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ml 1회 근육주사로 164일간 면역력 유지, 마이코가드 원타임
한국적합형 구제역 백신, 아리아백(ARRIAH-VAC) 아리아백 플러스주(O프리모스키+A자바이칼스키)
모돈부터 자돈까지 PRRS로부터 빠른 회복, 베일로신
동물용의약품 전문기업, ㈜동방(대표이사 이지훈)이 러시아 구제역 백신, '아리아백'의 국내 수입·판매를 위한 정식 허가 등록 승인(A03710054)을 지난 19일 농림축산검역본부로부터받았다고 밝혔습니다. '아리아백'은 러시아 국가연구기관인 FGBI ARRIAH(이하 '아리아')에서 생산하는 구제역 백신입니다(관련 기사). 이번에 허가·등록된 아리아백은 O, A형 2가 백신이며2014년에 전국적으로 문제를 일으켰던 O형(진천 바이러스)과 2017년 초에 소에서 발병한 A형(연천바이러스)과 매우 유사한 항원을 사용하여이 두 바이러스에 대한 방어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현재 국내 양돈장에서 사용하고 있는 아리아백 O형 단가 백신은 작년 10월부터 긴급백신으로 수입되어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데 동방이 별도의 정식 허가 등록을 진행 중에 있습니다. 올해 2월 충북 보은과 정읍에서 O형 구제역 발병에 따라 이 백신이 실제 구제역 확산 방지에 적용되었고 이번에 허가받은 O+A형 2가 백신과 동일한 O형 항원(프리모스키)이기 때문에 등록에는 크게 어려움이 없어 보입니다. 동방 이지훈 대표는 '아리아백 O+A형 2가 백신이 정식으로 등록이 완료됨에 따라 A형
[본 원고는 아리아백(ARRIAH-VAC®)의 소개글이며 (주)동방 제공입니다] 2016년 말부터 구제역 백신이 다변화되면서 농가에서는 여러 제품이 사용되고 있지만 각각의 제품들이 서로 다른 특장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사용하는 농가 및 수의사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조사 및 제품의 특장점을 소개하고자 한다. 아리아는 러시아의 국가연구기관이다 구제역 백신 '아리아백' 소개에 앞서 먼저 아리아백을 생산하는 FGBI ARRIAH(FGBI “Federal Centre for Animal Health”, 이하 '아리아')를 소개하고자 한다. 아리아의 정식 명칭은 FGBI ARRIAH(이하 아리아)인데 이름에 이 기관의 특징이 그대로 나타나 있다. ▷ FGBI = Federal Governmental Budgetary Institution (정부 예산으로 운영되는 연구소) ▷ ARRIAH = All Russian Research Institution for Animal Health 아리아는 '국가기관'으로서 동물의 건강과 관련된 모든 연구가 이 곳에서 행해지고 있다. 동물의 건강을 통한 인간의 건강에 기여한다(“One World – One Health”)는 기치를 갖
[본 원고는 아리아백(ARRIAH-VAC®)의 소개글이며 (주)동방 제공입니다] 2016년 말부터 구제역백신이 다변화되면서 농가에서는 여러 제품이 사용되고 있지만, 각각의 제품들이 서로 다른 특장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사용하는 농가 및 수의사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조사 및 제품의 특장점을 소개하고자 한다. 1. 제품명 : 아리아백(ARRIAH-VAC®) 아리아백, 대한민국이 명명하다'아리아백'은 FGBI ARRIAH(이하 '아리아')에서 생산하는 구제역 백신의 브랜드 이름이다. 이 이름에는 사연이 있다. 제조사 소개 편에서 언급이 되었듯 아리아는 국가 기관이기에 '상업적인 생산'보다는 '국가방역용 백신' 생산이 우선이다. 이 때문에 이름도 매우 구체적인 Foot-and-Mouth Disease Vaccine cultural inactivated emulsion (구제역 백신 배양 불활화 에멀전)이었다. 이 이름으로 주변국에 수출이 되었었다. 그런데 한국에 등록을 하려다 보니 이름이 필요했다. 우리는 ‘아리아가 생산하는 구제역 백신’이라는 의미로 아리아백(ARRIAH-VAC)으로 하기로 결정을 했고 지금은 아리아의 모든 구제역 백신의 이름이 '아리아백'이
