돼지 써코바이러스 2형(PCV2)은 전 세계 양돈산업에서 흔히 발생하는 질병으로, 매년 양돈 업계에 막대한 손실을 초래하고 있다. 본 글에서는 브라질에 소재한 농장에서 통제된 조건하에 시험을 수행하여, PCV2 준임상 감염 및 돈군 내 써코 바이러스의 순환의 효과적인 컨트롤이 농장의 생산성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확인해 보았다. 첫 번째 시험은 써코백의 모돈 접종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이유자돈에만 써코 백신을 접종하던 모돈 450두 규모의 일관농장에서 수행되었다. 모돈 61두(모돈은 써코 백신 접종 경험 없음)를 ‘써코백 모돈 접종군’과 ‘비접종 대조군’으로 나누어 시험을 수행하였다. 써코백 모돈 접종군에만 분만 예정일 5주와 2주 전에 써코백을 2mL/두씩 근육접종을 하였고, 비접종 대조군에는 접종하지 않았다. 두 그룹 모돈의 자돈에는 계속해서 써코 백신을 접종하였으며, 그 후 두 그룹 모돈에서 태어난 자돈들을 서로 다른 돈사에 분리 사육하여 폐사율, 증체, 그리고 돈군 내 PCV2 순환을 비교 평가하였다. 시험 결과, 써코백 모돈 접종은 일당증체량, 폐사율 등 여러 지표에서 유의하게 개선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분만 5주 전에 한 번 접종된 경우에도
이전 연구에 따르면 돼지 써코바이러스 2형(PCV2)은 유럽의 멧돼지 개체군 사이에서 높은 비율로 순환하며, 멧돼지는 PCV2의 중요한 저장소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추측됩니다. 본 연구는 2013년부터 2017년 사이에 우리나라에서 포획된 1,340마리의 멧돼지로부터 분리된 91개의 PCV2 분리주에서 유전자형 다양성과 유전형 변화를 조사했습니다. 전체 ORF2를 기반으로 한 계통학적 분석 결과, 91개 PCV2 균주는 qPCR 스크리닝 분석에서 4가지 유전자형으로 파악되었습니다. 2.2%(2/91)는 PCV2a, 16.5%(15/91)는 PCV2b, 80.2%(73/91) )는 PCV2d였으며, 1.1%(1/91)는 PCV2h였습니다. 결론적으로 PCV2d 유전자형은 한국의 멧돼지와 사육돼지에서 널리 퍼져 있으며, 멧돼지에서 계속해서 순환할 것임을 시사합니다. [논문 원문(바로가기), Genetic Diversity of Porcine Circovirus Isolated from Korean Wild Boars, Sok Song(농림축산검역본부) 외, Pathogens, 2020] 번역 및 정리 돼지와사람(pigpeople100@gmail.com)
정부는 축산환경개선대책의 핵심사항으로 기존의 퇴액비 중심의 가축분뇨 처리에서 정화방류, 바이오 가스 에너지화, 바이오차 등 가축분뇨 처리 다각화로 온실가스 210만 톤 CO2eq 감축한다는 계획입니다. 이런 가운데 지난 12일 ‘탄소 중립을 위한 가축분뇨 처리·이용 다각화 국회 토론회 ’가 국회박물관 2층 대강당에서 200여 명이 모인 가운데 개최됐습니다. 이번 토론회는 국회 이달곤 의원(국민의힘, 농해수위 간사, 경남 창원 진해구)과 김형동 의원(국민의힘, 환노위, 경북 안동 예천)이 공동 주최하고 대한한돈협회, 농협경제지주, 농민신문사, 한돈자조금, 축산관련단체협의회가 주관하였습니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이명규 상지대 교수의 ‘탄소중립 시대에 따른 가축분뇨 관리 방향’과 한갑원 축산환경관리원 부장의 ‘가축분뇨 처리 이용 다각화 사례’라는 주제로 발표가 진행됐습니다. 이날 이명규 상지대학교 교수는 "20세기 산업화 시대에서의 가축분뇨는 환경오염원이었지만 21세기 탄소중립 시대에서는 가축분뇨가 신산업 소재"라고 말했습니다. 특히 ▶정화처리 확대 ▶바이오차, 고체연료 등 비농업계 확대 ▶에너지화 확대 ▶위탁처리시설 처리용량 확대로 '저탄소 자원순환형 사회 구축이
[이 글은 최근 경향신문에 실린 '농가 아프리카돼지열병 원인은 멧돼지?'(바로보기) 기고글 관련 반박 주장입니다. -돼지와사람] 예방 접종을 할 수 없는 감염성 질병의 대책으로 어떠한 방법이 있을까? 현재 세계적으로 코로나-19(covid-19)로 인하여 사회·경제적으로 심한 타격을 받고 있다. 특히 아직 백신이 개발되지 않은 상황에서 무증상 감염 전파가 가능한 것으로 밝혀진 상태에서 어떠한 대책이 가장 좋은 방법일까 하는 의문을 가질 수 있다. 여기에서 감염성 질병에 대한 대책을 '확인된 감염원으로부터 원인체가 탈출하지 못하게 하는 것'으로 규정한다. 코로나 19의 경우 이 규정에 따라 코로나 바이러스의 유전자가 검출되면 확진자로 분류하고 사회적 격리를 시키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쉽게 근절되지 않는 것은 무증상 감염자로 인한 확산이다. 감염성 질병의 경우 감염된 후 증상을 보이기 이전 그 원인체를 전파시킬 수 있는 기간이 긴 경우 통제하기 어렵거나 불가하다. 이러한 대표적인 질병으로 HIV 감염증을 들 수 있다. 따라서 HIV 감염증의 경우 특별한 대책을 강구하지 못하고 다만 그 확산 경로가 성적 접촉과 수혈로 밝혀지면서 이에 대한 대책이 전부이다. 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