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특별자치도는 도내외 축산환경개선 우수사례를 책자로 제작해 도내 257개소(제주시 185, 서귀포시 72) 전 양돈농가에 배포한다고 30일 밝혔습니다. 이번 사례집 제작은 양돈농가의 자발적 악취저감 노력을 이끌어내기 위해 추진되었습니다. 양돈농가의 방역 강화 등으로 현장 견학이 제한된 상황을 고려했습니다. 도내 3개 농장과 도외 2개 농장의 우수사례가 담겼으며, 이들은 도내 농가의 경우 제주도와 행정시가 함께 운영하는 ‘양돈장 악취관리 수준진단’을 기준으로, 도외 농가는 축산환경관리원 등 관련 기관의 추천을 받아 현장 방문('24년 5월)을 통해 최종 선정했습니다. 도내 우수사례 3개 농장은 ▲가축분뇨 적정처리와 악취저감으로 생산성 향상까지 이룬 여흥농장(제주시 한림읍) ▲사계절 꽃과 나무가 어우러진 공원같은 환경을 조성한 우진·세원축산(제주시 한림읍) ▲국내외 선진기술을 복합 적용해 최신식 스마트팜을 구축한 케이원농장(서귀포시 대정읍, 관련 기사)입니다. 도외 우수사례 2개 농장은 ▲인공지능 기반 관리시스템으로 7년간 악취 민원이 전혀 없는 로즈팜(경기 평택시, 관련 기사) ▲반도체 공장 수준의 첨단 공기정화 시스템을 도입해 지역 주민과 상생하는 호은 2
팜스코(대표이사 정학상)는 지난달 24일 제주 라온리조트 대연회장에서 제주 지역 성적 우수농장과 악취관리 우수농장을 시상하고 그 비결을 공유하는 자리를 가졌다고 밝혔습니다. 세계적인 관광지인 제주도는 축산냄새 관리에 엄격합니다. 제주도는 악취관리지역을 지정하고 엄격하게 관리하지만 반대로 악취관리우수농장으로 지정되면 인센티브를 주고 있습니다. 악취관리우수농장은 정기적인 검사와 불시에 시행하는 검사 모두 통과해야 하고 민간인이 포함된 조사단의 엄격한 점검을 통과해야 합니다. 2021년부터 시행하고 있는 이 제도에 선정 된 농장은 총 4곳입니다. 이 가운데 3곳은 팜스코 고객농장입니다. 최초의 악취관리 우수농가인 진욱농장(대표 김성보/김진욱), FCR 2.8 평균출하일령 158일의 동백팜(대표 고정훈), PSY 29두, 이유두수 11.8두의 여흥농장(대표 민봉숙) 등이 그 주인공입니다. 이번 '팜스코 우수농장의 날' 행사에서 정우석 지역부장은 이 농장들의 냄새 저감과 우수 성적 비결을 공유하였습니다. 특히, MSY27두, FCR 2.8의 매우 우수한 성적을 자랑하는 동백팜과 여흥농장의 성적을 분석하였습니다. 냄새와 먼지가 적은 돈사 환경이 돼지에도 좋을 뿐 아니라
제주특별자치도가 11일 오후 '2022년 악취관리 우수농가로 선정된 '동백팜 농장(제주 한림읍 소재)'에서 우수양돈농가 지정 현판식 및 지정서 수여식을 개최했습니다. 이날 현판식에는 허문정 제주도 환경보전국장을 비롯해 지역 관계자, 함께 악취관리 우수양돈농가로 지정된 여흥농장, 세원농장, 우진축산 대표들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습니다. '악취관리 우수양돈농가 선정'은 제주도가 악취관리 모범농가를 육성하기 위해 지난해부터 추진하고 있습니다(관련 기사). 이근선 기자(pigpeople100@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