본 원고는 지난 4월 27일 한국양돈수의사회 주최 '2017 수의양돈포럼'에서 발표되었습니다. ♦ 개요 베일로신은 틸바로신(tylvalosin)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마크로라이드계 항생제의 상품명이며, 전세계적으로 돼지와 닭에서의 Mycoplasma spp. 관련 질병의 치료목적으로 사용되어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국내 돼지에서 분리된 M. hyopneumoniae와 M. hyorhinis에 대한 MIC 시험결과 기존 항생제에 비하여 낮은 MIC를 나타내어 국내의 양돈산업에도 베일로신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이연구된 바 있다. 해외에서 시도된 베일로신을 이용한 양돈장에서의 Mycoplasma hyopenumoniae(유행성 폐렴, 이하 Mh) 근절 사례가 있어 이를 소개하고, 국내 적용 가능성을 가늠해보고자 한다. ♦ 임상보고 1 1) 개요 및 진단 -스페인 북서부에 위치한 모돈 1,200두 규모 농장(GGP)이며 비육돈 수용규모가 1,200두인 일괄사육농장을 대상으로 Mh 근절 프로그램을 2006년 6월부터 적용하였다. -농장은 PRRS 음성이며 육성돈에 약한 Mh 증상이 있는 상태였다. 2) 적용 프로그램 -부분 돈사 비우기(partial depo
제주특별자치도는 제주산 돼지고기의 신뢰성과 브랜드 가치를 높이기 위해 ‘제주 돼지고기 판매 인증점’을 추가 지정합니다. 신청 대상은 제주산 돼지고기만을 취급·판매하는 도내외 일반음식점(구이전문점, 족발·보쌈 등)과 도외 판매업소(식육판매업소 등)입니다. 신청은 돼지고기 공급업체를 통해 7월 1일부터 31일까지 가능하며, 도내 업체는 행정시 축산과, 도외 업체는 제주도청 동물방역과에 접수하면 됩니다. 인증점 지정을 위한 심사는 시설여건, 위생관리, 운영상황 등 12개 항목에 대한 서류 및 현장심사를 종합적으로 진행합니다. 평가 결과 만점의 85% 이상을 획득한 업소만 최종 인증됩니다. 인증 업소에는 ‘제주 돼지고기 판매 인증점 캐릭터’가 담긴 지정서와 포스터가 제공되고, 큐알(QR)코드로 제주도 누리집의 업소 정보와 연동돼 효과적인 홍보가 가능합니다. 현재 제주 돼지고기 판매 인증점은 도내 223개소, 도외 93개소 등 총 316개소가 운영 중이며, 올해 상반기에는 17개 신청업소 중 14개소가 신규 지정되었습니다. 제주도는 소비자 신뢰 확보를 위해 철저한 심사를 통한 인증점 지정과 함께 업체별 월간 판매량 모니터링, 제주산 돼지고기 취급 여부 및 휴·폐업 상
최근 구제역으로 장기간 분뇨 이동제한으로 고생했던 영암군에 '돼지분뇨 자원화시설'이 들어섭니다. 전남 영암군(군수 우승희)은 농림축산식품부 주관 ‘2025년 가축분뇨 공동자원화 시설 민간형 지원사업’ 공모에 선정돼 국비 34억9600만원을 확보했다고 30일 밝혔습니다. 군은 이번 선정으로 영암군 시종면 와우리에 87억4000만원을 투입해 하루 95t 규모의 돼지분뇨를 자원화하는 시설을 추진합니다. 공동자원화 시설은 돼지분뇨를 퇴비(10%)와 액비(80%), 여과액비(10%)로 전량 자원화할 예정입니다. 여과액비는 사계절 시설하우스나 골프장 잔디 등에 관정을 거쳐 살포할 수 있어 농가의 비료값을 줄이고, 친환경 농업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영암군 양돈농가는 올해 6월 말 현재 29호로 9만2천여 마리를 사육하고 있어 대규모 분뇨 처리시설 확충이 시급한 실정입니다. 최근 영암군에서는 구제역 발생으로 분뇨 외부 반출도 제한돼 분뇨 저장조 유출 우려, 관외 위탁처리 비용 부담 등 2차 피해도 겪었습니다(관련 기사). 이번 공모 선정으로 들어설 공동자원화 시설은 이런 문제를 해결해 줄 것으로 보입니다. 영암군 관계자는 “이번 공모 선정은 축산환경 개선, 가축
