흉막폐렴의 발생과 조치 이 사례는 충남에 위치한 한 자돈생산 농장의 사례이다. 주간관리 및 2-site로 운영되기에 자돈들을 위탁으로 전출을 보내거나 자돈판매를 한다. 이 농장은 북미형 PRRS가 상재되어 있으며, 이전부터 A사의 흉막폐렴 백신을 접종하고 있었으나 2023년 11월부터 비육구간에서 흉막폐렴으로 의심되는 급사돈이 다수 발생하였다. 담당 수의사의 조언대로 농장에서는 가검물을 의뢰하고 긴급하게 항생제 주사치료를 3일간 실시하였으며, 또한 윈치커튼에서 유입되는 샛바람을 차단하고 일교차에 대한 관리 개선을 진행하였다. 병성검사 결과, '흉막폐렴 1형'으로 인한 문제임이 확인되면서 '코글라픽스'의 적용과 함께 백신프로그램의 변경을 검토하였고 환기 및 사육환경에 대한 개선 조치를 실시하였다. 흉막폐렴 백신A와 항생제를 사용함에도 흉막폐렴에 의한 문제와 피해가 줄어들지 않았기에 백신 변경을 위해 다양한 부분을 고려해보았다. 첫째, 다양한 혈청형에 대해 교차면역 능력이 있어야 한다. 둘째, 강력한 면역 형성능력과 지속기간이 길어야 한다. 셋째, 현장에서 많은 농장들을 통해 입증된 자료가 있어야 한다. 넷째, 접종반응이 적어야 한다. 사례농장의 경우, 이유자
우리는 돼지고기(동물 영양소)를 먹기 위해 사료(식물 영양소)를 돼지에게 공급한다.즉 양돈산업의 본질은 식물 영양소를 비용으로 투자해서 고급 동물영양소로 전환시켜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것으로 볼 수 있겠다. 그래서 옛날에 가끔 이런 생각을 했다. 절대로 사료값보다 돈가가 낮아질 일은 없을 거라고! 그럴 경우 양돈산업은 존재할 수 없을 테니까.그런데 2013년 사료값과 돼지값이 거의 똔똔인 상황이 있긴 했다. 헉! 우리 산업은 수익이라는 부가가치 창출 측면도 있지만, 인류의 건강과 수명연장이라는 숭고한 부가가치도 창출한다. 이러한 이유로 산업에 종사하는 한 사람으로서 자부심을 느낀다. 이러한 이유로 양돈산업은 인류가 존재하는 한 지속될 산업이라고 생각한다.이러한 이유로 한국 돼지고기 소비량이 지금보다 두배로 늘기를 바란다. 그렇다면 돼지고기 가격이 합리적이어야 한다. 결국 희망있는 산업의 미래를 위해서는 생산비를 낮춰야 한다. 이런 배경에서 다산성 모돈이 탄생한 것은 필연적 수순이었을 것이다. 1. 다산성 모돈(이하 다산이) 탄생 설화 다산이의 고향은 유럽이다. 유럽 양돈 선진국들은 오랫동안 세계 축산업을 선도해 왔다. 이들은 인류의 먹거리는 영원하다는 확고한
지난 20년간 한돈산업에 종사하면서 산업이 엄청난 속도로 변화하고 진화해 오는 과정을 함께 해 왔다. 지난 2011년 구제역 쓰나미는 무척 아팠지만, 결과적으로는 우리 한돈산업이 글로벌 경쟁체제로 급속도로 진입하는 일대 사건이었다. 그 중심에 다산성 모돈이 있었다. 그러나 시설, 관리, 영양 등이 제대로 준비되지 못한 상황에서 들어온 다산성 모돈의 성적은 당초 기대와는 달리 광범위한 스펙트럼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어버린 다산성 모돈 ! 바뀐 것은 돼지 유전자에 불과하지만, 바꿀 것은 어쩌면 전부일 수 있다. 다산성 모돈이 제 역량을 발휘하도록 하기 위한 비법이 필요하다. 다산성 모돈의 맥시맘(MAXI-MOM) 스토리가 지금 우리산업의 화두이다. 6번의 연재 칼럼을 통해 그 해법을 함께 하고자 한다. 1. 다산성 모돈의 빛과 그림자 1) 빛…. 2) 그리고 그림자…. 2. Since 2012 글로벌 경쟁의 시대 !생존을 위한 경쟁력은 생산성 향상이 출발이다. 모돈당 매출과 수익을 최대로 이끌어내는 것! 그것이 바로 경쟁력의 핵심이다. 2012년 이후 다산성 모돈의 도입은 선택이 아닌 필수였다. 1) 설레임…2011년 구제역 이후!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