가운데 이를 기반한 백신을 개발 중인데 이들 변종 바이러스에는 해당 백신의 예방 효과가 없는 것으로 추정되어 우려를 낳고 있습니다. 대응연구와 국경검역에 더욱 만전을 기해야겠습니다. 이같은 소식은 최근 중국 연구진이 '네이처(nature)'에 투고한 논문(바로보기)을 통해 확인되었습니다. 논문 제목은 '돼지에서 검출된 매우 치명적인 유전형 I 및 II 재조합 ASF 바이러스(Highly lethal genotype I and II recombinant African swine fever viruses detected in pigs)입니다. 연구진은 새로 발견된 ASF 바이러스의 유전자의 약 56%는 유전형 2형에서(특히, 2007년에 발생한 ASFV 조지아주와 유사한 바이러스), 나머지 43%는 유전형 1형(ASFV NH/P68과 유사한 바이러스)에서 비롯했다고 밝혔습니다. 그리고 이들 재조합 바이러
모두가 양돈 현장에서 PRRS를 여러 차례 겪어 봤지만, 아직도 PRRS 컨트롤에 대한 '정답'은 없습니다. 오랜 기간 양돈농가를 괴롭혀온 만큼 PRRS에 대한 오해와 편견이 많이 쌓여있는 현실입니다. 'PRRS의 모든 지식'(총 15화)을 통해 우리 농장에 맞는 PRRS 컨트롤의 '해답'을 발견할 수 있길 기대합니다. 본 기고글은 HIPRA 본사에서 출간한 'The book for PRRS Knowledge"' 내용을 번역·정리한 것입니다. 유전적 다양성이 높은 PRRS 바이러스 초기 연구에서는 PRRS 바이러스의 유전형을 최초로 분리된 지역에 따라 유럽형(또는 Type 1, 대표 바이러스 Lelystad)과 북미형(또는 Type 2, 대표 바이러스 VR-2332)로 구분하였습니다. 이후 분리된 PRRS 바이러스들은 일반적으로 ORF5라는 가장 변이가 심한 유전자 부위를 기준으로 계통을 분류해왔습니다. PRRS 바이러스 유전자의 전체 염기서열 1만 5천 개에서 약 600개의 염기로 구성된 ORF5가 차지하는 비중은 4%에 불과합니다. 하지만 특징적인 변이를 볼 수 있다는 점에서 ORF5를 기준으로 분류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북미형과 유럽형의 두 유전형을 대
[건국대학교 수의과대학 류영수 교수의 '돼지부종병에 대한 폭넓은 이해와 개선 방안' 원고를 5회에 걸쳐 나누어 싣습니다. 모쪼록 돼지부종병 문제를 해결하거나 예방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돼지와사람] 과거의 관행적인 부종병 관리법의 한계 돼지부종병 컨트롤을 위해 농장에서 다양한 방법이 시도되고 있지만, 노력에 비해 그 효과를 보장하는 방법은 없었다. 지금까지 부종병 발생 농장을 보면, 일반적으로 돈사의 수세 소독과 음수의 소독을 전제로, 절식 또는 영양가 낮은 사료를 급여하는 방법으로 부종병을 관리해왔다. 그러나 이처럼 임신돈 사료를 자돈에 급여하는 등의 과거의 방식은 일시적으로 균의 증식을 억제하는 것이지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 없다. 사료·영양 측면에서도 사료 섭취량 절감과 단백질 함량 감소와 같이 사료 에너지를 제한하는 방식은 생산 성적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양돈의 제1 목표인 생산성 향상에도 부합하지 못한다. 이외에도 유기산과 식물 추출물 같은 첨가제를 사용하거나 유익균을 급여하는 같은 방식도 적용될 수 있으나, 비용대비 효과를 고려했을 때 농장에서 지속적으로 활용되기는 어려운 방법이다. 세균 증식 억제를 위한 경제적인 방법으로 산화아연도
