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1/4분기 가축전염병 중앙예찰협의회 자료에 따르면 돼지 인플루엔자의 발생 건수가 최근 3년간 '0' 입니다. 우리나라 가축 질병 통계가 실제 현장의 상황을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를 인정하더라도 발생 건수가 아예 없다는 자료는 양돈현장과 정말 큰 괴리가 있습니다. 지난 3월 17일자 축산신문은 '돼지 인플루엔자, 경제적 피해 심각'이라는 기사를 통해 중앙백신연구소의 양돈장 질병 사례 분석 결과를 인용하였고 우리나라 양돈장의 돼지 인플루엔자 감염이 높고 이에 따른 2차 감염으로 인한 위축 및 폐사 피해를 전달했습니다. 돼지 인플루엔자는 PRRS와 써코바이러스, 마이코플라즈마균과 함께 '돼지호흡기복합병(PRDC)'의 1차 원인체입니다. 이로 인해 미국, 유럽 등 양돈선진국은 적극적으로 백신을 통해 돼지 인플루엔자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고 있습니다. 상용화된 백신 뿐만 아니라 자가백신이 사용되고 있으며 그 효과는 상당히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런데 우리나라는 '돼지 인플루엔자'에 대해서는 유달리 무심하다 싶을 정도로 쉽게 생각하거나 혹은 외면합니다. 혹자는 '돼지 인플루엔자로 인한 경제적 피해를 간과하거나 바이러스에 대해 잘 모르기 때문이다'라고
개요 및 원인체돼지인플루엔자는 인플루엔자바이러스 A형(Influenza type-A)이 병원체이다. 돼지인플루엔자는 1918년 미국 일리노이 농장에서 처음 보고 되었다. 바이러스의 아형은 H(Hemagglutinin)와 N(Neuraminidase)으로 분류한다. 아형의 조합에 따라 감염 가능한 숙주의 종류가 달라진다. 돼지는 약 75년 이상 미국 내에서 인플루엔자 H1N1형이 주로 문제되었고, H3N2형은 5% 미만으로 문제되었다. 2009년 돼지 독감으로 불리며 세계적으로 여러 사람들 사이에서 유행했던 신종플루 역시 H1N1의 아형에 속한다. 임상증상이병률이 매우 높아, 실제적으로 농장 내 거의 모든 돼지가 영향 받게 된다. 돼지는 40∼41℃의 고열로 인해 포개어져 잘 움직이지 않으며, 기침하는 돼지들이 많아진다. 임신돈은 유산을 하는 경우가 있다. 2차 세균감염이 없으면 폐사율은 낮은 편으로 2∼3주면 정상으로 회복된다. 우리나라의 대개의 농장과 같이 연속시스템 방식에서는 감염 고리가 끊어지지 않고 지속될 수 있다. 대개 보균돈의 입식으로 농장에 인플루엔자가 유입되며, 특히 늦가을에 비가 오거나 기온의 변동이 심할 때 더욱 많이 발생한다. 진 단인플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