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정부는 임신돈 군사사육 의무 도입에 따라 돼지 사육두수가 감소하고 국내산 돼지고기 가격이 상승할 가능성에 대해 전혀 우려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오히려 도입 후 전체 사육두수가 증가할 것으로 낙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황당함을 넘어 놀랍기까지 합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십니까? 이같은 정부의 생각은 농림축산식품부(이하 농식품부)의 최근 보도 정정자료에서 나왔습니다. 농식품부는 한국일보의 7일자 '보여 주기식 동물복지... 정부, 5년째 아무것도 안 해(바로보기)'라는 제목의 기사에 대해 이날 오후 정정자료를 통해 기사의 주장을 적극 반박했습니다. 한국일보는 '우리나라가 2025년 9월 1일부터 산란계 사육면적을 마리당 0.05㎡에서 0.075㎡로 1.5배 늘리는데 이로 인해 산란계 산업이 위축되고 계란 수급에도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비슷한 상황이 '2030년부터 임신돈 스톨 사육을 제한 예정인 양돈산업에도 벌어지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이에 대해 농식품부는 '산란계 사육면적 확대 시행으로 인해 계란 생산량이 급감하여 가격이 크게 상승할 것이라는 우려는 지나친 예단'이라고 말했습니다. 농식품부는 "2
대한한돈협회(회장 손세희, 이하 한돈협회)가 사료가격 급등 위기사항을 극복하기 위해 사료구매자금 등 주요 정책자금의 금리인하 및 상환시기 연장을 19일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기획재정위원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등에 건의했습니다. 건의문에서 한돈협회는 "국제 곡물가격 및 환율 상승 등의 영향으로 옥수수, 대두박, 소맥 등 주요 사료원료의 도입 비용이 폭등하고 있는 가운데 양돈용 배합사료 가격은 작년에만 30% 급상승하고 올해 하반기에도 20% 추가 인상이 예상되는 상황"이라고 주장했습니다. 특히, "한돈농가의 경우 최근 돈가가 상승하고 있지만 사료가격이 돼지 생산비의 대부분(50%∼60%)을 차지하는 상황에서, 작년 동월 대비 돼지 한 마리를 팔 때마다 6만원씩 손실이 발생하고 있으며, 올해 하반기에는 한돈농가의 약 30%가 도산 위기에 직면한 심각한 상황"이라고 호소했습니다. 이에, 한돈협회는 긴급대책으로 사료구매자금, 특별사료구매자금, 긴급경영안정자금등의 주요 정책자금의 금리를 '무이자'로 지원하고, 상환시기 도래 또는 거치기간 만료 시 2∼3년 연장 조치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의견을 국회에 전달했습니다. 한편 농림축산식품부도 국제곡물 시장 불안에
5개월 만에 약 20% 오른 돼지고기 - 뉴스1(6.10) 빨간불 켜진 '장바구니 물가'…쌀·밀가루·돼지고기 원재료 가격 폭등 - 뉴시스(6.11) 돼지고기값 폭등에 햄·소시지 인상...돈가스·햄버거도? - 뉴시스(6.14) 최근 국내 민영 뉴스통신사인 뉴스1과 뉴시스를 시작으로 다수의 일반 언론이 '돼지고기 20% 폭등'이라는 기사를 쏟아내고 있습니다. 뉴스통신사는 일반 신문과 방송 등에 기사를 공급하는 언론사입니다. 기사의 요지는 최근 장바구니 물가가 크게 올랐는데 돼지고기가 대표적이며, 이로 인해 돼지고기를 원료로 하는 햄·소시지 및 돈가스·햄버거 가격이 인상 내지는 인상 조짐이 있다는 것입니다. 해당 기사는 공통적으로 축산물품질평가원의 자료를 인용해 돼지고기 지육가가 20% 가까이 인상되었다고 전하고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지난해 말 1kg당 4,506원이었던 국내 지육가가 지난달 5,403원으로 19.9% 급등했다'는 것입니다. '19.9% 폭등?'...........한돈산업 입장에서 고개를 갸웃뚱하게 만드는 분석 결과입니다. 일단 기사에서 언급한 4,506원과 5,403원의 정확한 기준은 확인되지 않습니다. 여하튼 뉴스통신사는 지난해 말과 지난달인