현재 인체에서 코로나19 백신이 가장 개발 우선 백신이라면, 동물에서는 'ASF 백신'입니다. ASF 백신은 바이러스 특성상 효능이 인정되면서 안전성이 담보된 백신을 만들기 쉽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런 가운데 국내 한 기업이 미국 대학과 손잡고 이러한 ASF 백신 개발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시도에 나섰습니다. 국내 대표적인 동물진단용 제조 전문기업, 메디안디노스틱(대표 오진식, 바로가기)은 미국의 캔사스주립대학(Kansas State University)과 연구 협약을 체결하고 ASF 백신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들이 개발에 나선 ASF 백신은 단일 사이클 아데노바이러스(이하 'SCAd') 플랫폼 기술을 이용해 전염성이 있는 바이러스를 증폭시키지 않고도, 목적 단백질을 다량 발현할 수 있는 기술에 기반을 두고 있습니다. 백신 개발 연구 책임자인 캔사스 주립대학 수의과대학 Waithaka Mwangi 교수는 이 기술을 안전성과 면역원성을 모두 갖춘 차세대 백신 기술 플렛폼이라고 소개하였습니다. 그는 "연구진이 사용하는 SCAd 기술은 전염성이 있는 바이러스를 증폭시키지 않기 때문에 매우 안전한 백신이 될 것"이라며 "면역을 유도하는 많은
한국히프라(이하 히프라)가 지난 20일 돼지부종백 백신 관련 온라인 세미나(웨비나)를 개최하고 본격적인 국내 공급을 알렸습니다. 웨비나는 건국대 수의대 류영수 학장의 돼지부종병 설명과 백신 국내 적용 사례 발표와 한국히프라 서상원 수의사(백신사업부문장)의 백신 소개, 전체 질의 응답 등으로 약 한 시간 동안 진행되었습니다. 돼지부종병은 오염된 사료, 물, 환경 등을 통해 경구로 감염된 VTEC 대장균이 분비하는 베로독소(VT2e)에 의해 발병합니다. 베로독소는 돼지 혈관을 손상시켜 출혈 및 부종, 신경증상 등의 임상증상을 유발하며, 높은 폐사뿐만 아니라 성장저해 등 농장생산성에 손실을 가져다 줍니다. 부종병은 이유 이후부터 문제가 되는데 VTEC 대장균의 감염에 필요한 F18에 대한 수용체가 생후 20일령의 자돈에서 형성되기 시작하기 때문입니다. 포유자돈에게는 F18에 대한 수용체가 없어 역설적으로 부종병에 안전합니다. 돼지부종병은 증상 정도에 따라 임상형, 만성형, 비임상형으로 구분되는데 흔히 농장에서 '안면 부종'으로 알고 있는 것이 '임상형' 부종병 입니다. 그런데 감염율에 비해 실제 임상형으로 확인되는 비율은 낮아 농장에서 피해를 보고 있지만, 이를
현재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구제역 백신과 전혀 다른 혁신적인 백신이 개발되었다는 소식입니다. 영국에 위치한 국제적인 동물질병연구소인 퍼브라이트 연구소가 2일자 보도자료를 통해 여러가지 혈청형의 구제역 바이러스로부터 가축을 보호할 수 있는 새롭고효과적이며,그리고 경제적인 구제역 백신에 대해 상용 허가를 인정했다고 밝혔습니다. 퍼브라이트 연구소는 이 백신은 현재의 구제역 백신보다 더 안정적이며 백신 운송 과정중 온도영향을 덜 받는 등의 특징이 있어 아시아뿐만 아니라 아프리카, 중동 등의 국가에서 활용될 잠재력이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이 백신은퍼브라이트 연구소와 옥스퍼드 대학, 리딩대학, 다이아몬드 라이트 소스, 글로벌 엠에스디(MSD)동물약품 등의 협력을 통해 개발되었으며,기초 연구에서 동물 실험에 이르기까지 수 년의 시간이 소요되었습니다. 현재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백신은 살아있는 구제역 바이러스를 불활화시킨 후 정제화 과정을 통해제조합니다. 반면 이 백신은구제역 바이러스의 외부 껍질을 모방해최적의 면역 반응을 유발하도록 설계된 '바이러스 유사 입자(VLP)'라는 작은 합성 단백질 껍질로 만들어졌습니다. 일명 '재조합' 백신입니다. VLP로 만든 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