전남대학교(총장 이근배)는 동물자원학부 오세종 교수 연구팀이 돼지 스트레스와 관련한 연구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주관하는 ‘2025년 글로벌 기초연구실지원사업(Basic Research Laboratory, BRL)’에 최종 선정됐다고 최근 밝혔습니다. 이번 선정으로 연구팀은 향후 3년간 총 15억 원의 연구비를 지원받아, ‘스트레스 프라이밍과 메모리 유도를 통한 돼지 스트레스 레질리언스 강화 기전 및 제어 기술 개발’을 주제로 연구를 수행하게 됩니다. '스트레스 프라이밍'은 가벼운 스트레스를 의도적으로 노출해 스트레스에 대한 적응력을 높이는 것을 말합니다. '기억 유도'는 프라이밍을 통해 얻은 스트레스 반응 기억을 활용하여 스트레스 상황에 대한 반응을 조절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 돼지의 스트레스 회복력(레질리언스)을 향상시키는 것이 연구의 핵심 목표입니다. 연구진은 오세종 교수(연구책임자)를 중심으로 김성학 교수(동물자원학부 동물생명과학전공), 윤진현 교수(동물자원학부 동물자원전공), 홍진경 교수(환경에너지공학과) 등으로 구성됐습니다. 전남대학교는 "이번 연구는 가축의 복지와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반 기술로 주목받고
최근 대한한돈협회 철원지부(지부장 전권표)가 공동구매를 통해 분말소화기(3.3kg 국산) 300개를 회원 농가에 저렴하게 공급했습니다. 이들 소화기는 각 돈사 내 잘 보이는 곳에 배치되어 화재 발생 시 초기 진화에 사용될 예정입니다. 한편 일선 소방전문가는 '화재 초기 소화기 1개는 소방차 1대와 동일하다'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이는 다수의 실제 현장 사례에서 증명되었습니다. 양돈장에서도 소방차가 도착하기 전 소화기로 초기 화재 진압에 성공해 재산피해액을 수십만원으로 막은 예가 적지 않습니다. 소방청에 따르면 올해 현재(6.26일 누적)까지 전국적으로 발생한 돈사 화재 발생건수는 73건이며, 이로 인한 재산피해액은 약 195억4천만원에 달합니다. 건당 재산피해액은 2억6천7백만원입니다. 돼지와사람(pigpeople100@gmail.com)
대한한돈협회(회장 손세희)는 26일 제2축산회관에서 축산관련학과 대학생들의 한돈산업 진출을 장려하고 차세대 한돈 인재 육성을 위한 2025년 한돈장학금 전달식을 개최했다고 밝혔습니다. 올해 한돈장학사업은 전국 권역별 12개 대학 축산관련학과를 대상으로 총 4,800만원의 장학기금을 조성해 24명의 학생에게 학기별 200만원씩 지원하는 규모로 확대 운영되고 있습니다. 이날 전달식에는 상반기 선발된 13명의 장학생이 참석해 장학증서를 수여받았습니다. 이번 장학생으로는 강원대 동물산업융합학과, 건국대 동물자원전공, 경북대 축산학과, 경상대 축산과학부, 단국대 동물생명공학과, 전남대 동물자원학부, 전북대 동물자원과학과, 충북대 축산학과, 충남대 동물자원과학부 및 축산환경학과 대학원생 등이 선발되었습니다. 손세희 대한한돈협회 회장은 “한돈장학사업은 우수한 청년 인재들이 한돈산업에 관심을 갖고 미래 산업 발전의 주역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마련된 사업”이라며 “농촌 고령화와 인구 감소가 심화되는 상황에서 젊고 유능한 인재들의 한돈산업 유입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이날 장학생 대표로 소감을 발표한 건국대 동물자원전공 4학년 김문영 학생은
대한한돈협회(회장 손세희)가 지난 18일 제2축산회관 대회의실에서 '2025년도 제3차 이사회'를 개최했습니다. 이날 이사회에서는 제21대 회장 선거 일정(관련 기사, 선거일 10월 14일)과 경북지역 산불피해 성금 지원(10개 농가, 2억3천만원) 등의 안건이 심의·의결되었습니다. 이번 이사회는 사실상 손세희 회장이 마지막으로 주재하는 이사회였습니다. 손 회장의 임기는 오는 10월 31일까지입니다. 다음날인 11월 1일 신임 회장의 4년 임기가 시작됩니다. 돼지와사람(pigpeople100@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