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어사이드(대표 유영국)가 스페인 연구팀과 함께 현재 개발 중인 ASF 백신의 중간 연구 성과를 지난 8일 '2022 케어사이드 LDB 세미나'를 통해 발표했습니다. 케어사이드는 지난 2020년부터 스페인 ASF 연구실(CBMCO) 및 국립연구소(CSIC)와 ASF 백신 개발을 위한 공동연구를 추진하고 있습니다(관련 기사). 스페인 연구팀은 백신 후보주와 이를 배양하기 위한 세포주를 개발하는 역할을, 케어사이드 연구팀은 이들 후보주와 세포주를 평가하고, 최종 상용화와 제조하는 역할을 각각 맡고 있습니다. 스페인 연구팀은 국내에 익히 알려진 '욜란다 레비야 박사'가 이끕니다. 케어사이드 연구팀의 리더는 '선우선영 박사'입니다. 이날 세미나에서 레비야 박사는 'ASF 백신 개발 동향 및 케어사이드 백신 개발' 발표에서 스페인 연구팀은 병원성이 없으면서 효능이 탁월한, 그리고 접종 후 바이러스를 배출하지 않는 약독화 생백신 개발을 목표로 연구해 왔다고 밝혔습니다. 그리고 이를 유전자 편집 기술을 통해 특정 유전자가 없는 후보주를 실험실적으로 만드는데 성공했다고 덧붙였습니다. 'COS-1 & WSLPTEN Cell'로 명명한 세포주도 잠정 개발했습니다. 세포
[본 글은 지난 10월 21일 한국양돈연구회 주최로 열린 제39회 전국양돈세미나 발표 원고이며, 최근 화천 양돈농장의 ASF 발생 이전에 작성되었습니다. 선우선영 박사의 동의 하에 게재합니다. -돼지와사람] 국내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이하 ASF)의 발생은 2019년 9월 16일 첫 보고가 있었고, 현재 약 1년의 시간이 흘렸다. 중국의 2018년 발생 이후, 먼 나라 이야기였던 이 질병에 대해서 양돈 관련 모든 사람뿐만 아니라 일반 대중들까지도 관심을 두게 되었다. 2019년 9월 발생하고, 아직 준비가 완벽하지 않았지만, 질병 방제에 대해서는 구제역과 조류독감을 겪으면서 기본적인 방역의 인프라와 관리체계를 갖추고 있었기에 2019년 9월~10월 1차 사육돼지 발생 이후 추가 발생 없이 현재까지 유지되고 있다. 지난 1년 동안 이야기들이 있었고, 새로운 해결책을 요구하는 이슈들이 계속 나타나고 있다. 발생 이후, 필자에게도 무척이나 바빴던 1년을 지나면서, 국내와 해외의 발생상황에 대한 정리와 방제 대책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자 한다. 1) 국내 발생 상황 국내의 ASF 발생은 사육돼지의 경우, 2019년 9월 16일에서 10월까지 14건의 발생이 있었고, 이
ASF 백신은 아직까지 전 세계적으로 상용화된 제품이 여전히 없는 가운데 가까운 미래에 개발될 가능성이 점점 높아지고 있는 요즘입니다. 그런데 여기에 잘되면 우리나라에서 생산한 '국산 ASF 백신'도 볼 수 있을 전망입니다. 케어사이드(대표 유영국)가 ASF 백신 개발을 넘어 우리나라를 ASF 백신 제조 국가로 만들어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다른 나라의 ASF 종식에 기여하겠다는 구체적인 계획을 밝혀 큰나큰 관심을 모으고 있습니다. 지난 22일 더케이호텔 서울에서는 'ASF 현황과 백신개발'을 주제로 한 '케어사이드 LDB 세미나'가 열렸습니다. 류영수 교수(건국대), 박최규 교수(경북대), 오연수 교수(강원대), 조호성 교수(전북대), 선우선영 박사(케어사이드) 등이 연자와 패널로 나와 ASF의 국내외 상황과 방제대책, 백신개발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관련 궁금증을 해결하는 자리가 되었습니다. 이 자리에서 참석자들은 하나같이 장기적으로 백신의 필요성에 공감했습니다. 행사의 하이라이트는 케어사이드 유영국 대표의 깜짝 발표였습니다. 이날 유 대표는 발표에서 우선 현재 스페인 ASF 연구실(CBMCO) 및 국립연구소(CSIC)와 ASF 백신개발에 대한 공동연구를
ASF 백신에 대한 구체적인 개발 현황과 국내 도입 계획을 들어보는 기회가 열립니다. 동물용의약품 전문기업 케어사이드(대표 유영국)가 오는 22일 오후 3시 서울 양재에 위치한 더케이호텔 서울에서 'ASF 현황과 백신 개발'이라는 주제로 세미나를 개최한다고 밝혔습니다. 한돈산업에게는 아르헨티나 구제역 백신으로 익히 알려진 '케어사이드'는 현재 스페인 백신연구그룹과 함께 ASF 백신 공동개발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를 위해 국내 동물용의약품 기업 가운데 유일하게 ASF 백신개발팀을 꾸린 바 있습니다. 팀 리더는 국내 몇 안되는 ASF 바이러스 전문가인 선우선영 박사 입니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먼저 류영수 교수(건국대)와 오연수 교수(강원대), 조호성 교수(전북대) 등을 초청, 국내외 ASF 발생상황과 통제전략 등을 함께 정리하고 돌아볼 예정입니다. 이어 유럽을 대표하는 스페인 ASF 연구자인 '욜란다 레빌라(Yolanda Revilla Novella, CSIS)' 박사를 통해 최신의 ASF 백신개발 현황과 전망을 공유합니다. 욜란다 박사는 지난해 4월 한국을 방문해 스페인의 ASF 차단 전략을 소개한 바 있으며, 현재 스페인에서 ASF 백신 개
대한민국 축산을 대표하는 학자들이 모여 국내 ASF 발생 후 얻은 교훈과 앞으로의 대처 방법에 대한 토론회를 가졌습니다. 한국축산학회(회장 성경일)는 지난 20일 농협중앙회 서울지역본부 대강당에서 'ASF 지속 가능 축산의 교훈을 차다'를 주제로 '제 19차 정기총회 및 심포지움'을 개최했습니다. 이 자리에서 먼저 강사로 나선 건국대학교 선우선영 교수는 'ASF의 병원성과 백신 개발'에 대해 발표했습니다. 선우선영 교수는 "내년에는 중국이 약독화 생백신 접종을 시작할 것으로 보인다"면서 "국내 농가들이 쓸 수 있는 좀 더 안전한 백신은 3년에서 4년은 걸릴 것이다"고 말했습니다. ASF에 감염되고도 살아남은 돼지는 바이러스를 뿌리고 다니는 숙주 역할을 합니다. 약독화된 ASF 바이러스 출현은 새로운 위협이 될 수 있습니다. 관련해 선우선영 박사는 "보통 3년 이상 지나야 약독화된 ASF바이러스가 출현한다"고 답했습니다. 이어 'ASF 위기와 한돈산업의 변화'라는 주제로 카길애그리퓨리나 이일석 이사가 두번째 연자로 나와 '차단방역'을 실천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제시했습니다. 이 이사는 "차단방역에 있어 가장 중요한 점은 어떻게 유기물을 통제하는가"라고 전제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